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거학 교육의 특성화 증대방안으로서 시설경영 교과과정 도입의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f a Facilities Management Program as a Way of Specialization of Housing Stud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691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ny housing studies and education programs in Korea have focused on design, planning, and construction. Houses and nearby environments are a large portion of the total assets each household possesses. However, effective and efficient housing manageme...

      Many housing studies and education programs in Korea have focused on design, planning, and construction. Houses and nearby environments are a large portion of the total assets each household possesses. However, effective and efficient housing management of housing assets has been relatively neglected. Facility management can be defined as the practice of coordinating the physical environment with the people and process (work of the organ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construct of courses of Housing majors in the College of Human Ecology in Korea and investigate facilities management programs and courses provided in the U.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merging facility management perspectives and educational programs into housing studies. Many courses provided in facility management programs have human ecology perspectives in terms of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life cycle commitment, and various stakeholders building physical, social, and ecological milieu. By merging and supplementing the existing curricula of housing and consumer studies, facility nanagement programs and courses could be a possible alternative to specialized housing education program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프랫대 건축대학 시설경영 전공" 2007

      2 "페리스주립대학교 테크놀러지 대학 시설경영학과 홈페이지" 2007

      3 "코넬대학교 생활과학대학 디자인과 환경 분석학과 홈페이지" 2007

      4 "충북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주거환경소비자학과 홈페이지" 2007

      5 "중앙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주거학과 홈페이지" 2007

      6 김선중, "주택산업 변화에 대응한 주거학교육" 14 (14): 1-10, 2003

      7 "주거학 분야의 교육기법과 교육사례" 대한가정학회 제 57차 춘계학술대회 68-76, 2004

      8 "조지아공대 건축대학 건설관리 및 시설경영 전공 홈페이지" 2007

      9 "울산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생활과학부 주거환경학전공 홈페이지" 2007

      10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주거환경학과 홈페이지" 2007

      1 "프랫대 건축대학 시설경영 전공" 2007

      2 "페리스주립대학교 테크놀러지 대학 시설경영학과 홈페이지" 2007

      3 "코넬대학교 생활과학대학 디자인과 환경 분석학과 홈페이지" 2007

      4 "충북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주거환경소비자학과 홈페이지" 2007

      5 "중앙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주거학과 홈페이지" 2007

      6 김선중, "주택산업 변화에 대응한 주거학교육" 14 (14): 1-10, 2003

      7 "주거학 분야의 교육기법과 교육사례" 대한가정학회 제 57차 춘계학술대회 68-76, 2004

      8 "조지아공대 건축대학 건설관리 및 시설경영 전공 홈페이지" 2007

      9 "울산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생활과학부 주거환경학전공 홈페이지" 2007

      10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주거환경학과 홈페이지" 2007

      11 "실내디자인 교육의 특성화 방안을 위한 교육과정 분석" 35 : 11-21, 2002

      12 한영호, "실내디자인 교육의 특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특성화 분류 및 현황을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36 : 3-13, 2003

      13 "상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활환경학부 소비자주거학전공 홈페이지" 2007

      14 "브라이엄영 대학교 테크놀러지 대학 시설경영학과 홈페이지" 2007

      15 "부산대학교 생활환경대학 주거환경학과 홈페이지" 2007

      16 심은주, "교육과 실무의 상호 발전을 위한 전문교육인증제도: 그 의미와 역할" 13 (13): 3-9, 2004

      17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생활과학부 주거환경전공 홈페이지" 2007

      18 "건국대학교 건축대학 건축공학부 주거환경전공 홈페이지" 2007

      19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부 소비자주거학전공 홈페이지" 2007

      20 Cotts, "The Facility Management Handbook" 1999

      21 Rondeau, "Facility Management" Wiley 1996

      22 Tay, "Facilities management: a "Jack of all trade"?" 19 (19): 357-362, 2001

      23 임영숙, "21세기 한국실내디자인교육의 문제점 및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30 : 2002

      24 ". 주거학 교과과정의 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0" 111-124,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외국어명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8-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3-2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5-03-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 of KFRMA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4 1.44 1.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 1.36 1.709 0.4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