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최승자 시에 나타난 사랑의 의미 = A Meaning of Love Shown in Choi Seung-ja`s Poetry : focusing o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in the translated text The Secret Language of Symbols with the 5th poetry collection Lov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9167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승자 시인은 초기에도 ‘사랑’을 소재로 한 시를 쓴바 있지만, 5시집 『연인들』에서 본격적으로 ‘사랑’에 대한 시를 썼다. 최승자 시인은 1994년 아이오와대학 초청으로 미국 생활을 하면서 점성술과 별자리점을 접하였고, 타로카드에 관심을 가지면서 『상징의 비밀』을 번역하는 동안 자신의 창작시 5시집의 제목도 타로 카드 6번에 해당되는 ‘Lovers’(본론 Ⅱ. [그림 2])와 또 다른 메이저 타로 카드 6번에 해당되는 ‘Lovers’(본론 Ⅲ. [그림 7])를 따와 『연인들』로 붙인 것으로 보인다. 이런 맥락에서 최승자 시인의 시작(詩作) 활동과 번역 작업은 밀접한 관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상징의 비밀』과 『연인들』의 관계를 ‘수용미학’과 ‘영향미학’의 관점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최승자 시에서 죽음과 사랑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최승자 시에 나타난 사랑의 의미는 타로카드 6번에 해당하는‘Lovers’의 영향을 받아 ‘죽음’의 죽음, ‘죽음’이라는 의식이 죽는 과정을 거쳐 우주의전 존재를 ‘연인’으로 호명하고, 연인들 1, 2, 3에서 우주적인 사랑, 신화적인 사랑으로까지 확대 발전시키는 모습을 보여준 데 있다 하겠다.
      번역하기

      최승자 시인은 초기에도 ‘사랑’을 소재로 한 시를 쓴바 있지만, 5시집 『연인들』에서 본격적으로 ‘사랑’에 대한 시를 썼다. 최승자 시인은 1994년 아이오와대학 초청으로 미국 생활을 ...

      최승자 시인은 초기에도 ‘사랑’을 소재로 한 시를 쓴바 있지만, 5시집 『연인들』에서 본격적으로 ‘사랑’에 대한 시를 썼다. 최승자 시인은 1994년 아이오와대학 초청으로 미국 생활을 하면서 점성술과 별자리점을 접하였고, 타로카드에 관심을 가지면서 『상징의 비밀』을 번역하는 동안 자신의 창작시 5시집의 제목도 타로 카드 6번에 해당되는 ‘Lovers’(본론 Ⅱ. [그림 2])와 또 다른 메이저 타로 카드 6번에 해당되는 ‘Lovers’(본론 Ⅲ. [그림 7])를 따와 『연인들』로 붙인 것으로 보인다. 이런 맥락에서 최승자 시인의 시작(詩作) 활동과 번역 작업은 밀접한 관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상징의 비밀』과 『연인들』의 관계를 ‘수용미학’과 ‘영향미학’의 관점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최승자 시에서 죽음과 사랑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최승자 시에 나타난 사랑의 의미는 타로카드 6번에 해당하는‘Lovers’의 영향을 받아 ‘죽음’의 죽음, ‘죽음’이라는 의식이 죽는 과정을 거쳐 우주의전 존재를 ‘연인’으로 호명하고, 연인들 1, 2, 3에서 우주적인 사랑, 신화적인 사랑으로까지 확대 발전시키는 모습을 보여준 데 있다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oet Choi Seung-ja ever wrote a poem of having ‘love’ as a material even in the early days, but wrote a poem on ‘love’ in earnest in the 5th poem collection Lovers. The poet Choi Seung-ja encountered the astrology and the constellation fortune-telling while making a living in America with the invitation to the University of Iowa in 1994, and seems to have named even the 5th poem collection in her creative poetry as Lovers by quoting ‘Lovers’(Main Subject Ⅱ. [Fig.2]), which corresponds to tarot card No. 6, and ‘Lovers’(Main Subject Ⅲ. [Fig.7]), which corresponds to another major tarot card No. 6, while translating The Secret Language of Symbols with having an interest in tarot card. In this context, the poet Choi Seung-ja’s poetic-writing activity and translation work can be considered to have a close relationship. Accordingly, a relationship between The Secret Language of Symbols and Lovers was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reception aesthetics’ and ‘influential aesthetics.’ Also, death and love in Choi Seung-ja’s poetry are closely associated. Accordingly, a meaning of love, which was indicated in Choi Seung-ja’s poetry can be said to show the image of being expanded and developed even into the cosmic love and the mythical love in 1, 2, 3 of Lovers with calling the whole existence in the universe as ‘lover’ after passing through death in ‘death,’ the process of being dead consciousness dubbed ‘death’ with being influenced by ‘Lovers’ of conforming to tarot card No. 6.
      번역하기

      Poet Choi Seung-ja ever wrote a poem of having ‘love’ as a material even in the early days, but wrote a poem on ‘love’ in earnest in the 5th poem collection Lovers. The poet Choi Seung-ja encountered the astrology and the constellation fortune...

