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유치원 원장의 코칭역량이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Coaching Competency of Kindergarten Director on Job Satisfaction of Kindergarten Teacher: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4992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coaching competence about kindergarten teachers were recognized by kindergarten teachers on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Empirical analysis on the mediating effect is related to teacher efficacy about kindergarten teachers in job satisfaction.
      Specific research of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impact of coaching capability about the director for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the director’s coaching capability on the teacher efficacy? Third,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aching capability of the director and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In order to achieving the above objectives, a survey was conducted on 25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o survey the kindergarten teachers currently working in the kindergarten field, and a total of 165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In this study,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d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used,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1.0. Post hoc tests perform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Baron and Kenny (1986) used the 3-step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ich is a method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variable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nalysis and verification are following.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aching capability of the director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Second,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about coaching capacity of kindergarten director, teacher efficacy of kindergarten teacher and job satisfaction about kindergarten teacher.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capacity of kindergarten director and job satisfaction of kindergarten teacher. It has been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of efficacy.
      In the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among sub-variables, belief in performance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goal selection by mediating all the sub-elements of teacher efficacy, and completely mediates the feedback capacity of the kindergarten director and the intrinsic factors of job satisfac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It has been shown to be effectiv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 analysis of the studying. First, the impact of coaching capability of the director which is recognized by the teacher affects belief in the teacher’s performance. Teachers who have received positive feedback and trust through listening skill from the director have confidence in their job performance. As a manager at an educational institution, the director indicates that it is important for developing the coaching capability to the teacher effectiveness.
      Second, the higher ability of the director to make a correct relationship and to ask a question appropriate for the situation and to listen actively and to provide appropriate feedback make the higher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higher job satisfaction also affect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and children. Therefore, it is desirable for the director’s training to use effective coaching capacity ,improving the job satisfaction of the teacher.
      Third, all the sub-variables of teacher efficacy of belief in performance, confidence in effective guidance, and responsibility for education were shown to have the effects of mediating coaching capacity of the kindergarten director to job satisfac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This was shown that there is a significant effect in rising job satisfac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Finally, this study is expect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oaching capability of the director which was recognized by the teachers and suggested to coach strategy to enhancemen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coaching competence about kindergarten teachers were recognized by kindergarten teachers on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Empirical analysis on the mediating effect is related to teacher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coaching competence about kindergarten teachers were recognized by kindergarten teachers on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Empirical analysis on the mediating effect is related to teacher efficacy about kindergarten teachers in job satisfaction.
      Specific research of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impact of coaching capability about the director for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the director’s coaching capability on the teacher efficacy? Third,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aching capability of the director and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In order to achieving the above objectives, a survey was conducted on 25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o survey the kindergarten teachers currently working in the kindergarten field, and a total of 165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In this study,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d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used,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1.0. Post hoc tests perform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Baron and Kenny (1986) used the 3-step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ich is a method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variable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nalysis and verification are following.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aching capability of the director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Second,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about coaching capacity of kindergarten director, teacher efficacy of kindergarten teacher and job satisfaction about kindergarten teacher.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capacity of kindergarten director and job satisfaction of kindergarten teacher. It has been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of efficacy.
      In the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among sub-variables, belief in performance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goal selection by mediating all the sub-elements of teacher efficacy, and completely mediates the feedback capacity of the kindergarten director and the intrinsic factors of job satisfac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It has been shown to be effectiv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 analysis of the studying. First, the impact of coaching capability of the director which is recognized by the teacher affects belief in the teacher’s performance. Teachers who have received positive feedback and trust through listening skill from the director have confidence in their job performance. As a manager at an educational institution, the director indicates that it is important for developing the coaching capability to the teacher effectiveness.
      Second, the higher ability of the director to make a correct relationship and to ask a question appropriate for the situation and to listen actively and to provide appropriate feedback make the higher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higher job satisfaction also affect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and children. Therefore, it is desirable for the director’s training to use effective coaching capacity ,improving the job satisfaction of the teacher.
