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우리 고유의 國學을 계승한 공자의 효사상과 인성교육의 정향(2) = Collect Directions for the Thought of Filial Piety and Personality Education of Confucius who Inherited National Studies of Korea(2)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401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remarkable in human civilization that Korea was the first to open the door for writing history and established the national tradition.
      Hwanguk(7,197-3,897 B.C.) established by Heavenly Emperor Hanin lasted 7 generations in 3,301 years. It was inherited by Heavenly Emperor Hwanung who established Baidalguk. Heavenly Emperor Hwanin provided ‘Five Lessons of Hwanin’ and the third Lesson was Order in Filial Piety, which is the oldest written material in human history. The firth Lesson was the thought of benevolence.
      Heavenly Emperor Hanung who established Baidalguk continued the tradition with ‘Six Lessons of Hanung’ and made it as a national education policy for 1,565 years from 3,897 to 2,333 B.C.. The tradition continued by the Old Joseon(2,333-5380B.C.) by Emperor Dangun Wanggeom for 47 generations in 2,096 years. It already mentioned that filial piety education was a national policy. The study of filial piety was the national studies at that time.
      They are the three sagas and world famous education thinker Confucius fundamentally inherited the thoughts of three sagas and compiled Confucianism. After wondering the world Confucius emphasized the education in his later life and systemized six books of Confucianism. It is important to notice that the core of 6 books of Confucianism is benevolence-filial piety. Confucian Studies is study of benevolence-filial piety. The Chinese continent belonged to Korea, but later, concentrated in the Korean peninsula. So, Korea officially adopted Confucianism at the second reign year of Kong Sosurim of Goguryeo according to the document. At the time of adoption, Goguryeo established Taehak and the 5 books of Confucianism were the basic textbooks. It was the prime purpose that the Goguryeo recognized the fact that the core of 5 books of Confucianism was benevolence-filial piety.
      Confucius study of benevolence-filial piety that did not lost the balance although the Three Kingdoms practiced slightly different, Neo-Confucianism was introduced to Korea at the late Goryeo Kingdom. It was settled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became the main frame of the Korean Studies. Although there were some problems with Korean national identity and tradition, the foundation of Confucian studies was solid. The public and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 both emphasized the study of benevolence–filial piety. At the later part of Joseon Dynasty the strong impact of western intrusion destroyed the root of Korean Studies of benevolence-filial piety. The Adoption of the west-oriented thoughts of education without criticism caused the destruction of personality education in contemporary education. As the reform in comtemporary education that lost the elements of education is required badly, the author strongly request that the Congress must restore and accept the Confucius education of benevolence-filial piety by recovering the root and principle of personality education at the time of enforcing the Act on Promoting Personality Educa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make people to recognize that task is the recovering the personality education that faces the most urgent crisis and to enforce it as a national policy. This study becomes the second effort to insist the fact following the first study by studying Confucius education of benevolence-filial piety.
      번역하기

      It is remarkable in human civilization that Korea was the first to open the door for writing history and established the national tradition. Hwanguk(7,197-3,897 B.C.) established by Heavenly Emperor Hanin lasted 7 generations in 3,301 years. It was in...

