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Big 5 성격요인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236417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 (석사) --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2013.8

      • 발행연도

        2013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370.15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subjective well-being

      • 형태사항

        vi, 90 L.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하대현
        권말부록: 설문지
        참고문헌: L. 68-75

      • 소장기관
        •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Big 5 성격요인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Big 5 성격요인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련된 선행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세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Big 5 성격요인과 주관적 안녕감 간에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을 것이다. 둘째, Big 5 성격요인과 자기효능감이 주관적 안녕감과 관계가 있을 것이다. 셋째, Big 5 성격요인과 자기효능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줄 것이다. 넷째, Big 5 성격요인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 효과를 가져 올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원주, 구미시에 소재한 고등학생 353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고등학생의 Big 5 성격요인을 측정하기 위해서 McCrae와 Costa의 NEO-PI-R 이론에 근거한 하대현, 황해익, 남상인(2008)의 5요인 성격검사 척도를 사용하였다. 척도의 요인은 신경증, 외향성, 개방성, 친화성, 성실성의 5개의 대요인과 30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관적 안녕감을 측정하기 위해서 Arygle, Martin, Crossland(1989)가 제작한 옥스퍼드 행복검사를 권석만(2008)이 번안한 옥스퍼드 행복척도(The Oxford Happiness Questionnaire)를 사용하였다. 척도의 요인은 외적행복, 내적행복, 자기조절행복 3가지이다. 김아영•차정은(1996)의 것을 김아영(1997)이 수정한 일반적인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하위 요인은 자신감, 과제난이도, 자기조절효능감이다.
      본 연구 가설을 검정하기 위하여 자료의 분석은 SPSS(18.0)Window용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측정한 변인들의 기술통계치와 신뢰도를 산출하고, 성차에 따른 각 변인의 평균검사점수의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하기 위하여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Big 5 성격요인의 상대적영향력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자기조절효능감의 하위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Big 5 성격요인과 주관적 안녕감, 자기효능감에서 성차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Big 5 성격요인과 자기효능감은 주관적 안녕감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Big 5 성격요인과 자기효능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Big 5 성격요인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Big 5 성격요인 중 신경증은 완전매개모형을, 외향성, 개방성, 친화성, 성실성은 부분매개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Big 5 성격요인과 주관적 안녕감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Big 5 성격요인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Big 5 성격요인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련된 선행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세가지 가...

      본 연구의 목적은 Big 5 성격요인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Big 5 성격요인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련된 선행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세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Big 5 성격요인과 주관적 안녕감 간에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을 것이다. 둘째, Big 5 성격요인과 자기효능감이 주관적 안녕감과 관계가 있을 것이다. 셋째, Big 5 성격요인과 자기효능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줄 것이다. 넷째, Big 5 성격요인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 효과를 가져 올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원주, 구미시에 소재한 고등학생 353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고등학생의 Big 5 성격요인을 측정하기 위해서 McCrae와 Costa의 NEO-PI-R 이론에 근거한 하대현, 황해익, 남상인(2008)의 5요인 성격검사 척도를 사용하였다. 척도의 요인은 신경증, 외향성, 개방성, 친화성, 성실성의 5개의 대요인과 30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관적 안녕감을 측정하기 위해서 Arygle, Martin, Crossland(1989)가 제작한 옥스퍼드 행복검사를 권석만(2008)이 번안한 옥스퍼드 행복척도(The Oxford Happiness Questionnaire)를 사용하였다. 척도의 요인은 외적행복, 내적행복, 자기조절행복 3가지이다. 김아영•차정은(1996)의 것을 김아영(1997)이 수정한 일반적인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하위 요인은 자신감, 과제난이도, 자기조절효능감이다.
      본 연구 가설을 검정하기 위하여 자료의 분석은 SPSS(18.0)Window용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측정한 변인들의 기술통계치와 신뢰도를 산출하고, 성차에 따른 각 변인의 평균검사점수의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하기 위하여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Big 5 성격요인의 상대적영향력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자기조절효능감의 하위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Big 5 성격요인과 주관적 안녕감, 자기효능감에서 성차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Big 5 성격요인과 자기효능감은 주관적 안녕감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Big 5 성격요인과 자기효능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Big 5 성격요인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Big 5 성격요인 중 신경증은 완전매개모형을, 외향성, 개방성, 친화성, 성실성은 부분매개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Big 5 성격요인과 주관적 안녕감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subjective well-being.
      Based on the previous study related to big five personality types and subjective perception of calmness, four hypotheses are set up on this research. First, there should be no gender difference. Second, five personality factors, self-efficacy and subjective well-being will have a relationship. Third,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self-efficacy will affect subjective well-being. Fourth, self-efficacy will play a role as mediator in the relation between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subjective well-being.
      For this Purpose, sample of 353 high school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Five Personality Factors, Self-Efficacy and Subjective Well-Being. SPSS(18.0 win)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f results of the research.
      The study result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on five personality factors, subjective well-being and self-efficacy. Secondly,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was positively related to subjective well-being and self-efficacy. Thirdly, the subjective well-being was affected by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self-efficacy. Fourthly, the self-efficacy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ticism of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on the other hand, the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xtraversion, openness to experience,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This result indicates that self-efficacy does have a mediator effect in the relationship of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subjective well-being.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subjective well-being. Based on the previous study related to big five personality types and subjective 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subjective well-being.
      Based on the previous study related to big five personality types and subjective perception of calmness, four hypotheses are set up on this research. First, there should be no gender difference. Second, five personality factors, self-efficacy and subjective well-being will have a relationship. Third,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self-efficacy will affect subjective well-being. Fourth, self-efficacy will play a role as mediator in the relation between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subjective well-being.
      For this Purpose, sample of 353 high school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Five Personality Factors, Self-Efficacy and Subjective Well-Being. SPSS(18.0 win)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f results of the research.
      The study result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on five personality factors, subjective well-being and self-efficacy. Secondly,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was positively related to subjective well-being and self-efficacy. Thirdly, the subjective well-being was affected by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self-efficacy. Fourthly, the self-efficacy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ticism of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on the other hand, the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xtraversion, openness to experience,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This result indicates that self-efficacy does have a mediator effect in the relationship of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subjective well-be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 문제 = 7
      • Ⅱ. 이론적 배경 = 8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 문제 = 7
      • Ⅱ. 이론적 배경 = 8
      • 1. Big 5 성격요인 이론 = 8
      • 2. 주관적 안녕감 = 13
      • 3. 자기효능감 = 15
      • 4. 선행연구 = 19
      • Ⅲ. 연구 방법 = 31
      • 1. 연구대상 = 31
      • 2. 측정도구 = 32
      • 3. 연구절차 = 35
      • 4. 자료분석 = 35
      • Ⅳ. 연구 결과 = 38
      • 1. 변인들의 평균 및 표준편차 = 38
      • 2. 성차분석= 39
      • 3. Big 5 성격요인 , 자기효능감, 주관적 안녕감의 상관 = 42
      • 4. Big 5 성격요인, 자기효능감 및 주관적 안녕감의 영향 = 45
      • 5.Big 5 성격 요인, 주관적 안녕감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 47
      • Ⅴ. 논의 = 59
      • 1. 성차 분석 = 59
      • 2. Big 5 성격요인, 주관적 안녕감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 61
      • Ⅵ. 결론 = 65
      • 1. 연구의 요약 = 65
      • 2. 연구의 제한점 = 6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