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반 상담역량, 다문화 상담역량, 사회정의 옹호 상담역량의구조적 관계 및 잠재집단 탐색 = Explor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nd latent group among general, multi-cultural, and social justice advocacy counseling competen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407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counselor's general counseling competency, multi-cultural counseling competency and social justice advocacy counseling competency, an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afte...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counselor's general counseling competency, multi-cultural counseling competency and social justice advocacy counseling competency, an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after analyzing the potential profile of the three counseling competencies. For these purpose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unselor development level scale, multi-cultural counseling competency scale, and social justice advocacy counseling competency scale were administered to 428 counselors or graduate students with experiences or interest in multi-cultural counsel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counselor's counseling competency was identified as a hierarchical structure of general counseling competency, multi-cultural counseling competency, and social justice advocacy counseling competency, and a total five latent groups according to three counseling competencies were identified. The subtyp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atent group are named as follows; ‘The general counseling vulnerable group’ being a especially low level of general counseling competencies, ‘The low counseling competency group’ being a generally low level of all counseling competencies, ‘The general counseling competency group’ being a high level of general counseling competencies, ‘The multi-cultural social justice competency group’ being a high level of multi-cultural and social justice advocacy counseling competencies, The high competency group’ being a high level of all the three counseling competencies. In ‘The high competency group’, age, education, career, social and political interest,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counseling were high, These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low in ‘The low counseling competency group’ and ‘The general counseling vulnerable group’.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표는 상담자의 일반 상담역량, 다문화 상담역량, 사회정의 옹호 상담역량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 세 가지 상담 역량에 대한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한 후 잠재집단의 특...

      본 연구의 목표는 상담자의 일반 상담역량, 다문화 상담역량, 사회정의 옹호 상담역량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 세 가지 상담 역량에 대한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한 후 잠재집단의 특징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다문화 상담에 대한 관심이나 경험이 있는 상담자와 상담 대학원생 428명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 상담자 발달수준 척도, 다문화 상담역량 척도, 사회정의 옹호 상담역량 척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상담자의 상담역량은 일반 상담역량, 다문화 상담역량, 사회정의 옹호상담역량의 위계구조로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세 가지 상담역량에 따른 잠재집단은 5개로 나타났다. 각 잠재집단의 특성에 따라 일반 상담역량이 특히 낮은 ‘일반상담 취약집단’, 세 가지 상담역량이 전체적으로 낮은 ‘상담역량 취약집단’, 세 가지 상담역량 중 일반 상담역량이 높은 ‘일반 상담역량 집단’, 다문화 사회정의 상담역량이 높은 ‘다문화 사회정의 역량 집단’, 세 가지 상담역량 전체가 높은 ‘높은 역량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높은 역량집단’에서 연령․학력․경력․사회정치적 관심 등이 높았고, 다문화 수강 경험 및 다문화 상담 경험도 많았다. ‘상담역량 취약집단’과 ‘일반상담 취약집단’에서는 이러한 특성들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동훈, "현장전문가가 인식한 다문화 청소년 상담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2 (22): 281-311, 2014

      2 위주원, "한국사회 다문화상담자가 지각하는 어려움과 극복방안에 대한 개념도 연구" 아시아문화연구소 40 : 87-130, 2015

      3 임은미, "한국 상담자의 다문화 상담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상담학회 19 (19): 421-442, 2018

      4 임은미, "한국 상담자를 위한 사회정의 옹호역량 척도(SJACS-K)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상담학회 18 (18): 17-36, 2017

      5 임은미, "한국 상담자를 위한 사회문제 옹호 척도(SIAS)의 타당성 검증" 한국상담학회 17 (17): 51-70, 2016

      6 김인규, "학부 상담학과 교육의 현황과 발전방안 연구" 한국상담학회 10 (10): 793-811, 2009

      7 임은미, "학교장면에서의 옹호상담 방안 탐색" 한국교육학회 53 (53): 119-140, 2015

      8 김영근, "치료적 요인으로서의 상담자 요인에 대한 내담자의 인식 차원" 한국상담심리학회 25 (25): 203-226, 2013

      9 김봉환, "조화와 통합 지향 카운슬링을 위한 상담자 역량 탐색" 한국상담학회 13 (13): 2697-2713, 2012

      10 Neukrug, E., "전문상담자의 세계" Cengage Learning 2017

      1 이동훈, "현장전문가가 인식한 다문화 청소년 상담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2 (22): 281-311, 2014

      2 위주원, "한국사회 다문화상담자가 지각하는 어려움과 극복방안에 대한 개념도 연구" 아시아문화연구소 40 : 87-130, 2015

      3 임은미, "한국 상담자의 다문화 상담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상담학회 19 (19): 421-442, 2018

      4 임은미, "한국 상담자를 위한 사회정의 옹호역량 척도(SJACS-K)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상담학회 18 (18): 17-36, 2017

      5 임은미, "한국 상담자를 위한 사회문제 옹호 척도(SIAS)의 타당성 검증" 한국상담학회 17 (17): 51-70, 2016

      6 김인규, "학부 상담학과 교육의 현황과 발전방안 연구" 한국상담학회 10 (10): 793-811, 2009

      7 임은미, "학교장면에서의 옹호상담 방안 탐색" 한국교육학회 53 (53): 119-140, 2015

      8 김영근, "치료적 요인으로서의 상담자 요인에 대한 내담자의 인식 차원" 한국상담심리학회 25 (25): 203-226, 2013

      9 김봉환, "조화와 통합 지향 카운슬링을 위한 상담자 역량 탐색" 한국상담학회 13 (13): 2697-2713, 2012

      10 Neukrug, E., "전문상담자의 세계" Cengage Learning 2017

      11 네이버사전, "역량"

