한국 근대문학사에서 윤동주는 시대적 요구에 따른 문학적 응전을 보여준 시인으로 위치 지어져 있다 . 나아가 윤동주 시인의 시세계는 예언적 지성의 발현형식의 하나이며 이는 인문 사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916798
2017
Korean
타자성 ; 현재성 ; 소급성 ; 아토포스 ; 미적 거리 ; 기억 담론 ; Otherness ; Current status ; retroactivity ; Atopos ; Aesthetic distance ; Memory discourse
KCI등재
학술저널
119-145(27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근대문학사에서 윤동주는 시대적 요구에 따른 문학적 응전을 보여준 시인으로 위치 지어져 있다 . 나아가 윤동주 시인의 시세계는 예언적 지성의 발현형식의 하나이며 이는 인문 사회...
한국 근대문학사에서 윤동주는 시대적 요구에 따른 문학적 응전을 보여준 시인으로 위치 지어져 있다 . 나아가 윤동주 시인의 시세계는 예언적 지성의 발현형식의 하나이며 이는 인문 사회학적 정신과 궁극적으로는 통하는 문학적 성과이다. 우리가 문제작에 대해 정의할 때 ‘problem’ 또는‘question’이라는 단어를 호출하게 된다. 당대 논란(problem)이 되었거나 후대에 지속적으로 질문(question)을 던지는 작품을 우리는 문제작이라고 부른다. 그의 시편들은 당대 발표되지 않았기 때문에 논란의 대상이 되지는 못했으나, 오늘날에도 여전히 중요한 질문들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문제작이다. 나아가 그의 작품들은 오늘날 반드시 대면해야 할 진실에 대해 우리 스스로에게 질문하고 답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위의 논의를 토대로 윤동주 문학의 현재성은 규명될 수 있다. 우리는 이 지점에서야 그 규명의 중심 대상으로 「병원」이라는 시를 발견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매우 귀중한 보조적 텍스트인 시인의 산문 「화원에 꽃이 핀다」를 함께 읽고자 한다. 총 3연으로 구성된 시 「병원」은 타자성과 관련한 발견과 감응 그리고 환기의 과정을 시적으로 구현한다. 병원과 환자는 곧 세계와 존재의 은유이며, 여자와 의사는 타자성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우리에게 전달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 시는 윤동주 시인의 다른 작품들과는 달리 명작이 아닌 문제작이라는 규정이 더 적절하다. 「화원에 꽃이 핀다」에서의 화원이 아픈 상처를 지니고 있음에도 여전히 희망을 잃지 않은 청춘, 즉 젊은이들의 모임을 뜻 하는데 비해, 병원은 병들어 있는 줄도 모르는 기성세대로 이루어진 사회, 그러니까 진짜 환자들로 가득한 이 세상을 뜻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산문 「화원에 꽃이 핀다」의 화원과 시 「병원」의 병원은 이처럼 유비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는 기호체인 것이다. 이처럼 시인은 과거에도 오늘날에도 ‘병원’과 ‘화원에 꽃이 피는 순간’을 간절히 기다리고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측면에서 우리는 윤동주의 현재성을 획득하고 그가 문학적으로 기원했고, 명령했던 “아아 젊음은 오래 거기 남아 있거라.”(「사랑스런 추억」)라는 문장에 응답해야 한다. 우리는 이제 해방을 원하는 자가 목소리를 내는 방식으로 시인에게 화답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는 윤동주 문학이 선취한 미학적 타자성을 전유하는 방식과 밀접하게 연관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Yoon Dong-ju has been positioned as a poet who showed literary response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times in Korean modern literature history. Furthermore, poetic world of Yoon Dong-ju is one expression type of prophetic intelligence, and this belon...
