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투리는 어떻게 문학어가 되는가? - 언어의 아카이빙과 한국어 문학어의 재편: 이문구 소설에 나타난 ‘방언’의 문제 = How does a dialect become a literary language? - Archiving of Language and Reorganization of Korean Literary Language: The Problem of 'Dialect' in Lee Moon-gu's Nove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096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aspects and ways in which dialect is realized in literary language in Lee Moon-Gu's Gwanchon Essay and Our Town. Using this analysis, this paper understands the use of dialect of Lee Moon - gu not as natural revelation of his mother tongue, but as creation of artificial literary language that realizes dialect at different levels. In addition, this paper understands this as a typical model of the linguistic practice of Korean literature in the 1970s. In Gwanchon Essay, dialects are realized literally at different levels through at least five different transcription methods under the linguistic duality based on the separation of the description and the dialogue. Linguistic hybridity caused by indirect speech and use of annotation and amplification are notable. On the other hand, the linguistic distance between description and dialogue is narrowed as dialects infiltrate the narrator's language indiscriminately. From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language of Gwanchon Essay is a constructive language that constitutes a new Korean literary language that embraces dialects under the meticulous control of the narrator, and that the language of Our Town is deconstructive language that deconstruct fictionality of modern written language exposing the linguistic confusion caused by linguistic hybridity. The way in which dialect is realized in these two works correspond to the intention and limitations of 'archiving of language' as a collective linguistic practice of Korean literature in the 1970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aspects and ways in which dialect is realized in literary language in Lee Moon-Gu's Gwanchon Essay and Our Town. Using this analysis, this paper understands the use of dialect of Lee Moon - gu not as natural...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aspects and ways in which dialect is realized in literary language in Lee Moon-Gu's Gwanchon Essay and Our Town. Using this analysis, this paper understands the use of dialect of Lee Moon - gu not as natural revelation of his mother tongue, but as creation of artificial literary language that realizes dialect at different levels. In addition, this paper understands this as a typical model of the linguistic practice of Korean literature in the 1970s. In Gwanchon Essay, dialects are realized literally at different levels through at least five different transcription methods under the linguistic duality based on the separation of the description and the dialogue. Linguistic hybridity caused by indirect speech and use of annotation and amplification are notable. On the other hand, the linguistic distance between description and dialogue is narrowed as dialects infiltrate the narrator's language indiscriminately. From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language of Gwanchon Essay is a constructive language that constitutes a new Korean literary language that embraces dialects under the meticulous control of the narrator, and that the language of Our Town is deconstructive language that deconstruct fictionality of modern written language exposing the linguistic confusion caused by linguistic hybridity. The way in which dialect is realized in these two works correspond to the intention and limitations of 'archiving of language' as a collective linguistic practice of Korean literature in the 1970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이문구의 『관촌수필』과 『우리 동네』에서 방언을 문학어로 실현되는 양상 및 방법을 분석함으로써, 이문구의 사투리 활용을 작가의 모어의 자연스런 발현이 아니라 사투리를 서로 다른 수준에서 문학어로 실현하는 인공적인 문학어의 창출로 파악하는 동시에, 이를 1970년대에 이루어진 한국문학의 언어적 실천의 한 전형으로 파악하려 한다. 『관촌수필』에서 방언은 지문과 대화의 분리에 기초한 언어적 이원성 속에서, 최소한 다섯 가지의 서로 다른 표기 방법을 통해 서로 다른 수준에서 문학어로서 실현된다. 간접화법을 통한 언어적 혼성과 주석 및 부연의 활용 등은 이와 관련하여 특히 주목해야 할 현상이다. 이와 달리 『우리 동네』는 방언이 서술자의 언어에 무차별적으로 틈입하면서 지문과 대화의 언어적 거리가 상당히 좁혀진다. 이로부터 『관촌수필』의 언어는 서술자의 세심한 통제 아래에서 방언을 포섭하는 새로운 한국어 문학어를 구성하려는 구성적 성격을 가진 언어이며, 『우리 동네』의 언어는 이질적인 언어의 혼성으로 생기는 언어적 혼란을 그대로 노출하면서 이를 통해 근대 문어 및 근대 문어가 산출한 허위적인 개념을 비판적으로 해체하는 해체적 성격을 가진 언어라는 점을 유추할 수 있다. 『관촌수필』과 『우리 동네』에서 방언이 실현되는 이러한 방식 및 그 차이는 1970년대 한국문학의 집단적인 언어적 실천으로서의 ‘언어의 아카이빙’의 의도와 한계에 그대로 대응된다.
      번역하기

      이 글은 이문구의 『관촌수필』과 『우리 동네』에서 방언을 문학어로 실현되는 양상 및 방법을 분석함으로써, 이문구의 사투리 활용을 작가의 모어의 자연스런 발현이 아니라 사투리를 서...