      12 김광웅, "아동상담자의 경력, 훈련 경험에 따른 자아탄력성 및 스트레스 대처 방식에 대한 연구" 한국인간발달학회 12 (12): 1-18, 2005

      13 Corey, G.,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 Cengage Learning 2017

      14 윤희섭, "상담자의 애착유형과 발달수준에 따른 역전이 관리능력의 차이" 한국상담학회 11 (11): 485-505, 2010

      15 권복실, "상담자의 성지식과 성태도에 관한 연구" 13 (13): 47-63, 2010

      16 서영석, "상담자의 동성애혐오반응에 관한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9 (19): 213-237, 2007

      17 심흥섭, "상담자 발달수준 평가에 관한 연구"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8

      18 이문기, "상담자 교육을 위한 영성교육과정 개발연구" 한국상담학회 18 (18): 357-380, 2017

      19 노지애, "상담자 개인특성이 상담협력관계에 미치는 영향 : 애착, 긍정사고, 상담경력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4

      20 조재현, "상담자 5요인 성격특성과 작업동맹과의 관계에서 상담자 발달수준의 조절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29 (29): 293-310, 2017

      21 이명우, "상담사례개념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22 김창대, "상담 성과를 가져오는 한국적 상담자 요인" 한국상담학회 9 (9): 961-986, 2008

      23 최가희, "사회정의와 상담심리의 역할" 한국상담심리학회 30 (30): 249-271, 2018

      24 강진구, "단기상담 훈련프로그램이 상담자 발달수준에 미치는 효과" 한국상담학회 6 (6): 1087-1102, 2005

      25 김현아, "다문화상담 관련 종사자의 다문화수용성과 다문화상담자 자질의 관계: 다문화상담자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4 (14): 1717-1737, 2013

      26 김현아, "다문화 현장전문가가 인식하는 다문화 내담자의 주요 문제와 특성" 한국재활심리학회 20 (20): 337-368, 2013

      27 주은선, "결혼이주여성 대상 다문화 상담 관련 종사자들의 현장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 29 (29): 817-846, 2010

      28 Anderson, T., "Therapist effects : Facilitative interpersonal skills as a predictor of therapist success" 65 (65): 755-768, 2009

      29 D’Andrea, M., "The intersection of race, class, and gender in multicultural counseling" SAGE 417-466, 2001

      30 Motulsky, S. L., "Teaching social justice in counseling psychology" 42 (42): 1058-1083, 2014

      31 Kerpelman, L. C., "Student political activism and ideology : Comparative characteristics of activist and non-activist" 16 (16): 8-13, 1969

      32 Nilsson, J. E., "Social justice advocacy among graduate students in counseling : An initial exploration" 46 (46): 267-279, 2005

      33 Ivey, A. E., "Social justice : A long-term challenge for counseling psychology" 31 (31): 290-298, 2003

      34 Ratts, M. J., "Sccial justice counseling: Toward the development of a fifth force among counseling paradigms" 48 (48): 160-172, 2009

      35 Wampold, B. E., "Qualities and actions of effective therapists: Research suggests that certain psychotherapist characteristics are key to successful treatment {Web log post}"

      36 Norcross, J. C., "Psychotherapy relationships that w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37 Lambert, M. J., "Providing feedback to psychotherapists on their patients’ progress : Clinical results and practice suggestions" 61 (61): 165-174, 2005

      38 Toporek, R. L., "Promoting systemic change through the ACA Advocacy Competencies" 87 (87): 260-268, 2009

      39 Arredondo, P., "Operationalization of the multicultural counseling competencies" AMCD 1996

      40 Essandoh, P. K., "Multicultural counseling as the"fourth force" : A call to arms" 24 (24): 126-138, 1996

      41 Sue, D. W., "Multicultural competencies and standards : A call to the professional" 70 : 477-486, 1992

      42 Vera, E. M., "Multicultural competence, social justice, and counseling psychology : Expanding our roles" 31 (31): 253-272, 2003

      43 Ratts, M. J., "Multicultural and social justice counseling competencies"

      44 Pedersen, P. B., "Inclusive cultural empathy; Making relationships central i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8

      45 Lewis, J. A., "In the special issue on multicultural social justice leadership development" 3 (3): 5-16, 2011

      46 O’Connor, T. J., "Graduate education and the cure of souls" 141 (141): 648-653, 2014

      47 김현아, "E-Learning을 통한 다문화상담자 교육이 상담자의 고정관념, 다문화상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다문화평화연구소 12 (12): 59-79, 2018

      48 Sheu, H. B.,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multicultural counseling self-efficacy scale-racial diversity form" 44 (44): 30-45, 2007

      49 Nilsson, J. E.,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the Social Issues Advocacy Scale" 71 (71): 258-275, 2011

      50 김인규, "DACUM법을 활용한 전문상담교사 양성 및 계속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8 (28): 41-60, 2011

      51 McAuliffe, G., "Culturally alert counseling: A comprehensive introduction" Sage Publications 3-23, 2013

      52 Gamst, G., "Cultural competency revised : The Califronia Brief Multicultural Competence Scale" 37 (37): 163-183, 2004

      53 Sue, D. W., "Counseling the culturally diverse: Theory and practice" John Wiley & Sons 2008

      54 Kiselica, M. S., "Bringing advocacy counseling to life : The history, issues, and human dramas of social justice work in counseling" 79 (79): 387-397, 2001

      55 Ridley, C. R., "Beyond microskills : Toward a model of counseling competence" 39 (39): 825-864, 2011

      56 Lewis, J., "Advocacy competenci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KCA)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5-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 Korea Journal of Counseling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9 2.19 2.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45 2.48 3.426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