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과 실행 수준 및 프로그램 평가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among Perception, Level of Performance, and Program Evaluation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the Nuri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264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features and demands of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on Nuri curriculum and to look for the proper service directions and implications. In particular, it aimed the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on Nuri curriculum to analyze their perception, level of performance, program evaluation,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elements. 195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of special school kindergartens and early childhood special schools around the nation participated, and the questionnaires on perception, level of performance, and program evaluation suggested by precedent study were corrected and complemented to use as a study tool. T-verification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on Nuri curriculum appeared to be higher than normal level and the perception of concern and appropriateness appeared to be higher than practice and support perception in the perception level. In the practice and support perception, they recognized as average in the class materials, tools and furnishing support, and training usefulness, and they showed a very low perception level for the scholarship support.
      The level of performance of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on Nuri curriculum showed a positive response and showed a comparatively high level of performance in the operation, contents, and method, while it showed a low level of performance compared to other domains in the composition directions, goals, and evaluation.
      The program evaluation of Nuri curriculum was positive, and the positive evaluations appeared in order of interaction, Nuri curriculum contents, connection between health/safety, family/community, educational environment, curriculum and teacher evaluation, and faculty professionalism. In the faculty professionalism domain,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consistently to improve the Nuri curriculum activity which showed the lowest figure among the program evaluations.
      Second, the following is the relationship among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on Nuri curriculum, level of performance, and program evaluation. Nuri curriculum perception influenced the level of performance, and the higher perception was, the higher level of performance was. Nuri curriculum perception influenced the program evaluation and the higher perception was, the higher program evaluation was. Nuri curriculum level of performance influenced the program evaluation and the higher the level of performance was, the higher program evaluation wa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features and demands of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on Nuri curriculum and to look for the proper service directions and implications. In particular, it aimed the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on Nur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features and demands of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on Nuri curriculum and to look for the proper service directions and implications. In particular, it aimed the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on Nuri curriculum to analyze their perception, level of performance, program evaluation,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elements. 195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of special school kindergartens and early childhood special schools around the nation participated, and the questionnaires on perception, level of performance, and program evaluation suggested by precedent study were corrected and complemented to use as a study tool. T-verification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on Nuri curriculum appeared to be higher than normal level and the perception of concern and appropriateness appeared to be higher than practice and support perception in the perception level. In the practice and support perception, they recognized as average in the class materials, tools and furnishing support, and training usefulness, and they showed a very low perception level for the scholarship support.
      The level of performance of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on Nuri curriculum showed a positive response and showed a comparatively high level of performance in the operation, contents, and method, while it showed a low level of performance compared to other domains in the composition directions, goals, and evaluation.
      The program evaluation of Nuri curriculum was positive, and the positive evaluations appeared in order of interaction, Nuri curriculum contents, connection between health/safety, family/community, educational environment, curriculum and teacher evaluation, and faculty professionalism. In the faculty professionalism domain,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consistently to improve the Nuri curriculum activity which showed the lowest figure among the program evaluations.
      Second, the following is the relationship among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on Nuri curriculum, level of performance, and program evaluation. Nuri curriculum perception influenced the level of performance, and the higher perception was, the higher level of performance was. Nuri curriculum perception influenced the program evaluation and the higher perception was, the higher program evaluation was. Nuri curriculum level of performance influenced the program evaluation and the higher the level of performance was, the higher program evaluation wa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실행 수준, 프로그램 평가와 이들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특성과 요구를 파악하고, 적절한 지원 방향과 시사점을 모색하는데 있다. 전국 특수학교 유치원과 유아특수학교의 유아특수교사 195명이 참여하였으며, 연구 도구는 선행 연구에서 제시한 인식, 실행 수준,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설문지를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t-검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은 보통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심 및 적절성 인식이 실천 및 지원 인식 보다 인식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천 및 지원 인식에서는 수업 자료 및 기기 및 비품 지원과 연수 유용성에서 보통으로 인식하며, 장학 지원에 대해서 매우 낮은 인식 정도를 나타냈다.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실행 수준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운영, 내용, 방법에서 비교적 높은 실행 수준을 보이고 있는 반면 구성방향, 목표, 평가에서 다른 영역에 비해 낮은 실행 수준을 보였다. 누리과정 프로그램의 평가는 긍정적이었으며, 상호작용, 누리과정 내용, 건강ㆍ안전, 가정ㆍ지역사회와의 연계, 교육환경, 교육과정 및 교사평가, 교직원 전문성 순으로 평가를 나타냈다. 교직원 전문성 영역에서 유아특수교사들은 연수에 지속적으로 참여하여 누리과정 활동이 개선되도록 하는 것에서는 프로그램 평가 중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둘째,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특수교사 인식, 실행 수준, 프로그램 평가의 관계에서 누리과정 인식은 누리과정 실행 수준과 프로그램 평가에 영향을 주며, 인식이 높을수록 실행 수준 및 프로그램 평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누리과정 실행 수준은 프로그램 평가에 영향을 미치고, 실행 수준이 높을수록 프로그램 평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실행 수준, 프로그램 평가와 이들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특성과 요구를 파악하고, 적절한 지...

