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魏晉 및 16國시대 酒泉지역의 顔料 = 種類 및 用例 特徵을 中心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河西지역은 위진시대에 이르러 중원지역 벽화가 본격 조성되면서 이전과는 전혀 다른 미술문화의 토대를 갖추기 시작하였고, 16국시대에는 서방에서 불교석굴벽화 등이 새롭게 유입되면서 ...

      河西지역은 위진시대에 이르러 중원지역 벽화가 본격 조성되면서 이전과는 전혀 다른 미술문화의 토대를 갖추기 시작하였고, 16국시대에는 서방에서 불교석굴벽화 등이 새롭게 유입되면서 예술 트렌드를 다시 한번 전환시켜간 지역이다. 즉 묘실벽화 위주로 전개되던 미술 트렌드를 불교석굴벽화 위주로 전환시키면서 주제는 물론이고 회화 제작 공간의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 지역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의 시대에 회화 제작의 중요한 토대로 작용하였을 안료에 관하여 종류의 변화 및 쓰임 양상을 검토하고자 한 것이다. 하서 중동부지역의 안료에 관하여는 이미 선행 연구를 통해 밝힌바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하서 서부(西部)지역 중에서 주천지역에 한정시켜 검토를 진행하였다.
      위진시대에 주천지역은 흑, 백, 홍, 주홍, 황, 녹, 남 등 다양한 안료를 출현시킨다. 다만 다양한 안료 사용은 주천군 치소 인근 지역에 한정되며 기타 지역에서는 흑, 백 홍, 황 등 4색에 한정된다.
      주천지역에서 보여준 이와 같은 안료 수급 양상은 동쪽 인근의 고태지역을 포함하여 하서 서부지역에 비교적 양호한 안료 기반이 형성되었음을 드러낸다. 뿐만 아니라 위진시대에 이르러 하서 중동부지역에서 보여주었던 채색문화 중심지의 서부지역으로의 이동 현상을 좀 더 강하게 뒷받침하는 동시에 그러한 변화의 흐름이 하서 서부지역에까지 광범위하게 확산되었음을 확인시킨다. 특히 고태지역과 더불어 백운석, 중창석, 인록연광 등 중원지역에서 출현시킨바 없는 안료들, 즉 지역성을 강하게 반영하는 안료들을 다수 출현시킴으로서 하서지역 안료 수급 체계를 이해하는데 간과할 수 없는 내용을 제공한다.
      16국시대에도 주천지역은 미술문화가 크게 위축된 상황이지만 위진시대와 유사한 안료를 지속하며 보다 다양한 안료를 출현시킨다. 특히 하서 동단의 난주 및 천수지역 등에서 출현시킨 안료와 전혀 다른 계통의 안료를 출현시킴으로서 난주 및 천수지역과 구분된 안료 수급 체계가 하서지역에 동시에 작동하고 있음을 드러낸다.
      주천지역이 난주 및 천수지역과 서로 다른 안료 수급 체계에 놓인 배경 및 이유가 무엇인지 앞으로의 연구에 기대해야겠으나 묘실벽화와 석굴벽화가 서로 구분된 안료 수급체계에 속하면서 서로 상이한 결과를 내보인 것은 아닌지 조심스럽게 예단해 본다.
      기존 연구는 위진 및 16국시대에 주천지역에서 보여준 이와 같은 안료 출현과 사용양상에 주목하고 있지 않지만 지역별 채색 양상은 물론이고 회화 표현법 변화를 검토하고자 할 경우 안료 수급의 문제는 매우 중요한 근거의 하나로 기능하게 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Hexi region was in the era of WeiJin Dynasties, it started to lay the foundation for art culture which was different from before, as the mural in the central area was constructed in earnest. As Buddhist cave paintings were newly introduced in the w...

      As Hexi region was in the era of WeiJin Dynasties, it started to lay the foundation for art culture which was different from before, as the mural in the central area was constructed in earnest. As Buddhist cave paintings were newly introduced in the west during sixteen Kingdoms age, Hexi region converted art trend again. In other words, Hexi region was where involves a huge change on the space of the construction of paintings as well as the theme, as the art trend which was mainly developed in the burial chamber mural was converted to of that of Buddhist cave paintings.
      This study intends to review the change on the types and the aspect of the use about pigment which has been served as an important foundation for painting in this era of change. Since pigments about the central east of Hexi region have already been revealed through precedent study, this paper limited the review to JinQuan of the western regions of Hexi.
      JinQuan area was the center of coloring culture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area made relatively a variety of pigments appear through burial chamber mural and excavated relics during WeiJin Dynasties. Besides, it also confirmed that such the base of pigments were formed over a relatively wide ranging area including Gaotai near JinQuan. In addition, the center of coloring culture in the central east of Hexi regions has been identified about moving from the eastern area to the western area in the era of WeiJin Dynasties, The base of supply and demand in pigment has supported the aspect of the change on the center of coloring culture again. During sixteen Kingdoms age,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struction of mural paintings in JinQuan was greatly reduced and these Buddhist cave paintings do not appear. Nevertheless, a variety of pigments which appeared during WeiJin Dynasties continued to emerge. In other words, despite the decline in coloring culture, it has kept on a similar base of pigments for more than 100 years. The system of supply and demand in pigments in JinQuan of WeiJin Dynasties and sixteen Kingdoms was different from that of Lanzhou and Tianshui of the eastern end of Hexi region. We need to look forward to the future study on the background and the system of supply and demand in different pigments, but we prejudge if the burial chamber mural and Buddhist cave paintings are the result of different system of supply and demand in pigments. The conventional study has not focused on the aspect of pigments and use in JinQuan area of WeiJin Dynasties and sixteen Kingdoms, but in the case of trying to review, the change on how to express painting as well as the aspect about coloring region by region, The problem of such supply and demand in pigments will serve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ounda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序論
      • Ⅱ. 위진 및 16국시대 주천지역의 사회발전과 채색 자료
      • Ⅲ. 위진시대 안료 종류 및 용례 특징
      • Ⅳ. 16국시대 안료 종류 및 용례 특징
      • 국문초록
      • Ⅰ. 序論
      • Ⅱ. 위진 및 16국시대 주천지역의 사회발전과 채색 자료
      • Ⅲ. 위진시대 안료 종류 및 용례 특징
      • Ⅳ. 16국시대 안료 종류 및 용례 특징
      • Ⅴ. 結論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