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Z세대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모바일 광고 회피 행동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934769

      • 저자
      • 발행사항

        인천 :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인하대학교 , 언론정보학과 , 2021. 8

      • 발행연도

        2021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인천

      • 기타서명

        A Lifestyle Segmentation of Z-Generation & Their Mobile Advertising Avoidance Behavior

      • 형태사항

        ii, 104 p. : 26 cm

      • 일반주기명

        인하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김상훈
        참고문헌: p.93-102

      • UCI식별코드

        I804:23009-200000501784

      • 소장기관
        • 인하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Z세대’의 라이프스타일을 세분화하고, 각 라이프스타일 유형의 Z세대가 모바일 광고에 대한 태도와 회피 행동에 대해 고찰하고자 실시되었다. 개인의 가치관 또는 신념을 반영하는 모바일 광고에 대한 태도와 지각된 침입성, 광고 회피 행동을 살폈다. 광고 회피 행동은 오늘날 모바일에서 시도 할 수 있는 인지적 회피, 즉각적 회피, 사전적 회피 등 세 가지 유형의 회피 방식으로 상세히 재구분하였다.먼저, Z세대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살피기 위해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보 지향형 Z세대’, ‘자기 중심형 Z세대’, ‘보수 지향형 Z세대’, ‘영향력 지향형 Z세대’ 등 네 가지 유형의 라이프스타일로 구분하였다. 이어 교차분석을 통해 각 라이프스타일 유형의 특징을 살펴보고, 일원분산분석과 다변량분석을 이용하여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광고 태도, 지각된 침입성, 광고 회피 수준을 살폈다. 그 결과 광고 태도에는 각 라이프스타일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지각된 침입성과 광고 회피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광고 회피 행동 방식(인지적 회피, 즉각적 회피, 사전적 회피)에는 라이프스타일 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Z세대의 라이프스타일을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방법으로 분석한 데 의의가 있다. 이와 더불어 모바일 환경에서 나타나는 회피 방식을 살펴봄으로써 ‘사전적 회피’라는 새로운 회피 행동 유형을 제시하며 확인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를 토대로 실무적 차원에서 접근한다면, 보다 적합한 광고 노출의 기회 확보와 효과적인 목표집단 설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Z세대’의 라이프스타일을 세분화하고, 각 라이프스타일 유형의 Z세대가 모바일 광고에 대한 태도와 회피 행동에 대해 고찰하고자 실시되었다. 개인의 가치관 또는 신념을 반영...

      본 연구는 ‘Z세대’의 라이프스타일을 세분화하고, 각 라이프스타일 유형의 Z세대가 모바일 광고에 대한 태도와 회피 행동에 대해 고찰하고자 실시되었다. 개인의 가치관 또는 신념을 반영하는 모바일 광고에 대한 태도와 지각된 침입성, 광고 회피 행동을 살폈다. 광고 회피 행동은 오늘날 모바일에서 시도 할 수 있는 인지적 회피, 즉각적 회피, 사전적 회피 등 세 가지 유형의 회피 방식으로 상세히 재구분하였다.먼저, Z세대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살피기 위해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보 지향형 Z세대’, ‘자기 중심형 Z세대’, ‘보수 지향형 Z세대’, ‘영향력 지향형 Z세대’ 등 네 가지 유형의 라이프스타일로 구분하였다. 이어 교차분석을 통해 각 라이프스타일 유형의 특징을 살펴보고, 일원분산분석과 다변량분석을 이용하여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광고 태도, 지각된 침입성, 광고 회피 수준을 살폈다. 그 결과 광고 태도에는 각 라이프스타일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지각된 침입성과 광고 회피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광고 회피 행동 방식(인지적 회피, 즉각적 회피, 사전적 회피)에는 라이프스타일 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Z세대의 라이프스타일을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방법으로 분석한 데 의의가 있다. 이와 더불어 모바일 환경에서 나타나는 회피 방식을 살펴봄으로써 ‘사전적 회피’라는 새로운 회피 행동 유형을 제시하며 확인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를 토대로 실무적 차원에서 접근한다면, 보다 적합한 광고 노출의 기회 확보와 효과적인 목표집단 설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 2. 연구의 방법 및 구성 6
      • Ⅱ. 이론적 배경 7
      • 1. 모바일 광고 7
      • Ⅰ. 서론 1
      •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 2. 연구의 방법 및 구성 6
      • Ⅱ. 이론적 배경 7
      • 1. 모바일 광고 7
      • 1) 모바일 광고의 정의와 구분 7
      • 2) 국내·외 모바일 광고 현황 11
      • 3) 모바일 광고 효과 연구 14
      • 2. 광고 회피(AD Avoidance) 17
      • 1) 광고 회피의 개념 17
      • 2) 광고 회피 예측 변인 21
      • 3. 라이프스타일(Lifestyle)과 광고 27
      • 1) 라이프스타일(Lifestyle) 27
      • 2)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광고 태도 37
      • 4. Z세대의 문화 39
      • 1) 세대의 정의와 구분 39
      • 2) 세대 문화 45
      • 3) Z세대의 정의와 특성 47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52
      • 1. 연구문제 52
      • 2. 연구방법 55
      • 1) 라이프스타일 연구방법 55
      • 2) 표본 및 자료수집 58
      • 3)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항목 59
      • Ⅳ. 연구 결과 66
      • 1. 응답자 특성 66
      • 2. 측정의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 68
      • 1) 라이프스타일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 68
      • 2) 종속변수 측정항목의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 71
      • 3. 연구 결과 73
      • 1) 연구문제 1 73
      • 2) 연구문제 2 79
      • 3) 연구문제 3 81
      • 4) 연구문제 4 82
      • 5) 연구문제 5 83
      • Ⅴ. 결론 86
      • 1. 결론 및 시사점 86
      • 2. 한계점 및 제언 92
      • 참고문헌 94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춘경, 최웅용, 정종진, 이윤주, 이수연, "상담학사전", 서울: 학지사, 2016

