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거침입 범죄두려움과 주거침입범죄 자기보호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별 및 가구형태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 Factors Influencing The Fear Of Housebreaking Crime And Self-Protective Behavior Against Housebreaking - Focused On Gender And Type Of Household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836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differences in fear of housebreaking crime and self-protective behavior against housebreaking among young adults(the age between 19 and 34) based on gender and type of households, single-person household female(SHF), multi-person household female(MHF), single-person household male(SHM), and multi-person household male(MHM) by conducting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vulnerability model, disorder model, and official control model. As results showed that fear of housebreaking decreased in order of SHF, MHF, SHM, and MHM. In all groups, the only factor predicting the fear of housebreaking crime was the residential disorder. The self-protective behavior against housebreaking crime decreased in order of SHF, MHF, MHM, and SHM. In case of SHF, SHM, MHM, factors predicting the self-protective behavior were the residential disorder and the security level of the house. In case of MHF, the only factor predicting the self-protective behavior was the residential disorder.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differences in fear of housebreaking crime and self-protective behavior against housebreaking among young adults(the age between 19 and 34) based on gender and type of households, single-person household fema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differences in fear of housebreaking crime and self-protective behavior against housebreaking among young adults(the age between 19 and 34) based on gender and type of households, single-person household female(SHF), multi-person household female(MHF), single-person household male(SHM), and multi-person household male(MHM) by conducting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vulnerability model, disorder model, and official control model. As results showed that fear of housebreaking decreased in order of SHF, MHF, SHM, and MHM. In all groups, the only factor predicting the fear of housebreaking crime was the residential disorder. The self-protective behavior against housebreaking crime decreased in order of SHF, MHF, MHM, and SHM. In case of SHF, SHM, MHM, factors predicting the self-protective behavior were the residential disorder and the security level of the house. In case of MHF, the only factor predicting the self-protective behavior was the residential disord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성별 및 가구형태를 기준으로 만 19세에서 34세 사이의 청년을 1인가구 여성, 다인가구 여성, 1인가구 남성, 다인가구 남성으로 나누어, 각 집단 간 주거침입 범죄두려움과 주거침입범죄 자기보호행동에 차이가 나타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고, 취약성 모델, 무질서 모델, 공식적 통제 모델에 근거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주거침입 범죄두려움은 1인가구 여성, 다인가구 여성, 1인가구 남성, 다인가구 남성 순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집단에서 주거침입 범죄두려움을 예측하는 유일한 요인은 주거지 근처의 무질서 요인이었다. 주거침입범죄에 대한 자기보호행동은 1인가구 여성, 다인가구 여성, 다인가구 남성, 1인가구 남성 순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가구 여성과 1인가구 남성, 다인가구 남성의 경우 주거침입범죄 자기보호행동을 예측하는 요인은 주거지 무질서 인식과 가구방범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인가구 여성의 경우에는 주거지 무질서 인식만이 유일한 예측 요인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성별 및 가구형태를 기준으로 만 19세에서 34세 사이의 청년을 1인가구 여성, 다인가구 여성, 1인가구 남성, 다인가구 남성으로 나누어, 각 집단 간 주거침입 범죄두려움과 주거...

      본 연구에서는 성별 및 가구형태를 기준으로 만 19세에서 34세 사이의 청년을 1인가구 여성, 다인가구 여성, 1인가구 남성, 다인가구 남성으로 나누어, 각 집단 간 주거침입 범죄두려움과 주거침입범죄 자기보호행동에 차이가 나타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고, 취약성 모델, 무질서 모델, 공식적 통제 모델에 근거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주거침입 범죄두려움은 1인가구 여성, 다인가구 여성, 1인가구 남성, 다인가구 남성 순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집단에서 주거침입 범죄두려움을 예측하는 유일한 요인은 주거지 근처의 무질서 요인이었다. 주거침입범죄에 대한 자기보호행동은 1인가구 여성, 다인가구 여성, 다인가구 남성, 1인가구 남성 순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가구 여성과 1인가구 남성, 다인가구 남성의 경우 주거침입범죄 자기보호행동을 예측하는 요인은 주거지 무질서 인식과 가구방범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인가구 여성의 경우에는 주거지 무질서 인식만이 유일한 예측 요인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심명섭, "핫스팟 경찰활동 예정지역에서의 범죄두려움과 그 영향요인 분석: 다목적기동순찰대 운영지역과 인접지역 간의 비교" 한국경호경비학회 (45) : 243-271, 2015

      2 성용은, "한국 여성의 폭행 및 성폭행 범죄두려움 연구" 한국범죄심리학회 11 (11): 145-174, 2015

      3 이윤호, "피해자학" 박영사 2007

      4 이태진, "청년층의 주거실태는 어떠한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0-, 2017

      5 노성훈, "지역사회의 범죄, 외국인, 무질서가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수준 분석"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5 (25): 1-36, 2014

