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황해도 <배뱅이굿>의 제의성과 예술성 - 양소운류 연행을 중심으로 - = he Ritual Features and Artistry of Hwanghae Province Baebaeng-i-gut - Focused on the Yang So-un Style of Performance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Baebaeng-i-gut, a traditional performance in the Hwanghae Province, as performed by the late Yang So-un, who defected from North Korea, due to the Korean War. The primary characteristic of Yang So-un’s style of performance is that it is accompanied by a ceremonial performance of a shaman ritual (gut) involving the cutting and tearing of white hemp cloth (Baengmokcheon), which symbolizes the road to the afterlife according to the customs of Jinogui-gut, the shaman faith of the Hwanghae Province. During the performance of cutting the hemp cloth in the gut to soothe Baebaeng-i’s soul and send it to heaven, the audience is already aware that it is part of the fraudulent practices of the male shaman (Baksu Mudang). Yet, as a ritual it is held formally, wishing for Baebaeng-i’s dead soul to be guided to heaven with help satisfying the grudge (Haewon), tension and enjoyment through fraud are fulfilled as the sentiment of Korean folk beliefs is that they relieve their resentful and sad feelings through gut and wish everyone good luck. Thus, the Hwanghae Province Baebaeng-i-gut is both funny and sad like other Baebaeng-i-gut, However, it is not just secular, but also sacred, which is its distinctive feature.
      Through this ritual performance, the audience participating in the narrative of Baebaeng-i-gut experiences various conflicting aspects of human nature–life and death, true and false, love and hate, compassion and hatred, grudge and Haewon, etc.–in terms of enjoyment, artistry and religiousness in various ways. As-Baksu Mudang’s fraudulent gut becomes the true Jinogui-gut of Baebaeng-i, which all family members and villagers wholly believe, the actual performance, too, comes to have a ritual character through the ceremonial performance of the shaman faith, though it is based on a fictitious epic. In this way, the performance of ‘deceiving’ and ‘being deceived,’ which the audience experiences, crosses the boundaries of the conflicting gap between the real and the false, between the surface and the inside, and between fiction and truth. This enables the audience to be able to appreciate the virtual gut in the narrative in multidimensional aspects of both text and context in various ways, This study analyzed the artistic value of Yang So-un’s style of the Hwanghae Province Baebaeng-i-gut.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s Baebaeng-i-gut, a traditional performance in the Hwanghae Province, as performed by the late Yang So-un, who defected from North Korea, due to the Korean War. The primary characteristic of Yang So-un’s style of performance is...

      This study investigates Baebaeng-i-gut, a traditional performance in the Hwanghae Province, as performed by the late Yang So-un, who defected from North Korea, due to the Korean War. The primary characteristic of Yang So-un’s style of performance is that it is accompanied by a ceremonial performance of a shaman ritual (gut) involving the cutting and tearing of white hemp cloth (Baengmokcheon), which symbolizes the road to the afterlife according to the customs of Jinogui-gut, the shaman faith of the Hwanghae Province. During the performance of cutting the hemp cloth in the gut to soothe Baebaeng-i’s soul and send it to heaven, the audience is already aware that it is part of the fraudulent practices of the male shaman (Baksu Mudang). Yet, as a ritual it is held formally, wishing for Baebaeng-i’s dead soul to be guided to heaven with help satisfying the grudge (Haewon), tension and enjoyment through fraud are fulfilled as the sentiment of Korean folk beliefs is that they relieve their resentful and sad feelings through gut and wish everyone good luck. Thus, the Hwanghae Province Baebaeng-i-gut is both funny and sad like other Baebaeng-i-gut, However, it is not just secular, but also sacred, which is its distinctive feature.
      Through this ritual performance, the audience participating in the narrative of Baebaeng-i-gut experiences various conflicting aspects of human nature–life and death, true and false, love and hate, compassion and hatred, grudge and Haewon, etc.–in terms of enjoyment, artistry and religiousness in various ways. As-Baksu Mudang’s fraudulent gut becomes the true Jinogui-gut of Baebaeng-i, which all family members and villagers wholly believe, the actual performance, too, comes to have a ritual character through the ceremonial performance of the shaman faith, though it is based on a fictitious epic. In this way, the performance of ‘deceiving’ and ‘being deceived,’ which the audience experiences, crosses the boundaries of the conflicting gap between the real and the false, between the surface and the inside, and between fiction and truth. This enables the audience to be able to appreciate the virtual gut in the narrative in multidimensional aspects of both text and context in various ways, This study analyzed the artistic value of Yang So-un’s style of the Hwanghae Province Baebaeng-i-gu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황해도 <배뱅이굿>은 한국전쟁으로 인해 북한에서 월남한 고(故) 양소운에 의해 전승되었다. 양소운류 <배뱅이굿>의 연행적 특징은 황해도 무속 진오귀굿의 베가르기에 해당하는 의례적 연기가 수반된다는 것이다. 공연에서 배뱅이 진오귀굿의 베가르기 연행을 할 때 이미 청관중은 이것이 박수무당의 사기 행각의 일부임을 알고 있다. 그러나 배뱅이의 해원(解冤)을 도와 극락으로의 천도를 기원하는 의례가 형식적으로나마 이루어지면서 사기극을 통한 긴장감과 유희성이 굿을 통해 억울하고 슬픈 감정을 풀고 두루 복을 기원하는 한국 민간신앙의 정서로 이행되게 된다. 이에 황해도 <배뱅이굿>은 다른 배뱅이굿처럼 재밌고 슬프기도 하지만, 한편 세속적이지만은 않으며 성스러움에까지 나아간다는 점에서 변별적인 지점을 가진다.
      <배뱅이굿> 서사에 참여한 청관중들은 삶과 죽음, 참과 거짓, 사랑과 미움, 연민과 혐오, 원한과 해원(解寃) 등 인간사의 다양한 대립적 면모를 유희성, 예술성, 종교성의 측면에서 다각적으로 경험하게 된다. 박수무당의 사기행각인 가짜 굿이 가족과 마을 사람들 모두가 완전히 믿게 되는 배뱅이의 진짜 진오귀굿이 되는 것처럼, 실제의 공연도 허구적 서사를 바탕으로 하지만 무속신앙의 의례적 연행을 통해 제의적 성격을 가지게 된다. 청관중들이 경험하는 ‘속임’과 ‘속음’의 연행은 진짜와 가짜, 표면과 이면, 허구와 진실이라는 대립적 간극의 경계를 넘나든다. 이와 같이 이야기상의 가상의 굿을 텍스트와 컨텍스트 맥락의 다차원적 측면에서 다양하게 감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양소운류 황해도 <배뱅이굿>만의 특별한 예술적 가치를 발견할 수 있다.
      번역하기

