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종호, "「한글만으로의 길」 하편" 창작과비평사 14 : 388-403, 1969
2 유승환, "황석영 문학의 언어와 양식" 서울대학교 2016
3 Ashcroft, Bill, "포스트 콜로니얼 문학이론" 민음사 1996
4 송희복, "청감(聽感)의 시학, 생동하는 토착어의 힘- 김유정과 이문구를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77) : 751-776, 2007
5 Bakhtin, M. M, "장편소설과 민중언어" 창작과비평사 1988
6 조남현, "이문구, 고유어의 마지막 파수꾼" 국립국어원 11 : 131-139, 2001
7 전정구, "이문구 소설의 문체 연구" 현대문학이론학회 9 : 253-277, 1998
8 김상태, "이문구 소설의 문체" 작가세계사 4 (4): 82-94, 1992
9 고인환, "이문구 소설에 나타난 근대성과 탈식민성 연구" 청동거울 2003
10 민충환, "이문구 소설어 사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1
1 유종호, "「한글만으로의 길」 하편" 창작과비평사 14 : 388-403, 1969
2 유승환, "황석영 문학의 언어와 양식" 서울대학교 2016
3 Ashcroft, Bill, "포스트 콜로니얼 문학이론" 민음사 1996
4 송희복, "청감(聽感)의 시학, 생동하는 토착어의 힘- 김유정과 이문구를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77) : 751-776, 2007
5 Bakhtin, M. M, "장편소설과 민중언어" 창작과비평사 1988
6 조남현, "이문구, 고유어의 마지막 파수꾼" 국립국어원 11 : 131-139, 2001
7 전정구, "이문구 소설의 문체 연구" 현대문학이론학회 9 : 253-277, 1998
8 김상태, "이문구 소설의 문체" 작가세계사 4 (4): 82-94, 1992
9 고인환, "이문구 소설에 나타난 근대성과 탈식민성 연구" 청동거울 2003
10 민충환, "이문구 소설어 사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1
11 민병인, "이문구 소설 연구 : 농경문화 서사와 구술적 문체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1
12 구자황, "이문구 문학의 전통과 근대" 역락 2006
13 장연진, "이문구 문학 연구" 고려대학교 2018
14 이문구, "우리 동네 최씨" 48 : 1978
15 이문구, "우리 동네 리씨" 55 : 1978
16 이문구, "우리 동네 김씨" 49 : 1977
17 이문구, "외람된 희망" 실천문학사 2015
18 安田敏朗, "언어의 구축" 제이엔씨 2009
19 백낙청, "사회비평 이상의 것" 창작과비평사 51 : 346-352, 1979
20 전성태, "방언의 상상력" 작가회의 34 : 60-86, 2004
21 백낙청, "민족문학의 현단계" 창작과비평사 35 : 35-68, 1975
22 이상규, "문학방언 연구의 가능성과 그 방향" 한민족어문학회 39 : 83-119, 2001
23 이상규, "문학과 방언" 역락 2001
24 최인훈, "문체의 소재와 위치"
25 이태준, "문장강화" 문장사 1940
26 유승환, "모국어의 심급들, 토대로서의 번역 - 유종호의 ‘토착어’와 백낙청의 ‘토속어’" 상허학회 47 : 327-364, 2016
27 Bakhtin, M. M, "마르크스주의와 언어철학" 한겨레 1988
28 황종연, "도시화・산업화 시대의 방외인" 작가세계 4 (4): 53-69, 1992
29 김춘복, "농촌소설과 농촌생활" 46 : 2-40, 1977
30 임우기, "그늘에 대하여" 강 1996
31 최학근, "국어방언학" 형설출판사 1983
32 이문구, "冠村隨筆・5 空山吐月" 14 : 1973
33 이문구, "冠村隨筆③-行雪備考" 59 : 1973
34 이문구, "冠村隨筆① 日落西山" 106 : 1972
35 이문구, "冠村隨筆-花無十日" 101 : 1973
36 이문구, "冠村隨筆 4-綠水靑山" 29 : 1973
37 이문구, "冠村隨筆" 문학과지성사 1977
38 유종호, "『유종호 전집』 2" 민음사 1995
39 정호웅, "『문학 에스프리』 25" 등대지기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