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2주간 연속 및 비연속 순환운동이 남중학생의 호르몬 변화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Continuous and Non-Continuous Circuit Exercise on the Hormonal Response of Middle School Boy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878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TRODUCTION] This research was aimed at finding how to overcome weakness and decline of growth caused by lack of exercise in adolescents by improving their daily life habits. In this experiment, the levels of stress hormones - ACTH, GH, Testosterone...

      [INTRODUCTION] This research was aimed at finding how to overcome weakness and decline of growth caused by lack of exercise in adolescents by improving their daily life habits. In this experiment, the levels of stress hormones - ACTH, GH, Testosterone, Cortisol, Insulin- were observed by dividing students into two groups, a continuous circuit exercise(CE) group and a non-continuous circuit exercise(NCE) one apart from the regular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o verify the different effects between CE and NCE. [METHO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y fourteen second grade students in G middle school in G City who were splitted into two groups of seven each, a CE group and a NCE one. Circuit training program was comprised of ten exercises involving five aerobic exercises and five resistance ones each – the frequency of CE (three times a week, once a day, 30-minute workout) and that of NCE (three times a week, three times a day, 10-minute workout) SPSS ver. 18.0 program was used for two-way RM ANOVA to process the data and the resul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level of p<.05. [RESULT] The CE group has brought meaningful changes of Testosterone(p<.01) and Insulin(p<.001) after of 12 weeks. Comparison of two groups showed that CE increased more Insulin(p<.01) than NCE one because of the interaction effect.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there’s no difference of the hormonal changes between CE and NCE group except Testosterone and Insulin.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ay exercising is more related to the total amount of time rather than the method of CE and NCE. Therefor later, Studies should be done considering sex, age, the number of examines and diverse research objects like athlet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서론] 운동부족에 따른 체력문제를 청소년에 적용하여 스트레스 호르몬 ACTH, GH, Testosterone, Cortisol, Insulin 농도의 변화를 관찰하여, 일상 생활습관 개선을 통하여 극복할 수 있는 한 방법을 얻...

      [서론] 운동부족에 따른 체력문제를 청소년에 적용하여 스트레스 호르몬 ACTH, GH, Testosterone, Cortisol, Insulin 농도의 변화를 관찰하여, 일상 생활습관 개선을 통하여 극복할 수 있는 한 방법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는 G지역 소재 G중학교 2학년 재학생 14명을 대상으로 연속(CE) 및 비연속적 순환운동(NCE) 그룹으로 각각 7명씩 두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순환운동프로그램은 저항운동과 유산소운동 각각 5가지 총 10가지로 구성하여, 운동빈도는 연속적 순환운동(3회/주, 1회/일, 30분/회)과 비연속적 순환운동(3회/주, 3회/일, 10분/회, 90분/간격)을 나누어 실시하였다. [결과] 12주간 실행된 운동결과 연속적 순환운동그룹에서만 Testosterone(p<.01)과 Insulin(p<.001)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그리고 연속, 비연속적 순환운동 방법의 차이비교에서는 Insulin(p<.01)에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 연속적 순환운동이 비연속적 순환운동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속 및 비연속 순환운동 방법에 따른 결과 인슐린에서만 연속순환운동그룹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 시기에 연속 및 비연속적 운동방법의 차이가 뚜렷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규칙적이고 지속적인 총 운동시간에 더 의미를 둘 수 있겠다. 그리고 청소년은 물론 일반인도 운동부족에 의한 비만과 성인질환 발병 문제는 더 이상 운동시간이 없다는 것이 이유가 될 수 없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나승희, "트레드밀 걷기운동이 인슐린비의존형 당뇨환자의 혈당, Insulin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7 (17): 609-614, 2006

      2 장용수, "저항성 운동시 운동량의 차이가 혈중 성장호르몬, 테스토스테론, 코티졸의 분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2 (42): 429-440, 2003

      3 김동희, "장기간 운동이 비만 여중생의 신체구성 및 혈중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23 (23): 279-295, 2005

      4 장봉우, "웨이트 트레이닝 강도가 ACTH, Cortisol, Testosterone 분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 11 (11): 171-181, 2006

      5 장봉우, "운동 강도가 성장 및 남성호르몬 분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16 (16): 437-445, 2007

      6 이만균, "연속운동, 분할운동 및 저항성 운동이 운동 후의 혈압, 혈관탄성 및 혈액변인에 미치는 영향"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19 (19): 21-36, 2008

      7 전종원, "순환성 운동 프로그램을 통한 스트레스 호르몬 변화" 한국스포츠리서치 18 (18): 349-358, 2007

      8 남수연, "성인비만증에서 저열량 식사요법과 병용한 성장호르몬의 치료효과" 12 (12): 571-572, 1997

      9 이철원, "서키트운동 프로그램이 고령비만 노인의 신체조성, 혈중지질 및 간기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사회체육학회 45 (45): 913-922, 2011

      10 이재식, "비만대학생의 최대운동 시 호흡 순환기능과 골밀도 및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9 (19): 149-158, 2008

      1 나승희, "트레드밀 걷기운동이 인슐린비의존형 당뇨환자의 혈당, Insulin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7 (17): 609-614, 2006

      2 장용수, "저항성 운동시 운동량의 차이가 혈중 성장호르몬, 테스토스테론, 코티졸의 분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2 (42): 429-440, 2003

      3 김동희, "장기간 운동이 비만 여중생의 신체구성 및 혈중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23 (23): 279-295, 2005

      4 장봉우, "웨이트 트레이닝 강도가 ACTH, Cortisol, Testosterone 분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 11 (11): 171-181, 2006