      Third, all the sub-variables of teacher efficacy of belief in performance, confidence in effective guidance, and responsibility for education were shown to have the effects of mediating coaching capacity of the kindergarten director to job satisfac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This was shown that there is a significant effect in rising job satisfac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Finally, this study is expect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oaching capability of the director which was recognized by the teachers and suggested to coach strategy to enhance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유치원 원장의 코칭 역량이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검증하고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유치원 원장의 코칭역량과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에 대해 실증 검증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아래와 같다. 첫째, 교사가 인식하는 유치원 원장의 코칭역량이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교사가 인식하는 유치원 원장의 코칭역량과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위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현재 유치원 현장에서 교사로 근무 중인 유치원 교사들을 조사대상으로 서울과 경기, 인천에 위치한 유치원의 응답 완료된 총 165부의 설문지를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한 자료를 활용하여 먼저 기술통계 및 빈도, Pearson 적률상관 분석을 하였고, 통계처리는 SPSS 21.0을 활용하였으며, Cronbach α 값을 이용하여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ANOVA 분석 후 사후검정을 실시하여 집단 간 차이를 규명하였다.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방법인 3단계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변인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분석 및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원장의 코칭역량과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원장의 코칭역량과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 교사효능감과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 각각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유치원 원장의 코칭역량과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위변인 간 매개효과 검증에서는 수행에 대한 믿음은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소 전체를 매개하여 목표선택에 있어서 정(+)적 영향을 미치며, 유치원 원장의 피드백 역량과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 내재적 요인에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분석결과를 통하여 아래와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유치원 원장의 코칭역량은 유치원 교사의 수행 능력에 대한 믿음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유치원 원장으로부터 긍정적인 피드백과 경청 스킬을 통한 신뢰를 받은 교사들은 자신의 직무 수행에 대하여 확신을 가지고 있다. 또한 교육에 대한 책임감이 있으며, 수행 능력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있다. 교육기관에서 관리자로서 유치원 원장은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위하여 코칭역량을 키워나가는 것이 중요함을 나타낸다.
      둘째, 유치원 원장의 올바른 관계형성, 상황에 적절한 질문, 적극적인 경청,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능력이 높을수록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이 높아지면 유치원 교사와 유아들과의 상호작용에도 영향을 미친다. 때문에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하여 유치원 원장의 효과적인 코칭역량 사용을 위해 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셋째, 수행 능력에 대한 믿음, 효과적인 지도에 대한 확신, 교육에 대한 책임감의 교사효능감 하위변인 모두 유치원 원장의 코칭역량을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에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을 높이는 것이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을 높이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유치원 교사들이 인식하는 유치원 원장의 코칭역량의 중요성을 제고하고 이를 강화할 코칭전략을 제안하게 될 것을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유치원 원장의 코칭 역량이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검증하고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유치원 원장의 코칭 역량이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검증하고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유치원 원장의 코칭역량과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에 대해 실증 검증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아래와 같다. 첫째, 교사가 인식하는 유치원 원장의 코칭역량이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교사가 인식하는 유치원 원장의 코칭역량과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위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현재 유치원 현장에서 교사로 근무 중인 유치원 교사들을 조사대상으로 서울과 경기, 인천에 위치한 유치원의 응답 완료된 총 165부의 설문지를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한 자료를 활용하여 먼저 기술통계 및 빈도, Pearson 적률상관 분석을 하였고, 통계처리는 SPSS 21.0을 활용하였으며, Cronbach α 값을 이용하여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ANOVA 분석 후 사후검정을 실시하여 집단 간 차이를 규명하였다.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방법인 3단계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변인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분석 및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원장의 코칭역량과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원장의 코칭역량과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 교사효능감과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 각각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유치원 원장의 코칭역량과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위변인 간 매개효과 검증에서는 수행에 대한 믿음은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소 전체를 매개하여 목표선택에 있어서 정(+)적 영향을 미치며, 유치원 원장의 피드백 역량과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 내재적 요인에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분석결과를 통하여 아래와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유치원 원장의 코칭역량은 유치원 교사의 수행 능력에 대한 믿음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유치원 원장으로부터 긍정적인 피드백과 경청 스킬을 통한 신뢰를 받은 교사들은 자신의 직무 수행에 대하여 확신을 가지고 있다. 또한 교육에 대한 책임감이 있으며, 수행 능력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있다. 교육기관에서 관리자로서 유치원 원장은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위하여 코칭역량을 키워나가는 것이 중요함을 나타낸다.
