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증강현실 기반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디지털 문화유산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Digital Heritage Content Development for Augmented Reality bas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046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ontent of cultural arts education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in need of a change. This is because not only the further development of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is important but also the advanced digital media literacy...

      The content of cultural arts education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in need of a change. This is because not only the further development of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is important but also the advanced digital media literacy complex is requir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present digital cultural contents for augmented reality based cultural art education. Through the process of designing digital cultural contents with hands-on interactive smart educ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which is one of the core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intended to be presented in the search for diversity with a designer mind and a technical approach of developing experiential interactive smart education in digital heritage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4차 산업 혁명 시대의 문화예술교육 콘텐츠는 변화가 필요한 시점에 있다.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함양이 중요시될 뿐만 아니라 진보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가 복합적으로 요구되기 때문...

      4차 산업 혁명 시대의 문화예술교육 콘텐츠는 변화가 필요한 시점에 있다.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함양이 중요시될 뿐만 아니라 진보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가 복합적으로 요구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점에서 증강현실 기반의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디지털 문화유산 콘텐츠를 개발하여 사례로 제시하고자 한다. 디지털 문화유산 콘텐츠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기술 중 하나인 증강현실을 이용한 체험형 인터랙티브 스마트 교육으로 설계하는 과정을 통하여 디자인적 사고와 기술적 접근의 융복합된 과정이 기존 문화예술교육 콘텐츠에서 다양성의 한 모색으로 제시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경란, "한국 문화예술교육 연구 경향 분석" 한국문화관광연구원 31 (31): 76-97, 2017

      2 조희경, "증강현실(AR) 기반 교육용 콘텐츠 디자인에 나타난 에듀테인먼트 콘텐츠 요소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5 (25): 441-452, 2019

      3 윤혜영, "증강현실 콘텐츠의 유형 연구" 인문콘텐츠학회 (49) : 71-91, 2018

      4 전지윤, "인간의 내재적 관계 형상화를 위한 모바일 아트 구현 및 이미지텔링 분석"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2 (12): 407-416, 2012

      5 정유선, "예술중심 융합교육에서 모바일 증강현실(AR)의 활용방안"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0 (0): 113-126, 2016

      6 전지윤, "모바일 아트의 구현에 관한 연구 : 감각확장기기로서 스마트 폰의 활용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2014

      7 이주현, "맥락적 환경을 고려한 증강현실 콘텐츠 개발 전략" 인문콘텐츠학회 (19) : 179-218, 2010

      8 배윤주, "국내 스마트교육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2011년-2018년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5 (25): 319-339, 2019

      9 Y.K. Jang, "Mobile Augmented Reality Technical Trends" 38 (38): 40-, 2010

      10 전지영, "Interactive Authoring Tool for Mobile Augmented Reality Content" 한국정보처리학회 12 (12): 612-630, 2016

      1 전경란, "한국 문화예술교육 연구 경향 분석" 한국문화관광연구원 31 (31): 76-97, 2017

      2 조희경, "증강현실(AR) 기반 교육용 콘텐츠 디자인에 나타난 에듀테인먼트 콘텐츠 요소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5 (25): 441-452, 2019

      3 윤혜영, "증강현실 콘텐츠의 유형 연구" 인문콘텐츠학회 (49) : 71-91, 2018

      4 전지윤, "인간의 내재적 관계 형상화를 위한 모바일 아트 구현 및 이미지텔링 분석"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2 (12): 407-416, 2012

      5 정유선, "예술중심 융합교육에서 모바일 증강현실(AR)의 활용방안"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0 (0): 113-126, 2016

      6 전지윤, "모바일 아트의 구현에 관한 연구 : 감각확장기기로서 스마트 폰의 활용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2014

      7 이주현, "맥락적 환경을 고려한 증강현실 콘텐츠 개발 전략" 인문콘텐츠학회 (19) : 179-218, 2010

      8 배윤주, "국내 스마트교육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2011년-2018년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5 (25): 319-339, 2019

      9 Y.K. Jang, "Mobile Augmented Reality Technical Trends" 38 (38): 40-, 2010

      10 전지영, "Interactive Authoring Tool for Mobile Augmented Reality Content" 한국정보처리학회 12 (12): 612-630, 2016

      11 N. M. Hwang,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reativity Education, Philosophy & Reality, Philculture" 129-, 2018

      12 E. Y. Jung, "Development of New Business Model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eriod"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46-84, 2018

      13 심효영,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증강현실(AR)기반의 융합인재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문화산업학회 17 (17): 119-127,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2-1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지털컨텐츠학회 ->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9-2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디지털컨텐츠학회논문지 ->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37 0.636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