      Poet Choi Seung-ja ever wrote a poem of having ‘love’ as a material even in the early days, but wrote a poem on ‘love’ in earnest in the 5th poem collection Lovers. The poet Choi Seung-ja encountered the astrology and the constellation fortune-telling while making a living in America with the invitation to the University of Iowa in 1994, and seems to have named even the 5th poem collection in her creative poetry as Lovers by quoting ‘Lovers’(Main Subject Ⅱ. [Fig.2]), which corresponds to tarot card No. 6, and ‘Lovers’(Main Subject Ⅲ. [Fig.7]), which corresponds to another major tarot card No. 6, while translating The Secret Language of Symbols with having an interest in tarot card. In this context, the poet Choi Seung-ja’s poetic-writing activity and translation work can be considered to have a close relationship. Accordingly, a relationship between The Secret Language of Symbols and Lovers was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reception aesthetics’ and ‘influential aesthetics.’ Also, death and love in Choi Seung-ja’s poetry are closely associated. Accordingly, a meaning of love, which was indicated in Choi Seung-ja’s poetry can be said to show the image of being expanded and developed even into the cosmic love and the mythical love in 1, 2, 3 of Lovers with calling the whole existence in the universe as ‘lover’ after passing through death in ‘death,’ the process of being dead consciousness dubbed ‘death’ with being influenced by ‘Lovers’ of conforming to tarot card No. 6.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상징의 비밀』에 나타난 `타로 카드`가 『연인들』에 미친 영향
      • Ⅲ. 『연인들』1, 2, 3에 나타난 신화적 사랑
      • Ⅳ. 결론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상징의 비밀』에 나타난 `타로 카드`가 『연인들』에 미친 영향
      • Ⅲ. 『연인들』1, 2, 3에 나타난 신화적 사랑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향라, "한국 현대 페미니즘시 연구 : 고정희·최승자·김혜순의 시를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0

      2 김수이, "풍경 속의 빈 곳" 문학동네 2002

      3 김정신, "최승자의 번역 텍스트와 초기시에 나타난 고통의 시학: 고호, 실비아 플라스, 짜라투스트라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9 (19): 33-63, 2015

      4 정효구, "최승자론―죽음과 상처의 시" 1991

      5 심은정, "최승자론 : <부정적 서정성>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2

      6 김윤정, "최승자 시에 나타난 사랑의 의미와 세계인식의 변화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2

      7 김정신, "최승자 시에 나타난 부정의 정신" 현대문학이론학회 (58) : 183-207, 2014

      8 지은경, "최승자 시 연구 : 실존의식과 페미니즘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8

      9 이재헌, "최승자 詩의 自我意識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10 최승자, "즐거운 日記" 문학과지성사 1984

      1 김향라, "한국 현대 페미니즘시 연구 : 고정희·최승자·김혜순의 시를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0

      2 김수이, "풍경 속의 빈 곳" 문학동네 2002

      3 김정신, "최승자의 번역 텍스트와 초기시에 나타난 고통의 시학: 고호, 실비아 플라스, 짜라투스트라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9 (19): 33-63, 2015

      4 정효구, "최승자론―죽음과 상처의 시" 1991

      5 심은정, "최승자론 : <부정적 서정성>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2

      6 김윤정, "최승자 시에 나타난 사랑의 의미와 세계인식의 변화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2

      7 김정신, "최승자 시에 나타난 부정의 정신" 현대문학이론학회 (58) : 183-207, 2014

      8 지은경, "최승자 시 연구 : 실존의식과 페미니즘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8

      9 이재헌, "최승자 詩의 自我意識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10 최승자, "즐거운 日記" 문학과지성사 1984

      11 김용희, "죽음에 대한 시적 승리에 대하여―말의 공간, 죽음의 공간, 최승자의 시 읽기" (13) : 1999

      12 최승자, "이 時代의 사랑" 문학과지성사 1981

      13 최승자, "연인들" 문학동네 1999

      14 더글라스 알렌, "엘리아데의 신화와 종교" 이학사 [서울] 2008

      15 권희돈, "수용미학이란 무엇인가" 46 : 1990

      16 차봉희, "수용미학" 문학과지성사 1985

      17 박찬기, "수용미학" 고려원 1992

      18 박성창, "수사학과 현대 프랑스 문화이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

      19 김도남, "상호텍스트성과 텍스트 이해 교육" 박이정 2003

      20 데이비드 폰태너, "상징의 비밀" 문학동네 1998

      21 이경호, "삶의 긍정, 부정 혹은 그 사이" 1989

      22 유 준, "사랑의 형이상학에 관한 연구 : 오정희와 최승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23 줄리아 크리스테바, "사랑의 역사" 민음사 1995

      24 이상희, "사랑과 죽음의 전문가" 1991

      25 장석주, "문학, 인공정원" 프리미엄 북스 1995

      26 김현, "말들의 풍경" 문학과지성사 1990

      27 최승자, "내 무덤, 푸르고" 문학과지성사 1993

      28 최승자, "기억의 집" 문학과지성사 1989

      29 유요한, "거인 엘리아데의 어깨 위에서:엘리아데 비판에 대한 엘리아데 관점의 답변" 한국종교학연구회 30 : 2012

      30 김형기,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개념과 영향미학 -퍼포먼스와 ‘수행적인 것’을 중심으로" 한국브레히트학회 (24) : 113-145, 2011

      31 "http:/ko.wikipedia.org/wiki/%ED%83%80%EB%A1%9C/"

      32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tarot4heal&logNo=2208523968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6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시학연구
      외국어명 : The Korean Poetics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71 1.36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