      2 최재붕, "포노사피엔스", 파주 : 쌤앤파커스, 2019

      3 주창윤, "〈세대 문화〉",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4 오수연, "Z세대를 주목하라", 마케팅, 52(1), 57-62. URL: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 7290196, 2018

      5 채서일, "〈마케팅조사론〉", 서울: 비앤엠북스(3판 25쇄), 2015

      6 양윤, "〈소비자 심리학〉", 서울: 학지사. 194-209, 2008

      7 홍준표, "“유튜브 중간광고”", 매일신문. URL: https://news.imaeil.com/ITCar/2020020716103689625, 2020

      8 박재흥, "한국사회의 세대갈등", 〈한국인구학〉, 33권 3호, 75-99, 2010

      9 한국정보화진흥원, "2019 한국 인터넷 백서.", 한국정보화진흥원. 연구보고서, 2019

      10 허석재, "세대연구의 경향과 쟁점", 〈미래정치연구〉, 5권 1호, 21-47, 2015

      1 김춘경, 최웅용, 정종진, 이윤주, 이수연, "상담학사전", 서울: 학지사, 2016

      2 최재붕, "포노사피엔스", 파주 : 쌤앤파커스, 2019

      3 주창윤, "〈세대 문화〉",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4 오수연, "Z세대를 주목하라", 마케팅, 52(1), 57-62. URL: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 7290196, 2018

      5 채서일, "〈마케팅조사론〉", 서울: 비앤엠북스(3판 25쇄), 2015

      6 양윤, "〈소비자 심리학〉", 서울: 학지사. 194-209, 2008

      7 홍준표, "“유튜브 중간광고”", 매일신문. URL: https://news.imaeil.com/ITCar/2020020716103689625, 2020

      8 박재흥, "한국사회의 세대갈등", 〈한국인구학〉, 33권 3호, 75-99, 2010

      9 한국정보화진흥원, "2019 한국 인터넷 백서.", 한국정보화진흥원. 연구보고서, 2019

      10 허석재, "세대연구의 경향과 쟁점", 〈미래정치연구〉, 5권 1호, 21-47, 2015

      11 남승규, "〈소비자 분석(pp.153-184)〉", 서울: 학지사, 2009

      12 김사라, 임수현, 김상훈, "광고 차단 기술 수용 연구", 〈광고 PR 실학연 구〉, 11권 1호, 9-35, 2018

      13 한국인터넷진흥원, "모바일 광고산업 실태조사.", 한국인터넷진흥원. 연구보 고서, 2014

      14 한국인터넷진흥원, "온라인광고 이용자 인식조사.", 한국인터넷진흥원. 연구 보고서, 2019

      15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2019 방송통신광고비 조사 보고서", 한국방송광고 진흥공사, 2019

      16 정성호, "N 세대의 사회문화적 특성과 의의", 〈인문과학연구〉, 11권, 389-413, 2003

      17 Comte, A., "Cours de Philosophie Positive (quarti re tome),", Bruxelles: Culture et Civilisation [Original work published 1839], pp.635-636; Van den Broek(1999), p.502(허석재. 2015에서 재인용), 1969