Yoon Dong-ju has been positioned as a poet who showed literary response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times in Korean modern literature history. Furthermore, poetic world of Yoon Dong-ju is one expression type of prophetic intelligence, and this belongs to literary achievement that is ultimately connected to humanistic sociological spirit. When we define controversial work, the words ‘problem’ or ‘question’ become to be stated. We call the work which became problem at that time or throw question to future generations continuously as controversial work. His poetry was not objected to arguments because of having not announced then, but the poetry is controversial work in that it still enables important questions nowadays. And his work proposes questioning and answering methods to ourselves about truth which has to be certainly confronted now. Based on above discussions, nowness of Yoon Dong-ju literature can be investigated. We become to find out the poem “Hospital” as the center of its investigation at this point. So, we try to read “Flowers blossom in the garden”, a prose of poet, together as a precious data by itself. This poem composed of three stanzas implements otherness of such meaning, relevant discovery and response, process of arousal. Hospital and patient indicate metaphors for the world and existence, and they deliver new conception to us. Thus, it is more proper to define this poem as a controversial work instead of masterpiece differently from other work of Poet Yoon Dong-ju. The garden in “Flowers bloom in the garden” means meeting of young people, that is, youth who do not lose hope yet regardless of having sore wounds, and hospital could be seen as this world which is full of real patients, in other words, the society having been formed with the older generation who does not even know about sicking status. The garden of “Flowers bloom in the garden” and hospital of “Hospital” are symbols of containing analogous meaning in this way. Like this, the poet is eagerly waiting ‘hospital’ and ‘the moment of blooming flowers in the garden’ in the past and today. Resultantly, we should response to the sentence “Alas, Stay young long there”(“Lovely memories”) which acquired newness of Yoon Dong-ju, was prayed literally by him, and ordered. We should reciprocate to the poet with the method of making voices by persons who want freedom from now on. It is because the method is closely connected with monopolizing way of esthetic otherness having been preoccupied by Yoon Dong-ju literatur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성호, "해방기 한국 시의 계보학" 동아시아문화연구소 (57) : 161-181, 2014
2 김현, "한국문학사" 민음사 1998
3 황현산, "잘 표현된 불행" 문학동네 2012
4 이강하, "자기매체에 의한 소통의 기획과 장르의 기대지평 - 윤동주 시 연구 -" 현대문학이론학회 (65) : 211-236, 2016
5 수전 손택, "은유로서의 질병" 이후 2002
6 류양선, "윤동주의 <病院> 분석- 산문 <花園에 꽃이 핀다>와 관련하여" 한국현대문학회 (19) : 375-412, 2006
7 정우택, "윤동주에게 있어서 ‘시’와 ‘시인-됨’의 의미" 근대서지학회 9 : 2014
8 윤동주, "사진판 윤동주 자필 시고전집" 민음사 1999
9 롤랑 바르트, "사랑의 단상" 동문선 2004
10 안토니오 네그리, "비물질노동과 다중" 갈무리 2005
1 유성호, "해방기 한국 시의 계보학" 동아시아문화연구소 (57) : 161-181, 2014
2 김현, "한국문학사" 민음사 1998
3 황현산, "잘 표현된 불행" 문학동네 2012
4 이강하, "자기매체에 의한 소통의 기획과 장르의 기대지평 - 윤동주 시 연구 -" 현대문학이론학회 (65) : 211-236, 2016
5 수전 손택, "은유로서의 질병" 이후 2002
6 류양선, "윤동주의 <病院> 분석- 산문 <花園에 꽃이 핀다>와 관련하여" 한국현대문학회 (19) : 375-412, 2006
7 정우택, "윤동주에게 있어서 ‘시’와 ‘시인-됨’의 의미" 근대서지학회 9 : 2014
8 윤동주, "사진판 윤동주 자필 시고전집" 민음사 1999
9 롤랑 바르트, "사랑의 단상" 동문선 2004
10 안토니오 네그리, "비물질노동과 다중" 갈무리 2005
11 정병욱, "바람을 부비고 서 있는 말들" 집문당 1980
12 진은영, "문학의 아토포스" 그린비 2014
13 자크 랑시에르, "무지한 스승―지적 해방에 대한 다섯 가지 교훈" 궁리 2016
14 신형철, "몰락의 에티카" 문학동네 2008
15 김윤식, "거리재기의 시학" 시학 2003
16 권경아, "病院」에 나타난 병적 징후로서의 세계" (봄) : 2005
17 우신영, "『독립신문』에 나타난 근대 병원 담론 연구" 우리어문학회 (54) : 143-171, 2016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5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21-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26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시학연구외국어명 : The Korean Poetics Studies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7 | 0.67 | 0.7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4 | 0.71 | 1.366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