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 후기 공예품에 보이는 螭龍文 고찰 = A Study on the Hornless Dragon Pattern in late Joseon Dynasty Artifa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892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mong late Joseon Dynasty Artifacts, there was a new form of animal pattern that was hard to find previously. The animal has a thin body, long tail split into two branches, and four legs. It especially appears to be made of the white porcelain in 19th...

      Among late Joseon Dynasty Artifacts, there was a new form of animal pattern that was hard to find previously. The animal has a thin body, long tail split into two branches, and four legs. It especially appears to be made of the white porcelain in 19th century of the Joseon dynasty. Looking through the origin of the pattern, this pattern is not only a kind of the hornless dragon in Ancient Chinese legends but also of an auspicious animal of the ocean. According to the records, it is generally called ‘the hornless dragon(螭龍)’.
      The hornless dragon pattern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dragon of the ancient Chinese and was regarded as being of auspicious existence. However, as time went by, this perception lessened gradually. It commonly adorned artifacts, attire, and buildings during the Qing Dynasty. When the Joseon dynasty had a frequent interchanges with Qing dynasty in 18th century, it was suggested that it arrived with the imported goods from China.
      Relics decorated with the hornless dragon pattern are woodcrafts and white porcelain and so on, which were used by the loyal family and literary noblemen as the central them during 18-19th century. Artifacts for the royal family were the seals, armchairs withwith dragon patterns, frames for folding paintings, and palanquins. Whereas common artifacts for the literary noblemen were white porcelain stationary, incense holders, teapots. The hornless dragon pattern can be categorized into two forms; a single dragon and a symmetrical pair of dragons. The symmetrical pattern was strictly controlled and used primarily in royal artifacts, while the single pattern was freely decorated on white porcelain for literary noblemen in various type.
      At that time, in the Joseon dynasty, there was a trend of ‘Collecting Classical Works(Godongseohwa;古董書畵)' and stationary-making. As part of this trend, it was adopted to the white porcelain stationary especially related with water. At this time, putting the clouds and water waves design around the hornless dragon with few exceptions, the hornless dragon was expressed like a ascending dragon. Or by expressing the verse and the plum and bamboo design, it was expressed the symbolic meaning of entering government service and retirement of the literary noblemen. The composition of the decorations is original and is distinguished from the Chinse ones of the same ag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 후기 공예품에는 이전 시기에 찾아보기 힘들었던 새로운 형태의 동물 문양이 장식되어 눈길을 끈다. 이 동물의 외형은 얇은 몸체와 두 갈래로 나뉜 긴 꼬리, 네 개의 다리를 지닌 형태...

      조선 후기 공예품에는 이전 시기에 찾아보기 힘들었던 새로운 형태의 동물 문양이 장식되어 눈길을 끈다. 이 동물의 외형은 얇은 몸체와 두 갈래로 나뉜 긴 꼬리, 네 개의 다리를 지닌 형태로, 특히 19세기 조선 백자에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이 동물 문양의 연원을 살펴보면, 중국 고대 전설 속에 등장하는 뿔이 없는 용의 일종이자 바다에 근거지를 둔 神獸로서, 중국 문헌기록에 근거하여 현재 보편적으로 ‘螭龍’이라 불리고 있다.
      이룡문은 일찍부터 중국 고대인들에게 용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상서롭고 신비스러운 존재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시간이 갈수록 점차 그 상징의미가 줄어들면서 淸代 이후까지 오랫동안 여러 공예품과 복식, 건축 등에 폭넓게 장식되었다. 청대에 성행한 이룡문은 청과 조선과의 교류가 활기를 띠는 18세기 이후, 조선에 물밀 듯이 수입된 청 문물과 함께 유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룡문이 장식된 조선시대 유물은 18~19세기에 왕실과 문인사대부를 중심으로 사용된 목공예품과 백자 등이 남아있다. 왕실 대상 공예품은 印章, 龍交椅, 삽병틀, 가마 등이 있으며, 문인사대부 대상 공예품은 백자 文房用具와 향꽂이와 찻주전자 등이 있다. 이룡문의 장식구성은 크게 두 마리가 한 쌍을 이루는 대칭형과 한 마리만 등장하는 단독형으로 구분되며, 공예품의 종류와 사용대상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대칭형은 주로 왕실용 공예품에서 정해진 양식에 의해 비교적 엄격함을 유지하였고, 단독형은 문인사대부용 백자에서 훨씬 자유롭고 다양한 유형으로 장식되었다.
      이룡문은 특히 물과 관련된 백자 문방용구에 즐겨 채택되었는데, 그 배경은 당시 조선에서 유행하였던 古董書畵 취미와 문방용구 제작의 증가를 들 수 있다. 이룡문의 주변에는 구름과 파도문 등이 거의 빠짐없이 나타나 昇天하려는 장면이 묘사되었고, 詩句나 매죽문 등이 함께 장식되어 문인의 出仕와 隱逸의 상징의미가 반영되었다. 이러한 장식구성은 동시기 중국에서는 볼 수 없는 조선만의 독창적이고 특징적인 표현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양모, "한국현대미술의 흐름" 일지사 348-359, 1988