      둘째, 유치원 원장의 올바른 관계형성, 상황에 적절한 질문, 적극적인 경청,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능력이 높을수록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이 높아지면 유치원 교사와 유아들과의 상호작용에도 영향을 미친다. 때문에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하여 유치원 원장의 효과적인 코칭역량 사용을 위해 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셋째, 수행 능력에 대한 믿음, 효과적인 지도에 대한 확신, 교육에 대한 책임감의 교사효능감 하위변인 모두 유치원 원장의 코칭역량을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에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을 높이는 것이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을 높이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유치원 교사들이 인식하는 유치원 원장의 코칭역량의 중요성을 제고하고 이를 강화할 코칭전략을 제안하게 될 것을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1.2 연구문제 6
      • 1.3 용어의 정의 6
      • 제 2 장 문헌고찰 8
      • 제 1 장 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1.2 연구문제 6
      • 1.3 용어의 정의 6
      • 제 2 장 문헌고찰 8
      • 2.1 코칭역량 8
      • 2.1.1 코칭역량의 개념 8
      • 2.1.2 코칭역량의 구성요소 13
      • 2.2 교사효능감 18
      • 2.2.1 교사효능감의 개념 18
      • 2.2.2 교사효능감의 구성요소 23
      • 2.3 직무만족 27
      • 2.3.1 직무만족의 개념 27
      • 2.3.2 직무만족의 구성요소 29
      • 2.4 코칭역량과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 간의 관계 32
      • 2.4.1 코칭역량과 직무만족 32
      • 2.4.2 코칭역량과 교사효능감 34
      • 2.4.3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 35
      • 제 3 장 연구방법 37
      • 3.1 연구모형 및 변인설정 37
      • 3.2 연구대상 38
      • 3.3 조사도구 40
      • 3.3.1 인구통계학적 특성 변인 40
      • 3.3.2 측정도구 구성 40
      • 3.3.3 유치원 원장의 코칭역량 척도 41
      • 3.3.4 교사효능감 척도 42
      • 3.3.5 직무만족 척도 43
      • 3.4 자료의 수집 및 분석 44
      • 제 4 장 연구결과 46
      • 4.1 주요 연구변인의 기술통계분석 46
      • 4.2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 연구변인들의 차이 47
      • 4.2.1 성별에 따른 차이 47
      • 4.2.2 나이에 따른 차이 48
      • 4.2.3 학력에 따른 차이 50
      • 4.2.4 경력에 따른 차이 51
      • 4.2.5 직위에 따른 차이 52
      • 4.2.6 코칭 교육유무에 따른 차이 54
      • 4.3 상관관계 검증 55
      • 4.4 유치원 원장의 코칭역량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56
      • 4.4.1 유치원 원장의 코칭역량이 수행능력에 대한 믿음에 미치는 영향 56
      • 4.4.2 유치원 원장의 코칭역량이 교육에 대한 책임감에 미치는 영향 57
      • 4.4.3 유치원 원장의 코칭역량이 효과적인 지도에 대한 확신에 미치는 영향 58
      • 4.5 유치원 원장의 코칭역량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59
      • 4.5.1 유치원 원장의 코칭역량이 내재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59
      • 4.5.2 유치원 원장의 코칭역량이 외재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60
      • 4.6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62
      • 4.6.1 교사효능감이 내재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62
      • 4.6.2 교사효능감이 외재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63
      • 4.7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64
      • 4.7.1 수행능력에 대한 믿음의 매개효과 검증 64
      • 4.7.1.1 유치원 원장의 코칭역량과 내재적 요인의 관계에서 수행능력에 대한 믿음의 매개효과 검증 64
      • 4.7.1.2 유치원 원장의 코칭역량과 외재적 요인의 관계에서 수행능력에 대한 믿음의 매개효과 검증 66
      • 4.7.2 교육에 대한 책임감의 매개효과 검증 68
      • 4.7.2.1 유치원 원장의 코칭역량과 내재적 요인의 관계에서 교육에 대한 책임감의 매개효과 검증 68
      • 4.7.2.2 유치원 원장의 코칭역량과 외재적 요인의 관계에서 교육에 대한 책임감의 매개효과 검증 69
      • 4.7.3 효과적인 지도에 대한 확신의 매개효과 검증 71
      • 4.7.3.1 유치원 원장의 코칭역량과 내재적 요인의 관계에서 효과적인 지도에 대한 확신의 매개효과 검증 71
      • 4.7.3.2 유치원 원장의 코칭역량과 외재적 요인의 관계에서 효과적인 지도에 대한 확신의 매개효과 검증 73
      • 제 5 장 결론 75
      • 5.1 논의 75
      • 5.2 결론 78
      • 5.3 제언 79
      • 참고문헌 81
      • 부 록 9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