      6 임창호, "지역사회 무질서, 범죄 두려움, 사회적 유대감 및CCTV 효과성 인식의 관계" 한국공안행정학회 25 (25): 219-250, 2016

      7 이명우, "지역사회 경찰활동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무질서 감소의 매개효과 측정" 한국경찰학회 16 (16): 73-102, 2014

      8 조상현, "지역사회 경찰활동과 범죄두려움에 관한 연구: 한국내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한국범죄심리학회 10 (10): 83-107, 2014

      9 박윤환, "지역 수준 범죄피해 두려움의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 공식범죄통계, 무질서, 집합적 효율성, 경찰에 대한 신뢰도를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 15 (15): 59-88, 2013

      10 김다은, "지역 무질서가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민간경비의 조절효과–" 한국경호경비학회 (50) : 339-366, 2017

      1 심명섭, "핫스팟 경찰활동 예정지역에서의 범죄두려움과 그 영향요인 분석: 다목적기동순찰대 운영지역과 인접지역 간의 비교" 한국경호경비학회 (45) : 243-271, 2015

      2 성용은, "한국 여성의 폭행 및 성폭행 범죄두려움 연구" 한국범죄심리학회 11 (11): 145-174, 2015

      3 이윤호, "피해자학" 박영사 2007

      4 이태진, "청년층의 주거실태는 어떠한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0-, 2017

      5 노성훈, "지역사회의 범죄, 외국인, 무질서가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수준 분석"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5 (25): 1-36, 2014

      6 임창호, "지역사회 무질서, 범죄 두려움, 사회적 유대감 및CCTV 효과성 인식의 관계" 한국공안행정학회 25 (25): 219-250, 2016

      7 이명우, "지역사회 경찰활동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무질서 감소의 매개효과 측정" 한국경찰학회 16 (16): 73-102, 2014

      8 조상현, "지역사회 경찰활동과 범죄두려움에 관한 연구: 한국내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한국범죄심리학회 10 (10): 83-107, 2014

      9 박윤환, "지역 수준 범죄피해 두려움의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 공식범죄통계, 무질서, 집합적 효율성, 경찰에 대한 신뢰도를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 15 (15): 59-88, 2013

      10 김다은, "지역 무질서가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민간경비의 조절효과–" 한국경호경비학회 (50) : 339-366, 2017

      11 황성은, "주택유형별 1인가구의 범죄 안전성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주거학회 24 (24): 9-17, 2013

      12 Statistics Korea, "장래가구추계: 2015~2045" 2017

      13 Shim, H. S., "자신 및 주변인에 대한 범죄두려움에 관한 통합모형 검증" 1-11, 2016

      14 송영남, "위험해석모형을 적용한 범죄두려움의 영향요인 검증" 한국경호경비학회 (48) : 177-206, 2016

      15 노성훈, "외국인의 증가와 범죄에 대한 두려움 : 집단위협이론을 중심으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4 (24): 151-184, 2013

      16 박순진, "여성의 연령별 범죄 두려움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피해자학회 20 (20): 187-209, 2012

      17 정승민, "여성의 성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 20 (20): 151-185, 2011

      18 김다은, "여성 가구 형태별 범죄 두려움에 대한 분석" 한국범죄심리학회 13 (13): 5-32, 2017

      19 최은영, "서울시 청년가구의 주거실태와 정책연구" 민주정책연구원 5-, 2014

      20 Noh, S. H., "범죄의 두려움에대한 경험적 연구" 6 : 169-205, 1998

      21 민수홍, "범죄의 두려움 : 통계청 사회조사 자료분석" 경찰학연구소 6 (6): 155-176, 2011

      22 조준택, "범죄율과 범죄두려움이 서울시민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서울연구원 17 (17): 131-144, 2016

      23 Chang, A. S., "범죄에대한 일반적 두려움과 구체적 두려움의 차이" 381-394, 2010

      24 김연수, "범죄에 대한 두려움의 원인과 반응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0

      25 조은경, "범죄에 대한 두려움에 있어서 남성과 여성의 차이"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9 (9): 1-21, 2003

      26 박정선, "범죄두려움에 관한 다수준적 접근 : 주요 모델들의 검증"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1 (21): 173-203, 2010

      27 김연수, "범죄두려움과 자기보호행동의 관계에 관한 위험해석모델의 재검토" 한국공안행정학회 25 (25): 63-91, 2016

      28 박성훈, "범죄기회요인과 지역특성이 가구범죄피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2 (22): 327-357, 2011

      29 차훈진, "범죄 두려움의 심리와 지역사회 환경" 한국범죄심리학회 9 (9): 169-191, 2013

      30 박종훈,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행정학회 28 (28): 193-216, 2015