      황해도 <배뱅이굿>은 한국전쟁으로 인해 북한에서 월남한 고(故) 양소운에 의해 전승되었다. 양소운류 <배뱅이굿>의 연행적 특징은 황해도 무속 진오귀굿의 베가르기에 해당하는 의...

      황해도 <배뱅이굿>은 한국전쟁으로 인해 북한에서 월남한 고(故) 양소운에 의해 전승되었다. 양소운류 <배뱅이굿>의 연행적 특징은 황해도 무속 진오귀굿의 베가르기에 해당하는 의례적 연기가 수반된다는 것이다. 공연에서 배뱅이 진오귀굿의 베가르기 연행을 할 때 이미 청관중은 이것이 박수무당의 사기 행각의 일부임을 알고 있다. 그러나 배뱅이의 해원(解冤)을 도와 극락으로의 천도를 기원하는 의례가 형식적으로나마 이루어지면서 사기극을 통한 긴장감과 유희성이 굿을 통해 억울하고 슬픈 감정을 풀고 두루 복을 기원하는 한국 민간신앙의 정서로 이행되게 된다. 이에 황해도 <배뱅이굿>은 다른 배뱅이굿처럼 재밌고 슬프기도 하지만, 한편 세속적이지만은 않으며 성스러움에까지 나아간다는 점에서 변별적인 지점을 가진다.
      <배뱅이굿> 서사에 참여한 청관중들은 삶과 죽음, 참과 거짓, 사랑과 미움, 연민과 혐오, 원한과 해원(解寃) 등 인간사의 다양한 대립적 면모를 유희성, 예술성, 종교성의 측면에서 다각적으로 경험하게 된다. 박수무당의 사기행각인 가짜 굿이 가족과 마을 사람들 모두가 완전히 믿게 되는 배뱅이의 진짜 진오귀굿이 되는 것처럼, 실제의 공연도 허구적 서사를 바탕으로 하지만 무속신앙의 의례적 연행을 통해 제의적 성격을 가지게 된다. 청관중들이 경험하는 ‘속임’과 ‘속음’의 연행은 진짜와 가짜, 표면과 이면, 허구와 진실이라는 대립적 간극의 경계를 넘나든다. 이와 같이 이야기상의 가상의 굿을 텍스트와 컨텍스트 맥락의 다차원적 측면에서 다양하게 감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양소운류 황해도 <배뱅이굿>만의 특별한 예술적 가치를 발견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루시, "황해도와 평안도 넋굿의 공연예술성" 한국공연문화학회 0 (0): 5-25, 2004

      2 김용기, "황해도굿 무가의 연행 연구" 선문대학교 2016

      3 이미영, "황해도 진오기굿과 봉산탈춤 中미얄과장 굿의 聯關性에 관한 硏究"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1 : 147-166, 1996

      4 김덕묵, "황해도 진오귀굿 연구 - 굿의 절차를 통해 본 무당별 비교" 한국무속학회 (2) : 25-46, 2000

      5 박일흥, "황해도 배뱅이굿"