      2 구혜인, "조선후기 양각백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3 전승창, "조선후기 백자장식의 민화요소 고찰" 미술사연구회 (15) : 255-278, 2002

      4 방병선, "조선후기 백자연구" 일지사 2000

      5 손계영, "조선왕실 수입 淸末 詩箋紙 형태 및 제작처 연구 -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시전지를 중심으로 -" 한국서지학회 (55) : 371-404, 2013

      6 박심은, "조선시대 책가도의 기원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2

      7 박은순, "조선 후반기 미술의 대외교섭" 예경 2007

      8 방병선, "조선 후반기 미술의 대외교섭" 예경 2007

      9 김은경, "조선 선비의 서재에서 현대인의 서재로: 책거리 특별전" 경기도박물관 190-207, 2012

      10 경기도박물관, "조선 선비의 서재에서 현대인의 서재로 : 책거리 특별전"

      1 정양모, "한국현대미술의 흐름" 일지사 348-359, 1988

      2 구혜인, "조선후기 양각백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3 전승창, "조선후기 백자장식의 민화요소 고찰" 미술사연구회 (15) : 255-278, 2002

      4 방병선, "조선후기 백자연구" 일지사 2000

      5 손계영, "조선왕실 수입 淸末 詩箋紙 형태 및 제작처 연구 -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시전지를 중심으로 -" 한국서지학회 (55) : 371-404, 2013

      6 박심은, "조선시대 책가도의 기원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2

      7 박은순, "조선 후반기 미술의 대외교섭" 예경 2007

      8 방병선, "조선 후반기 미술의 대외교섭" 예경 2007

      9 김은경, "조선 선비의 서재에서 현대인의 서재로: 책거리 특별전" 경기도박물관 190-207, 2012

      10 경기도박물관, "조선 선비의 서재에서 현대인의 서재로 : 책거리 특별전"

      11 방병선, "이형록의 책가문방도 팔곡병에 나타난 중국도자"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8) : 209-238, 2007

      12 장남원, "물질문화 관점으로 본 조선후기 玩物 陶瓷" 미술사학연구회 (39) : 132-163, 2012

      13 조시내, "대한제국기 宮中宴享用家具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264 (264): 127-157, 2009

      14 국립고궁박물관, "궁에서 왕을 만나다-국립고궁박물관 전시유물로 본 조선왕실 문화"

      15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동원컬렉션 명품선 I"

      16 방병선,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19세기 백자 橫手形茶罐의 祖形" 국립중앙박물관 (85) : 19-44, 2014

      17 常素霞, "試論玉器中的蟠螭紋" (2) : 61-68, 1992

      18 萱草園主人, "淺談明淸官窯中的螭龍紋" (2) : 65-68, 2007

      19 鄧淑蘋, "流傳海外疑似齎賞的玉器" (47) : 14-35, 1987

      20 鮮仲文, "歷代玉器螭紋之异同" (2) : 84-86, 2005

      21 大阪市立東洋陶磁美術館, "李朝の文房具" 大阪市立東洋陶磁美術館 1994

      22 방애영, "朝鮮末期 宴享 家具 硏究"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2

      23 구혜인, "朝鮮 後期 陽刻白磁 硏究" 한국미술사학회 263 (263): 99-137, 2009

      24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文房具 100選"

      25 故宮博物院, "故宮經典-明淸帝后寶璽" 紫禁城出版社 2011

      26 張榮, "故宮經典-文房淸供" 紫禁城出版社 2009

      27 葉佩蘭, "故宮博物院藏文物珍品大界 4-琺瑯彩, 粉彩" 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99

      28 尤仁德, "戰國漢代玉雕螭紋的造型与紋飾硏究" (9) : 69-75, 1986

      29 楊美莉, "古色-十六至十八世紀藝術的仿古風" 國立故宮博物院 276-293, 2004

      30 何傳馨, "十全乾隆-淸高宗的藝術品味" 國立故宮博物院 2013

      31 北京文物精粹大系 編委會, "北京文物精粹大系·家具卷" 北京出版社 2005

      32 馮明珠, "乾隆皇帝的文化大業" 國立故宮博物院 2004

      33 "三才圖會"

      34 Asian Art Museum of San Francisco, "In Grand Style : Celebrations in Korean Art During the Joseon Dynasty" Asian Art Museum of San Francisco 2013

      35 김미경, "19세기 조선백자에 보이는 청대 자기의 영향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문화재협동과정 2006

      36 김미경, "19세기 조선백자에 보이는 청대 자기의 영향" 한국불교미술사학회 (33) : 293-327,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MUNHWA -> KOMUNHWA (Korea Antiquity)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69 1.562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