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및 6개 광역시 중에는 가장 높은 손상사망율을 보이고 있는 부산시를 지금까지의 선례 없는 대규모로, 최 단기간인 3년내 국제안전도시로 성공적으로 공인받기 위하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097961
2011
Korean
부산시 ; 안전 ; 국제안전도시 ; 안정증진 ; 모델개발 ; Busan Metropolitan ; safety ; safety community ; safety promotion ; model development
359
학술저널
66-74(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및 6개 광역시 중에는 가장 높은 손상사망율을 보이고 있는 부산시를 지금까지의 선례 없는 대규모로, 최 단기간인 3년내 국제안전도시로 성공적으로 공인받기 위하여...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및 6개 광역시 중에는 가장 높은 손상사망율을 보이고 있는 부산시를 지금까지의 선례 없는 대규모로, 최 단기간인 3년내 국제안전도시로 성공적으로 공인받기 위하여 공인 전략을 수립하고 연차별 사업내용을 도출함으로써 사업 모델과 실천방안을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부산 시민들의 실질적인 안전증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사업으로 추진하기 위한 근거중심의 구체적인 프로그램으로 도출될 수 있는 접근 전략도 모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WHO 공인기준에 근거한 부산광역시 특성화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방안을 연차별로 도출하였고, 부산광역시의 손상지표를 도출하고, 국가통계로 승인받음으로서 신뢰도 높은 손상지표를 도출하였다. 또한 안전관련 사업을 총체적으로 파악하고, 부산광역시청, 구·군청, 경찰청, 교육청 등 시 기관과 시민단체로 구성된 안전전문가의 네트워크을 구축하였으며, 모든 연령과 계층, 특히 노인과 어린이, 저소득층의 취약 계층을 위한 안전사업을 우선적으로 추진함으로써, 부산시민의 시정에 대한 신뢰가 증진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일반 노인 환자와 저소득층 노인 환자의 약물 오·남용 행태 비교 분석
<ACF(Advocacy Coalition Framework) 모형의 발전적 재조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