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도의 경제현황 및 한국 기업의 인도시장 진출전략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conomic Status of India and Strategies of Korean Companies to enter the Indian Marke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608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domestic and foreign situations of the Indian market under the global environment, to present strategies for Korean companies’ entry into the Indian market.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and meaning of India’s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sectors as a whole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analyzed the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entering the Indian marke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seems desirable for Korean companies entering the high-tech industry to pursue localization strategies and standardization strategies in the proper parallel rather than selecting only one of the standardization strategies when entering the Indian market. Second, it is necessary for Korean companies to pursue localization strategie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and tastes of locals to enter the market stably and to pursue standardization strategies in parallel in order to enhance their competitiveness through strengthening their position as a global brand after gaining a certain competitive edge. Third, Korean companies seeking to enter the restaurant industry such as fast food in India are likely to have a localization strategy that takes into account the tastes and business environment of Indian locals. Finally, Korean companies seeking to enter manufacturing sectors such as Hyundai Motor Co. in India will be desirable to establish and implement strategies to deter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ir corporate presence through thorough market analysis and to determine the model of products to be launched in the Indian marke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domestic and foreign situations of the Indian market under the global environment, to present strategies for Korean companies’ entry into the Indian market.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domestic and foreign situations of the Indian market under the global environment, to present strategies for Korean companies’ entry into the Indian market.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and meaning of India’s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sectors as a whole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analyzed the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entering the Indian marke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seems desirable for Korean companies entering the high-tech industry to pursue localization strategies and standardization strategies in the proper parallel rather than selecting only one of the standardization strategies when entering the Indian market. Second, it is necessary for Korean companies to pursue localization strategie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and tastes of locals to enter the market stably and to pursue standardization strategies in parallel in order to enhance their competitiveness through strengthening their position as a global brand after gaining a certain competitive edge. Third, Korean companies seeking to enter the restaurant industry such as fast food in India are likely to have a localization strategy that takes into account the tastes and business environment of Indian locals. Finally, Korean companies seeking to enter manufacturing sectors such as Hyundai Motor Co. in India will be desirable to establish and implement strategies to deter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ir corporate presence through thorough market analysis and to determine the model of products to be launched in the Indian marke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환경 하에서 인도시장의 국내외 정세를 살펴보고, 한국 기업의인도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인도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대해 이론적 고찰을 통해 그 실태와 의미를 살펴보고, 국내외 기업들의인도시장 진출사례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고 있다.
      첫째, 첨단 산업분야에 진출하는 한국 기업들은 인도시장 진출시 현지화 전략이 표준화 전략가운데 하나만을 선택하여 추구하기보다 현지화 전략과 표준화 전략을 적절하게 병행하여추진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한국 기업들은 현지인들의 특성과 기호를 반영한 현지화전략을 추구하여 시장에 안정적으로 진출하고, 일정한 경쟁력이 갖추어진 이후에는 글로벌브랜드로서의 입지 강화를 통한 경쟁력 제고를 위해 표준화 전략을 병행하여 추진하는 것이필요하다. 셋째, 인도에서 패스트푸드와 같은 외식산업에 진출하려는 한국 기업들은 인도현지인들의 취향과 경영환경을 고려한 현지화 전략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인도에서 현대자동차와 같은 제조업 분야에 진출하려는 한국 기업들은 철저한 시장분석을 통해 기업 진출의적절성을 결정하고, 인도시장에 출시할 제품의 모델을 결정하는 전략의 수립 및 추진 필요성을제언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환경 하에서 인도시장의 국내외 정세를 살펴보고, 한국 기업의인도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인도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환경 하에서 인도시장의 국내외 정세를 살펴보고, 한국 기업의인도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인도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대해 이론적 고찰을 통해 그 실태와 의미를 살펴보고, 국내외 기업들의인도시장 진출사례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고 있다.
      첫째, 첨단 산업분야에 진출하는 한국 기업들은 인도시장 진출시 현지화 전략이 표준화 전략가운데 하나만을 선택하여 추구하기보다 현지화 전략과 표준화 전략을 적절하게 병행하여추진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한국 기업들은 현지인들의 특성과 기호를 반영한 현지화전략을 추구하여 시장에 안정적으로 진출하고, 일정한 경쟁력이 갖추어진 이후에는 글로벌브랜드로서의 입지 강화를 통한 경쟁력 제고를 위해 표준화 전략을 병행하여 추진하는 것이필요하다. 셋째, 인도에서 패스트푸드와 같은 외식산업에 진출하려는 한국 기업들은 인도현지인들의 취향과 경영환경을 고려한 현지화 전략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인도에서 현대자동차와 같은 제조업 분야에 진출하려는 한국 기업들은 철저한 시장분석을 통해 기업 진출의적절성을 결정하고, 인도시장에 출시할 제품의 모델을 결정하는 전략의 수립 및 추진 필요성을제언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동석, "흔들리는 인도 노키아, 위기탈출 안간힘"

      2 남희현, "현대차 인도 맡은 김선섭, 경형 SUV 베뉴에 큰 기대"

      3 윤동진, "현대자동차의 인도 진출전략과 애로사항 극복과정" 한국경영학회 5 (5): 162-189, 2002

      4 김수미, "현대자동차, 인도 상용차시장 진출: 카파로社와 현지 조립생산 기술제공 계약"

      5 이형중, "현대자동차, 인도 공유경제 시장 진출 교두보 마련"

