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브라질거시경제 변화와 한국의 대브라질수출 양적 변화 사이의 연관성분석: 1984-2017 = Analysis on relationship between Brazilian macroeconomic changes and quantitative changes of Korea’s export to Brazil : 1984-2017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60년대부터 한국경제는 수출을 통해 급속히 성장하였다. 초기에 소수 국가에 수출이 집중되었고, 이러한 위험을 피하기 위해, 1980년대부터 수출다변화를 추구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한국...

      1960년대부터 한국경제는 수출을 통해 급속히 성장하였다. 초기에 소수 국가에 수출이 집중되었고, 이러한 위험을 피하기 위해, 1980년대부터 수출다변화를 추구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한국의 대브라질수출 또한 1980년대부터 크게 증가하였다. 2011년에 브라질은 한국의 10번째 수출국가에 올랐었다.
      한국의 중요 수출파트너 중에 하나인 브라질에 대해, 지난 50여년간 한국의 대브라질수출에서 어떤 일이 발생되었는지를 밝혀주는 연구는 거의 없는 상황이었다. 최근 1-2년 사이에 한국의 대브라질수출의 추세와 수출상품의 시대적 변화 그리고 대브라질수출의 한국경제와 상관관계를 살펴보는 논문 3편이 발표되었다. 이 논문들은 양적 분석에 집중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러한 양적 변화가 어떤 이유로 발생하게 되었는지 살펴보려 한다. 특히 한국의 대브라질수출과 브라질거시경제 사이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통해 브라질경제의 변화에 따라 한국수출이 어떤 변화를 보여주었는지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대브라질수출이 갖는 특징을 좀 더 자세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서론에 이어 제 2장에서는 선행연구로서 최근 발표된 한국의 대브라질수출 관련 논문에 대해 살펴본다. 제 3장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눈다. 먼저 3.1절에서 이번 연구의 대상기간 (1984-2017년) 이전까지 브라질 거시경제 상황을 검토하여 대상기간에 대한 분석의 토대를 마련한다. 이어서 3.2절에서는 1984-2017년 사이 브라질거시경제의 정책/상황 변화가 한국의 대브라질수출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관점에서 분석을 진행한다. 마지막으로 제4장에서, 한국의 대브라질수출과 관련한 다양한 시대구분과 함께, 브라질 거시경제와 한국의 대브라질수출은 (+)의 관계, 즉 강한 동행성을 보여준다는 결론으로 마무리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1960s, the Korean economy has grown rapidly through exports. Initially these exports were concentrated in a small number of countries, and to avoid this risk -the vulnerability of concentration-, Korea tried the diversification of exports fr...

      Since the 1960s, the Korean economy has grown rapidly through exports. Initially these exports were concentrated in a small number of countries, and to avoid this risk -the vulnerability of concentration-, Korea tried the diversification of exports from the 1980s. In this process, Korea's exports to Brazil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In 2011, Brazil was the 10th largest country of Korea's export.
      Regarding Brazil, one of Korea's significant export partners, there are few studies on what has happened to Korea's exports to Brazil over the past 50 years. In the recent 1-2 years, three papers have been published examining the trend of Korea's exports to Brazil, the change of export products along tim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Korean economy and Korean exports to Brazil. These papers focus on quantitative analysis. In this study, we will analyse why this quantitative change occurred. In particular, it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s exports to Brazil and Brazil's macroeconomic policy and situation. Through this study, we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s exports to Brazil more, checking how Korean exports to Brazil have changed as the Brazilian economy changes.
      Following the introduction, Chapter 2 examines 3 recently published papers on Korea's exports to Brazil as a prior study. Chapter 3 is divided into two parts. First, it reviews the macroeconomic policy and situation in Brazil before 1984, laying the groundwork for analysis of the target period (1984-2017). In section 3.2, it analyzes the impact of Brazil's macroeconomic changes on Korea's exports to Brazil. Finally, in Chapter 4, we conclude that Brazil's macroeconomic and Korea's exports to Brazil show a (+) relationship, or strong co-movement, showing 3 types of time divisions related to Korea's exports to Brazil over the last 40 year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