      31 류준혁, "범죄 두려움에 대한 경찰 활동의 효과: 위계 모형 접근"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8 (8): 211-234, 2012

      32 정진성, "방범용 CCTV에 대한 인식이 여성의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찰연구학회 13 (13): 341-368, 2014

      33 최상희, "도시형 생활주택의 평가 및 발전방향 연구" 토지주택연구원 2013

      34 이정덕, "대학생의 지역사회 통제 및 무질서 인식이 민간조사업 도입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범죄의 두려움을 매개효과로" 한국범죄심리학회 8 (8): 125-147, 2012

      35 김성언, "노인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 쟁점과 경험적 탐색"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4 (24): 393-426, 2013

      36 윤우석, "경찰활동에 대한 인식이 범죄예방활동에 미치는 영향: 비공식적 사회통제와 지역사회 경찰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 17 (17): 399-440, 2008

      37 차훈진, "경찰활동과 범죄의 두려움" 한국공안행정학회 24 (24): 167-191, 2015

      38 윤우석, "경찰의 공식적 사회통제가 지역사회의 유대와 비공식적 사회통제에 미치는 영향검증"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1 (21): 381-407, 2010

      39 장현석, "가시적 경찰활동 정도에 대한 인식이 범죄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찰학회 18 (18): 317-340, 2016

      40 윤우석, "가시적 경찰활동 인식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검증: 경찰역할인식의 중요성" 대한범죄학회 9 (9): 187-220, 2015

      41 김지선, "가구범죄피해의 발생과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15

      42 Hunter, A., "The challenge of social control: Citizenship and institution building in modern society" 230-242, 1985

      43 Smith, D., "The Social Organization of Self-help : A Study of Defensive Weapon Ownership" 53 (53): 94-102, 1988

      44 Garofalo, J., "The Fear of Crime: Causes and Consequences" 72 (72): 839-857, 1981

      45 Jung, T. J., "The Effects of Vulnerability and Incivility on Fear of Crime of 20s Young People" 33 (33): 143-166, 2017

      46 Park, C. S., "The Community effect on the Fear of Crime" 1 : 75-96, 2011

      47 Hunter, A., "Symbols of incivility: Social disorder and fear of crime in urban neighborhoods" 1978

      48 이태진, "Study of housing support policy for youth poverty alleviation"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3-, 2016

      49 The Seoul Institute, "Seoul statistical series Section 04: Housing"

      50 Giblin, M. J., "Self-protection in rural America: A risk interpretation model of household protective measures" 23 (23): 493-517, 2012

      51 Garland, David., "Punishment and Modern Society : A Study in Social Theory" Univ. of Chicago Press 1990

      52 Krahn, H., "Producing personal safety: The effects of crime rates, police force size, and fear of crime" 23 : 697-710, 1985

      53 Sampson, R. J., "Positive criminology" 91-114, 1987

      54 Ferguson, K. M., "Modeling fear of crime in Dallas neighborhoods a test of social capital theory" 53 (53): 322-349, 2007

      55 Kim, E. K., "Korean Crime Victim Survey in 2012" Korea Institute of Criminology 1-574, 2014

      56 Felson, M., "Human ecology and crime: A routine activity approach" 8 (8): 389-406, 1980

      57 Garofalo, J., "Guardianship and residential burglary" 9 (9): 443-463, 1992

      58 Warr, M., "Fear of victimization: A look at the proximate causes" 61 (61): 1033-1043, 1983

      59 Ferraro, K. F., "Fear of crime: Interpreting victimization risk" SUNY press 1995

      60 Liska, A. E., "Fear of Crime and Constrained Behavior, Specifying and Estimating a Reciprocal Effects Model" 66 (66): 827-837, 1988

      61 Yuh, Y. K,, "Differences in Consumption Patterns of Various Household Types" 12 (12): 65-81, 2001

      62 Lab, S., "Crime prevention participation: An exploratory analysis" 18 (18): 1-23, 1994

      63 Young R. L., "Collective security and the ownership of firearms for protection" 25 (25): 47-62, 1987

      64 McDowall, D., "Collective security and the demand for legal handguns" 88 : 1146-1161, 1983

      65 Kleck, G., "City-level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handgun ownership: Effects of collective security and homicide" 25 (25): 45-66, 2009

      66 곽대경, "CCTV에 대한 인식과 지역적 환경요인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안행정학회 19 (19): 11-46, 2010

      67 Adams, R. E., "Awareness of Community-Oriented Policing and Neighborhood Perceptions in Five Small to Midsize Cities" 33 : 43-54, 2005

      68 강병구,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Fear of Crime based on Ecological Systems Theory"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3 (13): 123-137, 2017

      69 Statistics Korea, "2015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70 강지현, "1인 가구의 범죄피해에 관한 연구 : 가구 유형별 범죄피해 영향요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8 (28): 287-320,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5 0.95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 1.05 1.468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