      본 연구의 목적은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실행 수준, 프로그램 평가와 이들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특성과 요구를 파악하고, 적절한 지원 방향과 시사점을 모색하는데 있다. 전국 특수학교 유치원과 유아특수학교의 유아특수교사 195명이 참여하였으며, 연구 도구는 선행 연구에서 제시한 인식, 실행 수준,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설문지를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t-검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은 보통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심 및 적절성 인식이 실천 및 지원 인식 보다 인식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천 및 지원 인식에서는 수업 자료 및 기기 및 비품 지원과 연수 유용성에서 보통으로 인식하며, 장학 지원에 대해서 매우 낮은 인식 정도를 나타냈다.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실행 수준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운영, 내용, 방법에서 비교적 높은 실행 수준을 보이고 있는 반면 구성방향, 목표, 평가에서 다른 영역에 비해 낮은 실행 수준을 보였다. 누리과정 프로그램의 평가는 긍정적이었으며, 상호작용, 누리과정 내용, 건강ㆍ안전, 가정ㆍ지역사회와의 연계, 교육환경, 교육과정 및 교사평가, 교직원 전문성 순으로 평가를 나타냈다. 교직원 전문성 영역에서 유아특수교사들은 연수에 지속적으로 참여하여 누리과정 활동이 개선되도록 하는 것에서는 프로그램 평가 중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둘째,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특수교사 인식, 실행 수준, 프로그램 평가의 관계에서 누리과정 인식은 누리과정 실행 수준과 프로그램 평가에 영향을 주며, 인식이 높을수록 실행 수준 및 프로그램 평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누리과정 실행 수준은 프로그램 평가에 영향을 미치고, 실행 수준이 높을수록 프로그램 평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순화, "표준보육프로그램에 대한 보육교사들의 관심 및 활용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 박지현,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2011

      3 김현식, "특수교육 유치원과정 의무교육 실시에 대한 유아특수교사 및 학부모의 인식"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4 권요한, "특수교육 교육과정론" 학지사 2011

      5 교육과학기술부, "특수교육 교육과정. 고시 제 2012-32호"

      6 서동숙, "제6차 유치원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관심과 실행에 관한 연구 : 강원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7 양윤형, "장애영아 특수교육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1

      8 이소현, "장애 유아를 위한 일반 유아교육과정 기반의 개별화교육계획 실행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개별화 교육과정 운영 지원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2 (12): 59-90, 2012

      9 부성숙,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와 활용수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10 김현숙, "유치원 교육과정 탐구생활 영역의 ‘수학적 기초능력 기르기’ 편성 및 운영에 대한 서울 및 경기지역 유아특수교사들의 인식 및 실태 조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0 (10): 135-167, 2010

      1 한순화, "표준보육프로그램에 대한 보육교사들의 관심 및 활용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 박지현,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2011

      3 김현식, "특수교육 유치원과정 의무교육 실시에 대한 유아특수교사 및 학부모의 인식"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4 권요한, "특수교육 교육과정론" 학지사 2011

      5 교육과학기술부, "특수교육 교육과정. 고시 제 2012-32호"

      6 서동숙, "제6차 유치원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관심과 실행에 관한 연구 : 강원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7 양윤형, "장애영아 특수교육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1

      8 이소현, "장애 유아를 위한 일반 유아교육과정 기반의 개별화교육계획 실행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개별화 교육과정 운영 지원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2 (12): 59-90, 2012

      9 부성숙,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와 활용수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10 김현숙, "유치원 교육과정 탐구생활 영역의 ‘수학적 기초능력 기르기’ 편성 및 운영에 대한 서울 및 경기지역 유아특수교사들의 인식 및 실태 조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0 (10): 135-167, 2010

      11 한수진, "유치원 교사들의 국가 수준 교육과정 인식 및 실행에 관한 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1