      6 하영명, "현대자동차, 그리고 인도" 한국경영학회 5 (5): 130-161, 2002

      7 송영훈, "현대기아차, 동남아 이어 인도 공유차도 진출…3억弗 투자"

      8 김윤화, "인도의 스마트폰 시장 현황 및 경쟁상황" 27 (27): 19-25, 2015

      9 김장훈, "인도시장에서 한국계 기업의 현지화 전략에 관한 탐색적 연구: 삼성전자 스마트폰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무역연구원 13 (13): 429-442, 2017

      10 박형기, "인도 점령한 中 휴대폰 업체 아프리카도 정복"

      1 최동석, "흔들리는 인도 노키아, 위기탈출 안간힘"

      2 남희현, "현대차 인도 맡은 김선섭, 경형 SUV 베뉴에 큰 기대"

      3 윤동진, "현대자동차의 인도 진출전략과 애로사항 극복과정" 한국경영학회 5 (5): 162-189, 2002

      4 김수미, "현대자동차, 인도 상용차시장 진출: 카파로社와 현지 조립생산 기술제공 계약"

      5 이형중, "현대자동차, 인도 공유경제 시장 진출 교두보 마련"

      6 하영명, "현대자동차, 그리고 인도" 한국경영학회 5 (5): 130-161, 2002

      7 송영훈, "현대기아차, 동남아 이어 인도 공유차도 진출…3억弗 투자"

      8 김윤화, "인도의 스마트폰 시장 현황 및 경쟁상황" 27 (27): 19-25, 2015

      9 김장훈, "인도시장에서 한국계 기업의 현지화 전략에 관한 탐색적 연구: 삼성전자 스마트폰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무역연구원 13 (13): 429-442, 2017

      10 박형기, "인도 점령한 中 휴대폰 업체 아프리카도 정복"

      11 이중우, "신흥시장진입과정에서 기업의 네트워킹역할과 몰입에 관한 연구- 현대자동차의 중국과 인도자동차시장 진입사례" 한국국제경영학회 24 (24): 49-83, 2013

      12 허동준, "삼성전자, 인도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 1위 탈환"

      13 김봉기, "삼성전자, 인도 공장 증설에 7000억원 투자"

      14 신진영, "삼성전자 인도법인의 마케팅 전략 분석: 마케팅 믹스의 현지화-표준화"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2 (22): 167-190, 2018

      15 김성애, "삼성 저가 스마트폰, 인도에서 한판 승부"

      16 이재혁, "브랜드 포지셔닝 전략과 글로벌 경쟁력: 현대자동차 인도법인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국제경영학회 25 (25): 59-87, 2014

      17 임미진, "노키아⋅소니 한국 공장 줄여 인도⋅동남아로"

      18 민정원, "노키아, 인도시장서 삼성에 맹추격 당해"

      19 설성인, "노키아, 인도 휴대폰 시장도 삼성전자에 잠식당해"

      20 임상수, "노키아, 마지막 보루 인도시장서 삼성에 밀려"

      21 DBR, "노키아 인도시장을 뚫다, 1월, 제1호"

      22 위키백과, "노키아"

      23 박상민, "“인도 스마트폰 시장동향,” 인터뷰 자료"

      24 Cortili, Massimo, "The Internationalization and Localization Choices of Italian Firms in India" XI (XI): 63-80, 2013

      25 Zou, S., "The GMS: A Broad Concepturalization of Global Marketing Strategy and Its Effect on Firm Performance" 6 (6): 40-56, 2002

      26 Katsikeas, S., "Strategy Fit and Performance Consequences of International Marketing Standardization" 27 (27): 867-890, 2008

      27 Writankar Mukherjee, "Samsung retains market leadership in microwave ovens in India"

      28 Livemint, "Samsung confident of regaining top spot in volume terms in India"

      29 Marketline, "Nokia: Struggling in the smartphone age"

      30 Nokia, "Nokia investor relations"

      31 Rediff, "Nokia brand valued at Euro 35 billion"

      32 The Economic Times, "Nokia India Private Limited"

      33 Swapna Pradhan, "McDonald’s India – plotting a winning strategy" Emerald 8 (8): 1-25, 2018

      34 Sen, K., "International trade and manufacturing employment: is India following the footsteps of Asia or Africa?" 13 (13): 765-777, 2009

      35 Ahmed, S., "International financial spillovers to emerging market economies: how important are economic fundamentals?" 7 (7): 133-152, 2017

      36 Einhorn, B., "India v. China: the battle for global manufacturing"

      37 오혜수, "HMD글로벌 “노키아, 3∼5년 안에 인도시장 3위로 올라서겠다"

      38 FRPT-Software Snapshot, "HMD Global bets on emotional connect for Nokia’s success in India"

      39 Kotabe, M., "Global Marketing Management, 4th Edition" Wiley 2014

      40 Laamanen, Tomi, "Explanations of Success and Failure in Management Learning: What CanWe Learn From Nokia’s Rise and Fall?" 15 (15): 2-25, 2013

      41 MacAskill, E., "Down to the wire: taking the world’s economic temperature"

      42 Statistics Times, "China vs India"

      43 Okazaki, S., "Advertising Standardization’s Positive Impact on the Bottom Line: A Model of When and How Standardization Improves Financial and Strategic Performance" 35 (35): 17-33, 2006

      44 김세호, "3분기 인도 스마트 폰 시장, 중국 이어 세계 두 번째 판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Area Studies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6 0.768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