      It is remarkable in human civilization that Korea was the first to open the door for writing history and established the national tradition.
      Hwanguk(7,197-3,897 B.C.) established by Heavenly Emperor Hanin lasted 7 generations in 3,301 years. It was inherited by Heavenly Emperor Hwanung who established Baidalguk. Heavenly Emperor Hwanin provided ‘Five Lessons of Hwanin’ and the third Lesson was Order in Filial Piety, which is the oldest written material in human history. The firth Lesson was the thought of benevolence.
      Heavenly Emperor Hanung who established Baidalguk continued the tradition with ‘Six Lessons of Hanung’ and made it as a national education policy for 1,565 years from 3,897 to 2,333 B.C.. The tradition continued by the Old Joseon(2,333-5380B.C.) by Emperor Dangun Wanggeom for 47 generations in 2,096 years. It already mentioned that filial piety education was a national policy. The study of filial piety was the national studies at that time.
      They are the three sagas and world famous education thinker Confucius fundamentally inherited the thoughts of three sagas and compiled Confucianism. After wondering the world Confucius emphasized the education in his later life and systemized six books of Confucianism. It is important to notice that the core of 6 books of Confucianism is benevolence-filial piety. Confucian Studies is study of benevolence-filial piety. The Chinese continent belonged to Korea, but later, concentrated in the Korean peninsula. So, Korea officially adopted Confucianism at the second reign year of Kong Sosurim of Goguryeo according to the document. At the time of adoption, Goguryeo established Taehak and the 5 books of Confucianism were the basic textbooks. It was the prime purpose that the Goguryeo recognized the fact that the core of 5 books of Confucianism was benevolence-filial piety.
      Confucius study of benevolence-filial piety that did not lost the balance although the Three Kingdoms practiced slightly different, Neo-Confucianism was introduced to Korea at the late Goryeo Kingdom. It was settled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became the main frame of the Korean Studies. Although there were some problems with Korean national identity and tradition, the foundation of Confucian studies was solid. The public and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 both emphasized the study of benevolence–filial piety. At the later part of Joseon Dynasty the strong impact of western intrusion destroyed the root of Korean Studies of benevolence-filial piety. The Adoption of the west-oriented thoughts of education without criticism caused the destruction of personality education in contemporary education. As the reform in comtemporary education that lost the elements of education is required badly, the author strongly request that the Congress must restore and accept the Confucius education of benevolence-filial piety by recovering the root and principle of personality education at the time of enforcing the Act on Promoting Personality Educa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make people to recognize that task is the recovering the personality education that faces the most urgent crisis and to enforce it as a national policy. This study becomes the second effort to insist the fact following the first study by studying Confucius education of benevolence-filial pie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는 동북아에서 최초로 인류시원의 역사의 창(窓)을 열었으며 국통(國統)을 세워 갔으니 인류사에서 기록할 만한 일이다.
      환국(桓國B.C7197-3897)을 세운 한인천제(桓仁天帝)는 7세 3301년간을 지속하여 통치하였고 배달국을 세운 환웅천황(桓雄天皇)이 이를 계승하였다. 환인천제께서는 환인오훈(桓仁五訓)을 내렸는데 제3훈에 효순(孝順)이 들어 있다. 인류 역사상 최초의 효에 관한 문헌으로 나머지 4훈도 모두 인(仁)사상 속에 들어간다.
      배달국을 세운 한웅천황은 이를 한웅육훈(桓雄六訓)으로 계승하여 개천하던 날에 조칙을 내려 BC 3897-BC3897년까지 1565년간을 국책교육화하였다. 계속하여 이를 계승한 단군왕검황제는 고조선(古朝鮮BC2333-BC5380)을 건국하여 47대 2096년을 지속했는데 시종일관해서 국책으로 효교육을 하였음은 이미 주장한 바 있다. 이 때의 효학이 곧 국학(國學)이다.
      이 위대한 큰 어르신을 이른바 삼성(三聖)이라 하거니와 세계적인 교육사상가 공자는 원천적으로 삼성을 계승하여 유교를 집성하였다. 세상을 주유천하(周遊天下)한 공자는 만년에 주로 교육을 위하여 헌신하였는데 육경(六經)을 체계화하였다. 그런데 육경의 핵심이 인효(仁孝)라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공자학은 곧 인효학이거니와 대륙(大陸)이 거의 우리나라의 영토이었지만 옹색하게도 한반도에 정착한 고구려 소수림왕 2년에 이르러서야 문헌상 공식적으로 전래되었다. 전래당년에 창립된 태학(太學)에서는 교과(敎科)로 공자의 오경(五經)이 필수이었는데 오경의 핵심은 인효(仁孝)임을 재인식시키려는 것이 1차적인 의도이기도 하였다.
      삼국(三國)이 약간의 양상을 달리해 갔지만 중심을 잃지 않았던 공자의 인효학은 고려 말에 주자학(朱子學)으로 전래되어 조선조에 정착되어 한국학형성에 주요 골격이 되었다. 그러나 우리 민족의 정통성과 주체성에 크게 문제가 있다. 공자학의 뿌리는 확고하여 관학(官學)과 사학(私學)이 공(共)히 인효학이 중시되었는데 한말(韓末)에 이르면서 강한 서세동점으로 인효의 국학의 뿌리가 완전히 뽑히었다. 게다가 당시의 우리의 교육정책자들은 매우 서구지향적이었다. 결과적으로 오늘날 우리나라 국민의 인성이 실종되기에 이르렀다. 교육개혁이 시급한 차제에 근본적인 처방으로 인성교육의 원리인 공자의 인효교육을 제시한다. 이 일이 극악에 처한 인성교육을 회복하는 길임을 인식시키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번역하기

      우리나라는 동북아에서 최초로 인류시원의 역사의 창(窓)을 열었으며 국통(國統)을 세워 갔으니 인류사에서 기록할 만한 일이다. 환국(桓國B.C7197-3897)을 세운 한인천제(桓仁天帝)는 7세 3301년...