      18 홍기영, "Z세대의 등장과 기업에 주는 시사점", 〈대한상의 프리프〉, 103호, 1-4, 2019

      19 한국방송통신위원회, "2019년 방송매체이용행태조사 보고서", 한 국방송통신위원회, 2020

      20 한세준, "새로운 광고형태로서의 모바일 광고", 〈디지털디자인학연구〉, 3 권, 67-73, 2002

      21 김영석, "〈사회조사방법론 SPSS WIN 통계분석〉", 파주: ㈜나남, 2012

      22 김나민, 이문규, "국내 인터넷 이용자의 시장세분화 연구", 〈소비자학연 구〉, 13권 4호, 1-30, 2002

      23 김재영, 박진표, "모바일 광고의 수용자 반응에 관한 연구", 〈OOH광고학연 구〉, 7(4), 71-103, 2010

      24 석관호, 하영원, 이학식, 안광호, "〈소비자행동: 마케팅전략적 접근(7판)〉", 서울: 집현재. 340-350, 2020

      25 한국마케팅연구원, "책보다는 유튜브 영상 중심 Z세대의 등장", 〈마케팅〉, 51권 4호, 32-37, 2017

      26 박재흥, "세대개념에 관한 연구: 코호트적 시각에서", 〈한국사회학〉, 37권 3호, 1-23, 2003

      27 안정기, 이승윤, "평범한 사람들의 비범한 영향력, 인플루언서", 파주: 넥 서스BIZ, 2018

      28 윤덕환, 최인수, 채선애, 송으뜸, "2020 트렌드 모니터(대중을 읽고 기획 하는 힘)", 서울:시크릿하우스, 2019

      29 노경섭,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 : SPSS & AMOS 21", 서울: 한빛 아카데미, 2016

      30 강민정, 조해윤, 정은주, "Z세대가 즐기는 유튜브 채널의 흥미 요인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440-441, 2019

      31 한상필, "문화를 반영하는 광고, 문화를 창조 하는 광고", 〈광고학연구〉, 27권 2호, 29-54, 2016

      32 강주연, 홍윤미, 이호선, 류은영, 류병곤,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 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직학회보〉, 10권 1호, 203-234, 2013

      33 양윤직, 조창환, "광고 매체별 광고회피 수준과 요인에 관한 연구", 〈광고 연구〉, 32권, 355-381, 2012

      34 박찬욱, "모바일 마케팅: 움직이는 고객 움직이는 마케팅", 서울: 시그마 인사이트컴, 2002

      35 이은종, "홍보매체로서 동영상 모바일 광고의 전략적 활용", 〈디자인과학연 구〉, 7권 2호, 61-68, 2004

      36 김요한, "DMB 광고 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광 고홍보학보〉, 9권 3호, 46-79, 2007

      37 대한상공회의소, "유통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 보도자료. 유통산업정책실. URL: http://www.korcham.net/nCham/Service/Economy/appl/Kc ciReportDetail.asp?SEQ_NO_C010=20120927129&CHAM_CD=B 001, 2013

      38 김상훈, "15 초 TV 광고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광고연구〉", 여름호, 271-294, 1991

      39 박혜숙, "신세대 특성과 라이프 스타일 연구:Z 세대를 중심으로", 〈인문사 회 21〉, 7권 6호, 753-767, 2016

      40 Gregg Keizer, "구글 크롬의 광고 차단 정책과 웹 광고계의 역 학 관계", URL: http://www.itworld.co.kr/news/108341, 2018

      41 김인영, 이시훈,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뉴미디어 광고에 대한 평가", 〈광고PR실학연구〉, 7권 2호, 52-73, 2014

      42 임승희, "인터넷 광고의 강제 노출이 기억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상품학 연구〉, 26권 2호, 81-93, 2008

      43 배지은, 윤태웅, 안대천, "이용자 라이프스타일 특성에 따른 IPTV광고 수 용태도 연구", 〈광고학연구〉, 23권 1호, 343-369, 2012

      44 박종민, 심성욱, "라이프스타일과 다양한 매체의 광고효과 인식에 관한 연 구", 〈광고학연구〉, 15(2), 167-197, 2004

      45 이국용, "모바일 광고에 대한 이용자 태도가 회피행동에 미치는 영향", 〈e 비즈니스연구〉, 11권 1호, 95-119, 2010

      46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보편화되는 광고 차단, 웹 비즈니스와 사용 자의 관계 재정립", ICT 최신동향, 1969, 23~31, 2013

      47 김해룡, 윤선화, "상사의 진성리더십이 신뢰와 장인적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1358-1388, 2016

      48 홍기영, "Z세대의 등장과 기업에 주는 시사점 (대한상의 브리프 제 103 호),", 대한상공회의소. URL:http://www.korcham.net/nCham/Service/Economy/app l/NewsBriefDetail.asp?SEQ_NO_C040=2102, 2019

      49 이승창, 임정현, 이상학, "모바일 광고 특성이 모바일 광고 태도와 구매의 도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연구〉, 26권 6호, 213-232, 2015

      50 김상훈, 이경렬, "모바일광고의 접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들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16권 3호, 191-218, 2005

      51 김재휘, 김지호, "인터넷 광고의 효과과정에 관한 연구: 자극성과 회피성 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4권 3호, 165-190, 2003

