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육상 단거리선수와 도약선수의 경기기록을 토대로 경기력발달단계를 구획하고 발달단계별 기간과 기울기를 비교할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대한육상경기연맹홈페이지를 활용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육상 단거리선수와 도약선수의 경기기록을 토대로 경기력발달단계를 구획하고 발달단계별 기간과 기울기를 비교할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대한육상경기연맹홈페이지를 활용해 ...
본 연구는 육상 단거리선수와 도약선수의 경기기록을 토대로 경기력발달단계를 구획하고 발달단계별 기간과 기울기를 비교할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대한육상경기연맹홈페이지를 활용해 실업팀 경력을 거쳐 은퇴한 육상 단거리선수 50명과 육상 도약선수 56명의 경기기록을 수집하고 출전비율에 따른 표준기록을 산출해 경기력발달을 구현하였다. 이동평균과 회귀식 기울기를 활용해 경기력발달단계를 구획하고, 발달단계별 기간과 기울기를 산출한 이후 비교기준에 따라 유사와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단거리선수의 경기력발달단계는 입문기가 0<출전비율≤13, 상승기가 13<출전비율≤ 61, 절정기가 61<출전비율≤80, 쇠퇴기가 80<출전비율≤100이고, 도약선수의 경기력발달단계는 입문기가 0<출전비율≤4, 상승기가 4<출전비율≤60, 절정기가 60<출전비율≤76, 쇠퇴기가 76<출전비율≤100이다. 둘째, 육상 단거리선수와 도약선수 의 발달단계별 기간은 입문기와 상승기 차이가 나고, 절정기와 쇠퇴기가 유사하다. 기울기는 입문기가 차이가 나고, 상승기, 절정기, 쇠퇴기가 유사하다. 이는 종목 특수성이 반영된 적응을 통한 초기 전환과 영향력의 상호융합, 입문기와 다른 성인기의 경기력 수준, 경기력발달의 보편적 흐름을 반영한다. 이상의 연구가 경기력발달단계에 대한 육상계의 관심을 유 발하길 기대해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segment performance development stages based on the records of track sprinter athletes and jumper athletes, comparing the duration and slope of each development stage. Utilizing the korea association of athletics federations websit...
This study aimed to segment performance development stages based on the records of track sprinter athletes and jumper athletes, comparing the duration and slope of each development stage. Utilizing the korea association of athletics federations website, performance records were collected from 50 retired sprinter athletes and 56 jumper athletes who had competed on professional teams. Standardized records were calculated based on participation rates to model performance development. Moving averages and regression slopes were used to segment the performance development stages, and the durations and slopes of these stages were then calculat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stag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specific criteria.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performance development stages for sprinter athletes were as follows: the beginning period (0<participation rate≤13), the rising period (13<participation rate≤61), the peak period (61<participation rate≤80), and the decline period (80<participation rate≤100). For jumper athletes, the stages were: the beginning period (0<participation rate≤4), the rising period (4<participation rate≤60), the peak period (60<participation rate≤76), and the decline period (76<participation rate≤100).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duration of the beginning and rising period between sprinter athletes and jumper athletes, while the peak and decline period were similar. In terms of slope,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beginning period, with similarities in the rising, peak, and decline period. These findings reflect the sport-specific adaptations, the transitions in the early stages, the differing performance levels between the introductory and adult stages, and the general trend of performance development. This study aims to draw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stages of athletic performance within the track and field community.
러닝 크루 참여자의 자기결정성과 자기효능감, 운동몰입 및 운동지속의도 간의 관계
스포츠이벤트 안전관리 체크리스트(4P)와 스포츠안전 PREP, 안전태도, 안전행동의 관계
운동선수 성취목표성향과 자신감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적 접근
엘리트 축구 선수가 인식하는 또래 동기 분위기와 스포츠 경쟁 성향 그리고 도핑 의도 간의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