      12 황해익, "유아교육평가의 이해" 정민사 2009

      13 박창현, "유아교육과정 실행과 영향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14 이기숙, "유아교육과정" 교문사 2008

      15 김영아,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질적수준에 대한 교사의 자기평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16 이진희,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의 다양성과 깊이에 대한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26 (26): 261-282, 2006

      17 김희진, "유아교사의 만3-5세 누리과정 적용에 대한 인식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8 박혜영, "유아교사의 누리과정에 대한 이해와 운영현황"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9 강미녀, "유아교사의 5세 누리과정에 대한 관심도와 실행수준"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0 태성란, "유아교사의 5세 누리과정 실행수준 및 실행 시 장애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1 이원석, "우리는 왜 프로그램을 평가하는가?" 한국교육평가학회 26 (26): 1-13, 2013

      22 김연하, "예비유아교사와 예비유아특수교사의 국가수준 유치원 교육과정 각 생활영역에 대한 교수역량의 자기평가"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0 (10): 139-159, 2010

      23 홍근민, "영아보육환경의 질적 수준에 따른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24 명월임, "영아보육프로그램의 질적수준에 대한 교사의 인식" 천안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1

      25 송혜린,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 및 교사의 놀이참여와 아동의 놀이행동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26 유희정, "어린이집의 설립유형에 따른 질적수준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7

      27 김정인, "보육시설의 질적 수준에 따른 유아의 감정조망수용능력과 친사회적 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28 박연순, "보육시설의 질적 수준에 따른 영아의 친사회적 행동비교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29 조항린, "보육시설의 질적 수준과 아동의 놀이 행동 유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30 이지효, "발달지체유아의 통합교육 관련 요인과 유치원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유치원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645-664, 2011

      31 이현주, "누리과정연수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32 류아영,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행수준 및 만족도"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33 정혜승,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 연구" 박이정 2002

      34 박정애, "국가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과 실행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35 Hord, S. M., "교육과정 혁신: 관심에 기초한 교육과정 실행모형" 교육과학사 1993

      36 박일수, "교육과정 평가와 프로그램 평가 접근방법과의 관계" 한국초등교육학회 22 (22): 223-248, 2009

      37 이경진, "교육과정 실행에 나타난 교육과정 변화의 내용과 요인에 대한 연구 : '창의성 증진을 위한 초등 수학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38 권낙원, "교육과정 실행 수준 결정 요인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87-106, 2006

      39 김민환, "교사의 교육과정 인식과 실천에 관한 연구" 17 (17): 219-247, 1999

      40 박승렬, "교사변인과 교육과정 실행 간의 관계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41 김선미, "공·사립유치원의 질적 수준에 대한 연구 : 질적·양적 접근의 통합적 관점"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42 이정욱, "「5세 누리과정」 정책과 교육내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167-192, 2012

      43 교육과학기술부, "「3~4세 누리과정」도입 계획"

      44 이경진, "‘실행’을 중심으로 본 교육과정의 의미와 교사의 역할"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57-80, 2005

      45 Elbaz, F., "Th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 Report of a case study" 11 (11): 43-70, 1981

      46 Gibboney, R. A., "The Stone Trumpet: A Story of Practical School Reform, 1960~1990"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4

      47 Fullan, M., "The New Meaning of Educational Change" Teacher College Press 2003

      48 Colton, A, B., "A conceptual framework to guide the development of teacher reflection and decision making" 44 (44): 45-54, 1993

      49 안정민, "5세 누리과정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50 전혜미, "5세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51 박지은, "5세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 교사들의 관심도 및 인식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52 손수연, "5세 누리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행수준 및 프로그램 평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53 이기숙, "5세 누리과정 유아평가 도구 개발 연구" 서울특별시유아교육진흥원 2012

      54 교육과학기술부, "5세 누리과정 교사용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 2012

      55 교육과학기술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

      56 교육과학기술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완성ㆍ고시"

      57 장수민,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대한 유치원교사와 어린이집교사의 인식 비교"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58 홍혜라, "3-5세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행수준과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59 김은미, "3-5세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실행수준과 실천적 지식 및 교사 효능감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60 교육과학기술부, "2012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 고시 제 2012-16호"

      61 교육과학기술부, "2011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 고시 제2011-30호"

      62 지효정,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관심과 활용수준"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63 허유진,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와 실행수준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64 서원정, "2007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공립 유치원 교사의 관심 및 실행 : 전북 지역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 With Special Need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4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아동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15 1.374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