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여인석, "한국의학사" 역사공간 2018
2 한국한의학연구원, "한국 한의학을 만든 사람들 2" 문사철 2015
3 홍원식, "증보 중국의학사" 一中社 2001
4 文光哲, "조선초기 漢學習讀官의 설치와 운영" 忠南大學校 大學院 1998
5 정다함, "조선전기 양반 잡학겸수관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6 박훈평, "조선시대 의관 총목록" 한국한의학연구원 2018
7 원창애,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의 관직 진출 양상" 조선시대사학회 (43) : 5-50, 2007
8 원창애, "조선시대 과거제도 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4
9 김성수, "조선시대 儒醫의 형성과 변화" 한국의사학회 28 (28): 105-120, 2015
10 이태진, "의술과 인구 그리고 농업기술 -조선 유교국가의 경제발전 모델-" 태학사 2002
1 여인석, "한국의학사" 역사공간 2018
2 한국한의학연구원, "한국 한의학을 만든 사람들 2" 문사철 2015
3 홍원식, "증보 중국의학사" 一中社 2001
4 文光哲, "조선초기 漢學習讀官의 설치와 운영" 忠南大學校 大學院 1998
5 정다함, "조선전기 양반 잡학겸수관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6 박훈평, "조선시대 의관 총목록" 한국한의학연구원 2018
7 원창애,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의 관직 진출 양상" 조선시대사학회 (43) : 5-50, 2007
8 원창애, "조선시대 과거제도 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4
9 김성수, "조선시대 儒醫의 형성과 변화" 한국의사학회 28 (28): 105-120, 2015
10 이태진, "의술과 인구 그리고 농업기술 -조선 유교국가의 경제발전 모델-" 태학사 2002
11 한영우, "과거, 출세의 사다리" 지식산업사 2013
12 "食療纂要"
13 金斗鍾, "韓國醫學史" 探求堂 1966
14 孫弘烈, "韓國中世의 醫療制度硏究" 修書院 1988
15 "遯軒先生文集"
16 "訥隱先生文集"
17 "西潭先生文集"
18 "西山先生文集"
19 "萬曆十六年戊子二月二十四日司馬榜目"
20 "艮齋先生文集"
21 "經國大典註解"
22 "經國大典"
23 "簡易文集"
24 "石溪先生文集"
25 "白沙先生集"
26 "瘡疹集"
27 "燃藜室記述"
28 "炊沙先生文集"
29 "漁村集"
30 "栢潭先生文集"
31 "松澗先生文集"
32 "松巖先生續集"
33 "東文選"
34 "東岡先生文集"
35 三木榮, "朝鮮醫學史及疾病史" 自家出版 1963
36 "朝鮮王朝實錄(태조~중종)"
37 신유아, "朝鮮前期 遞兒職 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38 鄭求先, "朝鮮前期 官吏任用制度에 대한 一考察 -權知의 別薦과 南行의 官界進出을 중심으로-" 25 : 1991
39 정다함, "朝鮮初期 習讀官 制度의 運營과 그 實態" 진단학회 (96) : 33-72, 2003
40 金重權, "朝鮮初 醫書習讀에 관한 硏究 -醫書習讀官을 中心으로-" 15 : 1998
41 "月沙先生集"
42 "拙翁集"
43 "成化十九年癸卯式二月日生員進士榜目"
44 "慕齋先生集"
45 "慕堂集"
46 "小山先生文集"
47 "大典通編"
48 "大典續錄"
49 "大典後續錄"
50 "國朝文科榜目"
51 "國朝寶鑑"
52 "典錄通考"
53 성호준, "儒醫 의학의 사상적 특성" 16 (16): 2007
54 金聖洙, "16세기 鄕村醫療 實態와 士族의 대응" 113 : 2001
55 박훈평, "15-16세기 조선 의학 관료의 신분 변천: 양성이씨 세전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의사학회 27 (27): 295-322,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