      52 변성혁, 조창환, "모바일 광고 포맷에 따른 광고회피 수준, 회피유 형,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권 8호, 345-358, 2019

      53 이동환, "〈텔레비전의 5초 광고 효과 연구: 상표명에 대한 회상률을 중심 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54 김상훈, 안대천, "수용자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모바일 광고태도 및 매체이용 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12권 1호, 184-220, 2010

      55 백선기, 한은경, 장우성, 이숙정, 이경락, 범기수, "미디어 이용에 따른 소 비 라이프스타일 특성 및 차이에 관한 탐색적 연구", 〈광고연구〉 95호, 469-494, 2012

      56 박재진, 정영권, 이정교, "인터넷 광고에 대한 불쾌감 형성요인: 척도개발 및 타당성 검증을 중심으로", 〈미디어 경제와 문화〉, 8권 3호, 169-203, 2010

      57 윤소라, "〈베이비부머, X세대, Y세대의 기초화장품 구매의사결정 차이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58 홍종필, "매체 유형에 따른 소비자의 광고회피 양상과 광고회피 예측요인 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20권 5호, 181-212, 2009

      59 신명희, 안주아 , "우리나라 대학생 집단의 라이프스타일 유형 및 라이프스타 일과 구매행동의 관계", 〈한국광고홍보학보〉, 7권 1호, 177-209, 2005

      60 류지연, 이정아, "인터넷 광고 회피에 대한 연구: 회피수준과 회피 예측변 인들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6권 1호, 203-223, 2005

      61 최인규, 한상필, "모바일 광고 회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 구. 〈한국심리학회(소비자", 광고)〉, 9권 3호, 523-527, 2008

      62 김사라, 임수현, 우분, 김상훈, "조절초점에 의한 공익광고 소구유형이 광 고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한중 비교문화연구", 〈소비문화연 구〉, 22권 3호, 167-190, 2019

      63 김사라, 임수현, 김상훈, "소비자가 모바일 VOD 광고를 회피하는 원인: 지각된 침입성, 광고 태도, 광고 소구를 중심으로", 〈소비문화연 구〉, 20권, 183-206, 2017

      64 박보람, 최승우, "인터넷 동영상 인스트림 광고 유형에 따른 광고 회피에 대한 연구: 유튜브 이용자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1권 3호, 665-673, 2015

      65 도선재, 최은영, "인터넷 광고의 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의 매체 이용동기와 능력, 광고 지각 및 광고태도", 〈한국광고홍보학보〉, 13권 2호, 171-197, 2011

      66 강윤관, "〈모바일 서비스 특성이 모바일 광고에 대한 인식과 반응 및 방 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67 김상훈, 임수현, 김상훈, "CSV 적합성, CSV 정당성, 기업 윤리성이 브랜 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CSV 진정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31권 1호, 7-39, 2020

      68 권상희, "“크롬, 유튜브, 8분 이하 영상에선 중간광고 금지-구글, 새 광고규정 발표…'5초 건너뛰기' 적용도 확대”", ZDNet Korea. URL: http://www.zdnet.co.kr/view/?no=20200206095943, 2020

      69 김상훈, 한영주, "스마트폰에서 구현되는 모바일 광고의 수용자 태도에 관 한 연구 : PC에서 구현되는 웹 광고와의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23권 1호, 253-279, 2012

      70 김상훈, 한영주, 최영택, 임수현, 안대천, "스마트 TV 광고의 수용자 인식 과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소비자 라이프 스타일 유형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23권 5호, 85-114, 2012

      71 김신애, 조재수, 윤각, "광고유형(네이티브 vs. 배너)이 모바일 광고의 클 릭률에 미치는 영향: 제품유형과 제품 관여도의 상호작용을 중심 으로", 〈광고학연구〉, 28권 1호, 7-26, 2017

      72 김종흠, "인터넷 광고의 강제적 노출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웹콘텐츠 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소비자", 광고)〉, 13권 4호, 489-512, 2012

      73 최원주,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광고의 크리에이티브 전략: 광고 속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싱글 족의 인식을 중심으로", 〈광고 학연구〉, 15권 4호, 185-207, 2004

      74 김태하, 차훈상, 유소은, "스마트폰 이용자의 모바일 광고 수용의사에 영향을 주는 요인: 개인화된 서비스, 개인정보보호, 광고 피로도 사이에 서의 딜레마", 〈Information Systems Review〉, 17권 2 호, 77-100, 2015

      75 이경렬, "텔레비전 방송광고 회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들에 관 한 연구: 인지적 회피, 기계적 회피, 그리고 물리적 회피를 중심 으로", 〈광고학연구〉, 12권 2호, 165-189, 2001

      76 박현길, 이경렬, "모바일광고의 효과, 장애요인, 그리고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광고주, 광고회사, 그리고 모바일 컨텐츠 업체간의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6권 1호, 225-249,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