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國南宋詩壇“中興四家”之一楊萬裏和韓國朝鮮時期的大儒李滉都既爲道學名家,也是著名詩人。二人就離開混亂的官場,以閉門自守、勉力爲文度過餘生,他們的這種處世態度不是逃避...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中國南宋詩壇“中興四家”之一楊萬裏和韓國朝鮮時期的大儒李滉都既爲道學名家,也是著名詩人。二人就離開混亂的官場,以閉門自守、勉力爲文度過餘生,他們的這種處世態度不是逃避...
中國南宋詩壇“中興四家”之一楊萬裏和韓國朝鮮時期的大儒李滉都既爲道學名家,也是著名詩人。二人就離開混亂的官場,以閉門自守、勉力爲文度過餘生,他們的這種處世態度不是逃避,而是根據儒家傳統的“窮則獨善其身,達則兼濟天下”的出處觀所形成的將避世隱居和砥礪志節合二爲一的一種生活方式,二人服膺“誠者,天之道也”的≪中庸≫觀,終生以“正心誠意”和“誠、敬”的態度專注於研究學問、培養後學、從事著述。
楊、李二人如此的生活態度和處世方式很像淩霜怒放、卓然不群的梅花,他們確也留下了大量的吟詠梅花的詩作。在這些詩中他們有時直接歌頌梅花,有時又跟梅花談天,甚至稱呼梅花爲“梅兄”,表現出對梅花的極度尊敬和喜愛。從二人在詠梅詩裏對梅花傲骨風姿、堅貞氣節的由衷讚美,可見梅花在他們的藝術視界裏已不是單純的珍玩,而成爲一種寄託自己精神,甚至與其等同的形而上學的存在。他們在這些詠梅詩中,實達到了物我一體的境界。
通過對楊萬裏和李滉所留下的一百餘首詠梅詩的探討,可見二人道學家式的人生態度深刻地影響到了其詩歌創作,而這道學風格和其創作思想、美學旨趣又有著密切聯系。
참고문헌 (Reference)
1 歐純純, "陸游與楊萬里詠梅詩比較硏究" 中正大學 2003
2 陳小芒, "論詠梅詩的文化意蘊" 24 (24): 2003
3 李伏明, "論楊萬里重建儒學本體論基礎的努力與成就" 20 (20): 1999
4 韓梅, "論楊萬里咏梅詩的新變" 2008
5 이상은, "퇴계의 생애와 학문" 예문서원 1999
6 홍승균, "퇴계선생언행록" 퇴계학연구원 2007
7 退溪문집독회, "퇴계선생 매화시" 교육과학사 2004
8 이성무, "퇴계 이황의 생애와 사상" 조선시대사학회 (45) : 179-218, 2008
9 박혜숙, "조선의 매화시" 26 : 2000
10 기세춘, "성리학개론 상ㆍ하" 바이북스 2007
1 歐純純, "陸游與楊萬里詠梅詩比較硏究" 中正大學 2003
2 陳小芒, "論詠梅詩的文化意蘊" 24 (24): 2003
3 李伏明, "論楊萬里重建儒學本體論基礎的努力與成就" 20 (20): 1999
4 韓梅, "論楊萬里咏梅詩的新變" 2008
5 이상은, "퇴계의 생애와 학문" 예문서원 1999
6 홍승균, "퇴계선생언행록" 퇴계학연구원 2007
7 退溪문집독회, "퇴계선생 매화시" 교육과학사 2004
8 이성무, "퇴계 이황의 생애와 사상" 조선시대사학회 (45) : 179-218, 2008
9 박혜숙, "조선의 매화시" 26 : 2000
10 기세춘, "성리학개론 상ㆍ하" 바이북스 2007
11 이어령, "매화" 생각의 나무 2003
12 이상희, "매화" 넥서스BOOKS 2002
13 洪瑀欽, "退溪의 ≪梅花詩帖≫에 對한 硏究" 영남대학교 인문과학 연구소 4 : 1983
14 閔丙秀, "退溪詩의 形象化方式에 대하여" 5 : 1997
15 李滉, "退溪先生文集" 민족문화추진회 29 : 1989
16 김재룡, "退溪 李滉의 梅花詩 硏究" 우리문학회 (19) : 29-60, 2006
17 鄭羽洛, "退溪 李滉의 事物認識方法과 그 詩的 形象" 동방한문학회 24 : 81-114, 2003
18 유호진, "退溪 詩의 이미지 연구" 퇴계학연구원 (116) : 185-230, 2004
19 茶山 硏究會, "譯註 牧民心書" 창작과 비평사 1985
20 于北山, "楊萬里年譜" 上海古籍出版社 2006
21 楊萬里, "楊萬里集箋校" 中華書局 2007
22 程杰, "梅花象徵生成的三大原因" 4 : 2001
23 이재일, "梅花詩에 나타난 李滉의 意識指向" 동양한문학회 27 (27): 303-343, 2008
24 周靜, "梅生不是遇萬里, 萬里原是梅花精 — 論楊萬里的梅花情結" 10 : 2007
25 陳來, "宋明性理學" 예문서원 1997
26 程杰, "宋代咏梅文學的盛況及其原因與意義(下)" 15 (15): 2002
27 程杰, "宋代咏梅文學的盛況及其原因與意義(上)" 15 (15): 2002
28 蕭翠霞, "南宋四大家詠花詩硏究" 文津出版社 1994
29 王力, "世間尤物無盛衰萬點縈風愈奇絶—陸游詩中的梅花形象" 12 : 2008
30 榮斌, "一代詠梅成正聲 — 論宋代詠梅詩詞創作熱" 24 (24): 2003
31 신익철, "18세기 매화시의 세 가지 양상" 한국시가학회 (15) : 97-126, 2004
≪노걸대(老乞大)≫어휘고(語彙考)(이(二)) -이가(利家),전지(田地),지면(地面),지두(地頭),가지(可知),시(時),리(裏),처(處)
도(都)의 배분성(Distributivity)과 망라성(Exhaustivity)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10-06-2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CHINESE STUDIES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1 | 0.31 | 0.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 | 0.28 | 0.684 | 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