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디어의 환경변화와 소비자의 미디어 이용 변화는 미디어 전략에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영역에서 미디어를 크리에이티브하게 활용하는 미디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792174
201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71-182(12쪽)
1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미디어의 환경변화와 소비자의 미디어 이용 변화는 미디어 전략에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영역에서 미디어를 크리에이티브하게 활용하는 미디어 ...
최근 미디어의 환경변화와 소비자의 미디어 이용 변화는 미디어 전략에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영역에서 미디어를 크리에이티브하게 활용하는 미디어 크리에이티비티의 개념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는 전통 미디어 중심의 패러다임을 넘어 뉴미디어의 적극적인 활용을 실현시키고 있다. 그 중에서 소셜미디어는 웹 2.0 시대의 소비자와 미디어의 특성을 역동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사회적 현상이자 미디어적 가치로 현재 화두에 올라 있으며, 많은 기업과 개인은 이를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써 활발하게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소셜미디어는 소비자 중심의 미디어로써 다양한 미디어적 특성을 통해 커뮤니케이션 영역의 미디어 크리에이티비티를 실현 가능하게 할 수 있다고 기대된다.
먼저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미디어를 크리에이티브하게 활용하는 방안으로써 미디어 크리에이티비티의 다양한 선행연구를 조사하고, 그 개념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 소셜미디어의 개념과 특성을 미디어적 특성, 소셜미디어가 담고있는 콘텐츠적 특성, 그리고 소셜미디어의 사용자 특성으로 나누어 비교해보고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선행연구 후, 다양한 소셜미디어의 사례를 통해 커뮤니케이션 영역에서 확장되고 있는 소셜미디어가 미디어의 크리에이티비티의 활용임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서비스의 확장, 미디어의 확장, 콘텐츠 재확산, 놀이적 미디어 소비, 소비자로 미디어 주체의 변화, 소비자의 참여와 공유, 집단 지성을 활용, 새로운 미디어 창조, 기존 미디어의 시공간 제약에서 탈출, 그리고 콘텐츠 문화창출 등의 소셜미디어 특성이 미디어 크리에이티비티의 개념에 포함되어 있었다. 부연하면 최근 미디어의 크리에이티브한 활용으로서 소셜미디어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방안으로서 활용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media environment and consumer's media usage are cause of changing the paradigm of media strategy. Therefore, media strategies has mentioned the importance of using Media Creativity and expanded relevant discussions from various viewpoints a...
Recently, media environment and consumer's media usage are cause of changing the paradigm of media strategy. Therefore, media strategies has mentioned the importance of using Media Creativity and expanded relevant discussions from various viewpoints according to the changing marketing situations. Among the new paradigm of media, Internet is most important media to accomplish marketing goals and aims. Thus, social media has become most current topic which is useful to explain a dynamic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media and a social phenomena. And also properties of social media can lead this media as a Media Creativity.
First step on this study, comparing both concept and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Creativity and social media, and look into the potentials as a communication tool.
Then, proof correlation between social media and Media Creativity through the case studies of social media. As a result, properties of social media, which were the service expansion, the expansion of media, the content re-diffusion, playful media consumption, changing subject of media, consumer participation and sharing, and leveraging the collective intelligence, creating new media, free of the space and time of media, and creating culture by contents, defined as a Media Creativity. Overall, social media can be known as a Media Creativity which would bring an effective communication method and media strategies.
참고문헌 (Reference)
1 "트윗나눔"
2 하나금융경영연구소, "트위터, SNS를 활용한 홍보사레와 시사점" 63-65, 2009
3 "트위터 지진감지 프로젝트"
4 "코카콜라 팬페이지"
5 정지훈, "제4의 불 : 휴먼에너지, 미래를 이끌어 갈 원동력" 열음사 2010
6 대홍기획, "전 세계가 주목하는 SNS" 14-15, 2010
7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이용자의 SNS이용실태조사 참고" 2008
8 "위키피디아"
9 김중태, "소셜네트워트가 만드는 비즈니스 미래지도" 한스미디어 2010
10 최민재, "소셜 미디어의 확산과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수용자 인식연구" 한국언론정보학회 2009 (2009): 5-31, 2009
1 "트윗나눔"
2 하나금융경영연구소, "트위터, SNS를 활용한 홍보사레와 시사점" 63-65, 2009
3 "트위터 지진감지 프로젝트"
4 "코카콜라 팬페이지"
5 정지훈, "제4의 불 : 휴먼에너지, 미래를 이끌어 갈 원동력" 열음사 2010
6 대홍기획, "전 세계가 주목하는 SNS" 14-15, 2010
7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이용자의 SNS이용실태조사 참고" 2008
8 "위키피디아"
9 김중태, "소셜네트워트가 만드는 비즈니스 미래지도" 한스미디어 2010
10 최민재, "소셜 미디어의 확산과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수용자 인식연구" 한국언론정보학회 2009 (2009): 5-31, 2009
11 FKII 조사연구팀, "소셜 미디어란 무엇인가" 6 : 52-55, 2006
12 IMAD, "소셜 미디어 어떻게 시작하고, 측정할 것인가" 029 : 54-, 2010
13 유승철, "소셜 네트워트 미디어2.0" 58-, 2008
14 DMC미디어마케팅,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용 마케팅 사례"
15 노근정, "미디어 크리에이티비티 구성 요인과 광고 효과 및 적용 가능성 인식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0
16 이화자, "미디어 빅뱅과 광고문화" 한울 2009
17 김승열, "모바일 SNS 서비스 동향 및 전망" 다음커뮤니케이션 2009
18 "마이스타벅스"
19 양윤직, "디지털 시대의 광고 미디어 전략" 커뮤니케이션북스 2010
20 "동아비스니스리뷰"
21 이상민, "기업의 마이크로 블로그 활용에 대한 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 169-176, 2010
22 IMAD, "기업 성공비결, SNS, 어떻게 시작할까" 029 : 49-, 2010
23 Boyd, d. m., "Social network sites: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13 (13): 2007
24 김명숙, "Social Network Service" KT미래기술연구소
25 Stuar,D, "Social Media Metrics"
26 박성용, "SNS를 지배하는 자, 세상을 지배하리라" 26-29, 2009
27 Grounds,J, "Media neutral planning and evaluation; the chicken and the egg of integrated communication" 8 (8): 202-206, 2003
28 Schmitt,B.H, "Customer Experience Management: A Revolutionary Approach to Connecting With Your Customer" John Wiley & Sons 2003
29 카이스트 인공지능 연구실, "Computing Ethics and Social Issues: Social Network Service"
30 Newson, A., "Blogging and other social media: Exploring the technology and protecting the enterprise" Farnham: Gower 2009
31 제일기획, "21세기 소통의 대명사,SNS" 14-17, 2009
32 "1트윗1원"
국내 TV패러디광고 경향 연구 (2000년~2010년까지의 국내 TV-CF를 중심으로)
초등학교 3, 4학년 미술교과서 편집디자인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신용카드 TV광고의 의미생성과정과 이데올로기에 관한 연구
미니멀리즘 경향의 디지털 도어록 디자인 차별화에 관한 사례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2-0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3 | 0.33 | 0.3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4 | 0.34 | 0.512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