      우리나라는 동북아에서 최초로 인류시원의 역사의 창(窓)을 열었으며 국통(國統)을 세워 갔으니 인류사에서 기록할 만한 일이다.
      환국(桓國B.C7197-3897)을 세운 한인천제(桓仁天帝)는 7세 3301년간을 지속하여 통치하였고 배달국을 세운 환웅천황(桓雄天皇)이 이를 계승하였다. 환인천제께서는 환인오훈(桓仁五訓)을 내렸는데 제3훈에 효순(孝順)이 들어 있다. 인류 역사상 최초의 효에 관한 문헌으로 나머지 4훈도 모두 인(仁)사상 속에 들어간다.
      배달국을 세운 한웅천황은 이를 한웅육훈(桓雄六訓)으로 계승하여 개천하던 날에 조칙을 내려 BC 3897-BC3897년까지 1565년간을 국책교육화하였다. 계속하여 이를 계승한 단군왕검황제는 고조선(古朝鮮BC2333-BC5380)을 건국하여 47대 2096년을 지속했는데 시종일관해서 국책으로 효교육을 하였음은 이미 주장한 바 있다. 이 때의 효학이 곧 국학(國學)이다.
      이 위대한 큰 어르신을 이른바 삼성(三聖)이라 하거니와 세계적인 교육사상가 공자는 원천적으로 삼성을 계승하여 유교를 집성하였다. 세상을 주유천하(周遊天下)한 공자는 만년에 주로 교육을 위하여 헌신하였는데 육경(六經)을 체계화하였다. 그런데 육경의 핵심이 인효(仁孝)라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공자학은 곧 인효학이거니와 대륙(大陸)이 거의 우리나라의 영토이었지만 옹색하게도 한반도에 정착한 고구려 소수림왕 2년에 이르러서야 문헌상 공식적으로 전래되었다. 전래당년에 창립된 태학(太學)에서는 교과(敎科)로 공자의 오경(五經)이 필수이었는데 오경의 핵심은 인효(仁孝)임을 재인식시키려는 것이 1차적인 의도이기도 하였다.
      삼국(三國)이 약간의 양상을 달리해 갔지만 중심을 잃지 않았던 공자의 인효학은 고려 말에 주자학(朱子學)으로 전래되어 조선조에 정착되어 한국학형성에 주요 골격이 되었다. 그러나 우리 민족의 정통성과 주체성에 크게 문제가 있다. 공자학의 뿌리는 확고하여 관학(官學)과 사학(私學)이 공(共)히 인효학이 중시되었는데 한말(韓末)에 이르면서 강한 서세동점으로 인효의 국학의 뿌리가 완전히 뽑히었다. 게다가 당시의 우리의 교육정책자들은 매우 서구지향적이었다. 결과적으로 오늘날 우리나라 국민의 인성이 실종되기에 이르렀다. 교육개혁이 시급한 차제에 근본적인 처방으로 인성교육의 원리인 공자의 인효교육을 제시한다. 이 일이 극악에 처한 인성교육을 회복하는 길임을 인식시키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禮記"

      2 "論語"

      3 김익수, "한국인의 효사상" 수덕문화사

      4 김익수, "한국의 효사상과 정신문화" 수덕문화사

      5 김익수, "율곡의 효사상과 인성교육론 (5)"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 24 : 2014

      6 김익수, "율곡의 효사상과 인성교육론 (3)" 한국사상문화학회 77 : 2015

      7 깁익수, "율곡의 청소년 교육문화론" 수덕문화사

      8 김익수, "우리 고유의 國學을 계승한 공자의 효사상과 인성교육의 정향(Ⅰ)" 한국사상문화학회 (74) : 197-232, 2014

      9 김익수, "동방의 효문화와 인류평화" 수덕문화사

      10 "詩經"

      1 "禮記"

      2 "論語"

      3 김익수, "한국인의 효사상" 수덕문화사

      4 김익수, "한국의 효사상과 정신문화" 수덕문화사

      5 김익수, "율곡의 효사상과 인성교육론 (5)"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 24 : 2014

      6 김익수, "율곡의 효사상과 인성교육론 (3)" 한국사상문화학회 77 : 2015

      7 깁익수, "율곡의 청소년 교육문화론" 수덕문화사

      8 김익수, "우리 고유의 國學을 계승한 공자의 효사상과 인성교육의 정향(Ⅰ)" 한국사상문화학회 (74) : 197-232, 2014

      9 김익수, "동방의 효문화와 인류평화" 수덕문화사

      10 "詩經"

      11 "書經"

      12 "春秋"

      13 "孟子"

      14 "大學"

      15 "周易"

      16 "中庸"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8 0.811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