      6 양종승, "황해도 무속의 지역성과 보편성" 실천민속학회 2 : 191-211, 2000

      7 김은희, "황해도 굿놀이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8 요한 하위징아, "호모 루덴스" 연암서가 2010

      9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3" 지식산업사 2005

      10 "한국무속신앙사전 ‘기밀’ 항목"

      1 황루시, "황해도와 평안도 넋굿의 공연예술성" 한국공연문화학회 0 (0): 5-25, 2004

      2 김용기, "황해도굿 무가의 연행 연구" 선문대학교 2016

      3 이미영, "황해도 진오기굿과 봉산탈춤 中미얄과장 굿의 聯關性에 관한 硏究"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1 : 147-166, 1996

      4 김덕묵, "황해도 진오귀굿 연구 - 굿의 절차를 통해 본 무당별 비교" 한국무속학회 (2) : 25-46, 2000

      5 박일흥, "황해도 배뱅이굿"

      6 양종승, "황해도 무속의 지역성과 보편성" 실천민속학회 2 : 191-211, 2000

      7 김은희, "황해도 굿놀이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8 요한 하위징아, "호모 루덴스" 연암서가 2010

      9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3" 지식산업사 2005

      10 "한국무속신앙사전 ‘기밀’ 항목"

      11 김동욱, "한국가요의 연구" 을유문화사 1961

      12 林明鎭, "판소리의 서술성황과 現前性의 상관관계 - '매개자'로서의 광대의 역할과 그 작용의 문제 -" 판소리학회 13 : 319-341, 2002

      13 손태도, "판소리 계통 공연 예술들을 통해 본 오늘날 판소리의 나아갈 길" 판소리학회 (24) : 171-210, 2007

      14 손태도, "전통 사회 재담소리의 존재와 그 공연 예술사적 의의" 판소리학회 (25) : 241-280, 2008

      15 김인숙, "재담소리의 유형과 특징에 대한 음악적 고찰" 동양음악연구소 41 : 107-134, 2017

      16 김경배, "이은관류 배뱅이굿 선율 분석 연구" 중앙대학교 2016

      17 김상훈, "양소운 배뱅이굿 연구" 민족문학사연구소 7 : 235-252, 1995

      18 김인숙, "서도소리의 문화재 지정과 전승의 문제점" 한국민요학회 36 : 113-133, 2012

      19 박일흥, "서도소리 및 장구" 양소운전통예술보존회 2010

      20 양윤희, "사령굿과 배뱅이굿의 관계 양상" 대구대학교 국어교육과 7 : 79-93, 1992

      21 김인숙, "북한 전승 배뱅이굿의 연구" 한국고음반연구회 15 : 13-60, 2005

      22 김인숙, "배뱅이굿의 판소리 수용에 관한 연구" 판소리학회 12 : 289-313, 2001

      23 김상훈, "배뱅이굿에 대한 남도 판소리의 영향 연구" 8 : 165-183, 1997

      24 김인숙, "배뱅이굿 音盤考" 한국고음반연구회 10 : 581-592, 2000

      25 김인숙, "배뱅이굿 音樂硏究" 서울대학교 2007

      26 김상훈, "배뱅이굿 起源考" 국어국문학회 110 : 47-65, 1993

      27 양소운, "배뱅이굿" 민족문학사연구소 7 : 253-269, 1995

      28 성경린, "배뱅이굿" 문화재관리국 1984

      29 노재명, "배뱅이굿" 아름출판사 2002

      30 손태도, "굿놀이와 재담소리" 한국무속학회 (21) : 39-72, 2010

      31 장사훈, "국악개요" 정연사 1961

      32 조동일, "구비문학의 세계" 새문사 1980

      33 장덕순, "구비문학개설" 일조각 2009

      34 나진환, "공연학으로 본 판소리 공연예술의 미학적 특질" 판소리학회 (21) : 323-352, 2006

      35 이나현, "경서도(京西道)소리극의 창작 양상 연구" 성균관대학교 2012

      36 康龍權, "金龍勳唱本배뱅이굿 考察" 동아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5 : 21-39, 1996

      37 최홍순, "西道의 劇唱배뱅이굿" 북한연구소 166 : 167-175, 1985

      38 金仁會, "巫俗에서의 죽음의 敎育的意味- 황해도 진지노기굿을 중심으로" 연세대 국학연구원 72 : 733-759, 1991

      39 Tae Do Son, "Perspective on the Hwageuk (화극, 話劇), Jaedamsori (재담소리), and the Lost-Pansori" Society of Pansori 39 : 143-, 2015

      40 金容洛, "Catharsis 論" 한국영어영문학회 29 (29): 955-985, 1983

      41 박일흥, "<배뱅이굿> 완창 공연 영상"

      42 허용호, "19세기 무속에 대한 '반성적 연행'의 성행과 그 민중문화적 의미" 한국무속학회 (19) : 131-164, 2009

      43 배인교, "1950~60년대 북한 전통 음악인들의 활동 양상 검토" 판소리학회 (28) : 137-170,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64 1.574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