      이 글은 이문구의 『관촌수필』과 『우리 동네』에서 방언을 문학어로 실현되는 양상 및 방법을 분석함으로써, 이문구의 사투리 활용을 작가의 모어의 자연스런 발현이 아니라 사투리를 서로 다른 수준에서 문학어로 실현하는 인공적인 문학어의 창출로 파악하는 동시에, 이를 1970년대에 이루어진 한국문학의 언어적 실천의 한 전형으로 파악하려 한다. 『관촌수필』에서 방언은 지문과 대화의 분리에 기초한 언어적 이원성 속에서, 최소한 다섯 가지의 서로 다른 표기 방법을 통해 서로 다른 수준에서 문학어로서 실현된다. 간접화법을 통한 언어적 혼성과 주석 및 부연의 활용 등은 이와 관련하여 특히 주목해야 할 현상이다. 이와 달리 『우리 동네』는 방언이 서술자의 언어에 무차별적으로 틈입하면서 지문과 대화의 언어적 거리가 상당히 좁혀진다. 이로부터 『관촌수필』의 언어는 서술자의 세심한 통제 아래에서 방언을 포섭하는 새로운 한국어 문학어를 구성하려는 구성적 성격을 가진 언어이며, 『우리 동네』의 언어는 이질적인 언어의 혼성으로 생기는 언어적 혼란을 그대로 노출하면서 이를 통해 근대 문어 및 근대 문어가 산출한 허위적인 개념을 비판적으로 해체하는 해체적 성격을 가진 언어라는 점을 유추할 수 있다. 『관촌수필』과 『우리 동네』에서 방언이 실현되는 이러한 방식 및 그 차이는 1970년대 한국문학의 집단적인 언어적 실천으로서의 ‘언어의 아카이빙’의 의도와 한계에 그대로 대응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종호, "「한글만으로의 길」 하편" 창작과비평사 14 : 388-403, 1969

      2 유승환, "황석영 문학의 언어와 양식" 서울대학교 2016

      3 Ashcroft, Bill, "포스트 콜로니얼 문학이론" 민음사 1996

      4 송희복, "청감(聽感)의 시학, 생동하는 토착어의 힘- 김유정과 이문구를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77) : 751-776, 2007

      5 Bakhtin, M. M, "장편소설과 민중언어" 창작과비평사 1988

      6 조남현, "이문구, 고유어의 마지막 파수꾼" 국립국어원 11 : 131-139, 2001

      7 전정구, "이문구 소설의 문체 연구" 현대문학이론학회 9 : 253-277, 1998

      8 김상태, "이문구 소설의 문체" 작가세계사 4 (4): 82-94, 1992

      9 고인환, "이문구 소설에 나타난 근대성과 탈식민성 연구" 청동거울 2003

      10 민충환, "이문구 소설어 사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1

      1 유종호, "「한글만으로의 길」 하편" 창작과비평사 14 : 388-403, 1969

      2 유승환, "황석영 문학의 언어와 양식" 서울대학교 2016

      3 Ashcroft, Bill, "포스트 콜로니얼 문학이론" 민음사 1996

      4 송희복, "청감(聽感)의 시학, 생동하는 토착어의 힘- 김유정과 이문구를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77) : 751-776, 2007

      5 Bakhtin, M. M, "장편소설과 민중언어" 창작과비평사 1988

      6 조남현, "이문구, 고유어의 마지막 파수꾼" 국립국어원 11 : 131-139, 2001

      7 전정구, "이문구 소설의 문체 연구" 현대문학이론학회 9 : 253-277, 1998

      8 김상태, "이문구 소설의 문체" 작가세계사 4 (4): 82-94, 1992

      9 고인환, "이문구 소설에 나타난 근대성과 탈식민성 연구" 청동거울 2003

      10 민충환, "이문구 소설어 사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1

      11 민병인, "이문구 소설 연구 : 농경문화 서사와 구술적 문체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1

      12 구자황, "이문구 문학의 전통과 근대" 역락 2006

      13 장연진, "이문구 문학 연구" 고려대학교 2018

      14 이문구, "우리 동네 최씨" 48 : 1978

      15 이문구, "우리 동네 리씨" 55 : 1978

      16 이문구, "우리 동네 김씨" 49 : 1977

      17 이문구, "외람된 희망" 실천문학사 2015

      18 安田敏朗, "언어의 구축" 제이엔씨 2009

      19 백낙청, "사회비평 이상의 것" 창작과비평사 51 : 346-352, 1979

      20 전성태, "방언의 상상력" 작가회의 34 : 60-86, 2004

      21 백낙청, "민족문학의 현단계" 창작과비평사 35 : 35-68, 1975

      22 이상규, "문학방언 연구의 가능성과 그 방향" 한민족어문학회 39 : 83-119, 2001

      23 이상규, "문학과 방언" 역락 2001

      24 최인훈, "문체의 소재와 위치"

      25 이태준, "문장강화" 문장사 1940

      26 유승환, "모국어의 심급들, 토대로서의 번역 - 유종호의 ‘토착어’와 백낙청의 ‘토속어’" 상허학회 47 : 327-364, 2016

      27 Bakhtin, M. M, "마르크스주의와 언어철학" 한겨레 1988

      28 황종연, "도시화・산업화 시대의 방외인" 작가세계 4 (4): 53-69, 1992

      29 김춘복, "농촌소설과 농촌생활" 46 : 2-40, 1977

      30 임우기, "그늘에 대하여" 강 1996

      31 최학근, "국어방언학" 형설출판사 1983

      32 이문구, "冠村隨筆・5 空山吐月" 14 : 1973

      33 이문구, "冠村隨筆③-行雪備考" 59 : 1973

      34 이문구, "冠村隨筆① 日落西山" 106 : 1972

      35 이문구, "冠村隨筆-花無十日" 101 : 1973

      36 이문구, "冠村隨筆 4-綠水靑山" 29 : 1973

      37 이문구, "冠村隨筆" 문학과지성사 1977

      38 유종호, "『유종호 전집』 2" 민음사 1995

      39 정호웅, "『문학 에스프리』 25" 등대지기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4 0.64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