      5 장봉우, "운동 강도가 성장 및 남성호르몬 분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16 (16): 437-445, 2007

      6 이만균, "연속운동, 분할운동 및 저항성 운동이 운동 후의 혈압, 혈관탄성 및 혈액변인에 미치는 영향"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19 (19): 21-36, 2008

      7 전종원, "순환성 운동 프로그램을 통한 스트레스 호르몬 변화" 한국스포츠리서치 18 (18): 349-358, 2007

      8 남수연, "성인비만증에서 저열량 식사요법과 병용한 성장호르몬의 치료효과" 12 (12): 571-572, 1997

      9 이철원, "서키트운동 프로그램이 고령비만 노인의 신체조성, 혈중지질 및 간기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사회체육학회 45 (45): 913-922, 2011

      10 이재식, "비만대학생의 최대운동 시 호흡 순환기능과 골밀도 및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9 (19): 149-158, 2008

      11 문희원, "단기간의 훈련 중단이 비만 중학생의 성장호르몬과 코티졸 분비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5 (15): 1905-1918, 2004

      12 임길병, "단기간 써키트 웨이트 트레이닝이 젊은 엘리트 골프 선수의 체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포츠의학회 25 (25): 1-6, 2007

      13 Paffenbarger, R. S. Jr, "The association of changes in physical-activity level and other lifestyle characteristics with mortality among men" 328 (328): 538-545, 1993

      14 Ferrando, A. A., "Testosterone injection stimulates net protein synthesis but not tissue amino acid transport" 275 (275): 864-871, 1998

      15 Lamb, D. R., "Synergistic interactions of physiologic increment of glucagon, epinephrine and cortisol in the dog" 63 (63): 114-123, 1984

      16 Staron, R. S., "Strength and skeletal muscle adaptations in heavy-resistance-trained women after detraining and retraining" 70 : 631-640, 1991

      17 Atherton, P. J., "Selective activation of AMPK-PGC-1alpha or PKB-TSC2-mTOR signaling can explain specific adaptive responses to endurance or resistance training-like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19 (19): 786-788, 2005

      18 Tanner, A. V., "Salivary and plasma cortisol and testosterone responses to interval and tempo runs and a bodyweight-only circuit session in endurance-trained men" 2013

      19 Kotchen, T. A., "Renin, norepinephrine, and epinephrine responses to graded exercise" 31 (31): 178-184, 1991

      20 Winder, W. W., "Regulation of hepatic production during exercise" 14 : 1-31, 1981

      21 Westphal O, "Normal growth and growth disorders in children" 53 : 174-178, 1995

      22 McMurray, R. G., "Nocturnal hormonal responses to resistance exercise" 72 (72): 121-126, 1995

      23 Hartley, L. H., "Multiple hormonal responses to graded exercise in relation to physical training" 33 (33): 607-610, 1974

      24 Farrell, P. A., "Increases in plasma beta-endorphin/beta-lipotropin immunoreactivity after treadmill running in humans" 52 (52): 1245-1249, 1982

      25 Calcaterra, V., "Improved metabolic and cardiorespiratory fitness during a recreational training program in obese children" 26 (26): 271-276, 2013

      26 김성수, "IGF-Ⅰ과 비만지표의 상관성 및 운동에 의한 변화" 16 : 271-280, 2001

      27 Smilios I, "Hormonal responses after a strength endurance resistance exercise protocol in young and elderly males" 28 (28): 401-406, 2007

      28 Raastad, T., "Hormonal response to high and moderate-intensity Strength exercise" 82 : 121-128, 2000

      29 Crowley, M. A., "Hormonal regulation of skeletal muscle hypertrophy in rats: the testosterone to cortisol ratio" 73 (73): 66-72, 1996

      30 Florini, J. R., "Hormonal control of muscle growth" 10 (10): 577-598, 1987

      31 Kraemer. W. J., "Hormonal and growth factor responses to heavy resistance exercise protocols" 69 (69): 1442-1450, 1990

      32 Rogol, A. D., "Growth hormone : physiology, therapeutic use, and potential for abuse" 17 : 353-377, 1989

      33 Calles, J., "Glucose turnover during recovery from intensive exercise" 32 (32): 734-738, 1983

      34 Watts, K, "Exercise training in obese children and adolescents: Current concepts" 35 (35): 375-392, 2005

      35 Brooks, G. A, "Exercise physiology : Human bioenergetics and its application" John Willey and Sons, Inc 1984

      36 Alekel, L., "Contributions of exercise, body composition, and age to bone mineral density in premenopausal women" 27 (27): 1477-1485, 1995

      37 Pescatello, L. S.,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position stand. Exercise and hypertension" 36 (36): 533-553, 2004

      38 Padilla, J., "Accumulation of physical activity reduces blood pressure in pre-and hypertension" 37 (37): 1264-1275, 2005

      39 Park, S., "Accumulation of physical activity leads to a greater blood pressure reduction than a single continuous session, in prehypertension" 24 (24): 1761-1770, 2006

      40 ACSM,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0

      41 Ghanbari-Niaki, A., "A single circuit-resistance exercise has no effect on plasma obestatin levels in female college students" 29 (29): 487-490, 2008

      42 이한용, "6주간의 단계적 웨이트 트레이닝 프로그램이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생리학회 12 (12): 71-81, 2003

      43 김상훈, "12주간의 순환운동이 노인비만여성의 비만, 체력 및 대사증후군 지표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29 (29): 823-835,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운동학 학술지 ->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inesiology -> The Asian Journal of Kinesiology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Kinesiology -> The Journal of Kinesiology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9-1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Kinesiolog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7 0.57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7 0.686 0.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