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양극성 장애군, 주요 우울장애군 및 정상 통제군의 외현적, 암묵적 자존감 수준의 차이 = The Differences of Explicit and Implicit Self-Esteem Level among Bipolar I Disorder,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Normal Control Grou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866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explicit self-esteem levels, measured by Rosenberg's Self-Esteem Scale(RSES), and implicit self-esteem levels, measured by the Implicit Association Test(IAT), between a control group, a major depressive disorder (M...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explicit self-esteem levels, measured by Rosenberg's Self-Esteem Scale(RSES), and implicit self-esteem levels, measured by the Implicit Association Test(IAT), between a control group, a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group, and a bipolar I disorder (BD) group. Study participants completing the RSES included 113 normal control subjects, 30 patients with MDD in remission, 32 patients with BD in remission. An additional 20 normal control subjects, 20 MDD patients in remission, and 21 BD patients in remission completed the IAT. A series of ANOVAs and post hoc analyses were used to compare self-esteem levels among the groups. Results indicated that the normal control group reported higher explicit self-esteem than both the MDD and BD groups. Implicit self-esteem levels in the BD group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normal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implicit self-esteem level, less impacted by self-consciousness than explicit one, in the patients with BD in remission may be lower than in control group subjec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군과 주요 우울 장애 환자군 및 제 1 형 양극성 장애 환자군의 외현적 자존감 수준과 Implicit Association Test(IAT)에 의해 측정된 내현적 자존감 수준을 비교하는 것이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군과 주요 우울 장애 환자군 및 제 1 형 양극성 장애 환자군의 외현적 자존감 수준과 Implicit Association Test(IAT)에 의해 측정된 내현적 자존감 수준을 비교하는 것이었다. 외현적 자존감 수준의 비교에 있어서는 정상인 113명, 관해기의 주요 우울장애 환자 30명, 역시 관해기의 양극성 장애 환자 32명을 대상으로 외현적 자존감 척도가 실시되었다. 암묵적 자존감 수준의 비교에 있어서는 정상인 20명, 주요 우울장애 환자 20명, 양극성 장애 환자 21명을 대상으로 자존감을 측정하는 암묵적 연합 검사를 받았다. 자존감 수준의 비교를 위해 일련의 변량분석과 사후검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정상군이 주요 우울장애군과 양극성 장애군에 모두에 비해 외현적 자존감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암묵적 자존감 수준의 경우 정상군에 비해 양극성 장애군의 자존감 수준만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의식적인 영향을 적게 받는 자존감 수준에 있어서는 양극성 장애군의 자존감이 정상군에 비해 낮을 가능성이 시사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훈진, "편집증적 경향, 자기개념, 자의식간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277-290, 1995

      2 박재우, "완벽주의와 자존감이 대학생의 지연 행동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1995

      3 박재우, "심리적 행동주의 이론에 입각한 양극성 장애 인지 행동 치료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4 윤혜영, "사회불안장애의 인지행동치료 효과 : 주의편향과 암묵적 자존감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5 정희연, "Young조증 평가 척도의 한국판 표준화 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2 (42): 263-269, 2003

      6 Kristine., "Two-year prospective follow-up of children with a prepubertal and early adolescent bipolar disorder phenotype" 159 : 927-933, 2002

      7 Greenwald, A., "The totalitarian ego : Fabrication and revision of personal history" 35 : 603-618, 1980

      8 Akiskal, K. K., "The Theoritical underpinnings of affective temperaments : Implications for evolutionary foundations of bipolar disorder and human nature" 85 : 231-239, 2005

      9 Knowles, R., "Stability of self-esteem in bipolar disorder : Comparisons among remitted bipolar patient, remitted unipolar patients and healthy controls" 9 : 490-495, 2007

      10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1 이훈진, "편집증적 경향, 자기개념, 자의식간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277-290, 1995

      2 박재우, "완벽주의와 자존감이 대학생의 지연 행동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1995

      3 박재우, "심리적 행동주의 이론에 입각한 양극성 장애 인지 행동 치료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4 윤혜영, "사회불안장애의 인지행동치료 효과 : 주의편향과 암묵적 자존감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5 정희연, "Young조증 평가 척도의 한국판 표준화 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2 (42): 263-269, 2003

      6 Kristine., "Two-year prospective follow-up of children with a prepubertal and early adolescent bipolar disorder phenotype" 159 : 927-933, 2002

      7 Greenwald, A., "The totalitarian ego : Fabrication and revision of personal history" 35 : 603-618, 1980

      8 Akiskal, K. K., "The Theoritical underpinnings of affective temperaments : Implications for evolutionary foundations of bipolar disorder and human nature" 85 : 231-239, 2005

      9 Knowles, R., "Stability of self-esteem in bipolar disorder : Comparisons among remitted bipolar patient, remitted unipolar patients and healthy controls" 9 : 490-495, 2007

      10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11 Blairy, S., "Social adjustment and self-esteem of bipolar patients: A multicentric Study" 79 : 97-103, 2004

      12 Kristine, K., "Self-esteem in remitted bipolar disorder patients : A meta-analysis" 12 : 585-592, 2010

      13 Pardoen, D., "Self-esteem in recovered bipolar and unipolar out-patients" 163 : 755-762, 1933

      14 Jabben, N., "Implicit and explicit self-associations in bipolar disorder : A comparison with healthy controls and unipolar depressive disorder" 215 : 329-334, 2013

      15 Diener, E., "Cross-cultural correlates of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68 : 653-663, 1995

      16 Scott, J., "Cognitive styles in individual with bipolar disorders" 33 : 1080-1088, 2003

      17 Jones, L., "Cognitive style in bipolar disorder" 187 : 431-437, 2005

      18 Zimmerman, M., "Bipolar Disorder, sustained unemployment in psychiatric out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 Frequency and association with demographic variables and comorbid disorders" 3 : 720-726, 2010

      19 이영호, "BDI, SDS, 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10 : 98-113, 1991

      20 Ralph, J. A., "Attributional style and self-esteem; The prediction of emotional distress following a midterm exam" 107 : 203-215, 1998

      21 Lewinsohn, P. M., "A prospective study of risk factors for unipolar depression" 97 : 251-264, 198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1 1.71 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5 1.81 2.936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