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화학과 교육과정의 실행에서 나타난 연계성 부족에 대한 연구 : 대학교수와 대학생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6900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화학과 대학교 일반화학의 연계성에 대한 대학교수들과 대학생들의 인식을 분석하여, 교육 현장에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될 때 연계성 확보 측면에서 발전적인 방안 및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대학교 화학과에서 일반화학을 강의한 대학교수 10인을 선정하였고, 교수자로서 강의 경험을 바탕으로 심층적인 면담을 통해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고등학교 화학과 대학교의 일반화학을 학습한 대학생 8명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일반화학 강의를 수강한 대학생 7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 결과를 연구 자료로 활용하여 연구문제를 비교 및 검토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대학교수들과 대학생들은 대부분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화학과 대학교 일반화학의 교과 내용의 연계는 잘 되고 있다고 인식하였으나, 고등학교 현장에서 실행된 교육과정의 화학과 대학교 일반화학 사이의 연계성은 부족한 것으로 응답하였다. 둘째, 대학교수들은 ‘대학생들의 고등학교 과학과 선택과목’이 일반화학 강의 방향에 영향을 많이 준다고 인식하였다. 다수의 학생들은 ‘점수를 잘 받기 위해서’ 혹은 ‘고등학교에서 수강인원이 적은 과목을 개설해주지 않았기 때문에’ 수능에서 화학Ⅱ를 선택하지 않았다. 그 결과 대학생들이 대학교의 일반화학을 학습하는 데에 있어서 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는 일반화학의 내용 중에 대학생들이 어려워하는 단원을 수직적·수평적 연계성 측면으로 분석하였고, 이에 따라 화학Ⅰ, 화학Ⅱ, 일반화학 사이의 내용체계에 대한 연계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넷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화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확보를 위하여 대학교수들과 대학생들은 고등학교 선택교과 및 대학 입시제도의 개선, 충실한 기초개념의 학습 등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일반화학을 구성하는 중단원의 개념을 적용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 화학Ⅰ, 화학Ⅱ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 화학Ⅰ, 화학Ⅱ를 구성하는 내용요소 및 내용체계를 총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화학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에 대한 새로운 모식도 및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화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부족에 대한 시사점 및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화학과 대학교 일반화학의 연계성에 대한 대학교수들과 대학생들의 인식을 분석하여, 교육 현장에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될 때 연계성 확보 측...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화학과 대학교 일반화학의 연계성에 대한 대학교수들과 대학생들의 인식을 분석하여, 교육 현장에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될 때 연계성 확보 측면에서 발전적인 방안 및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대학교 화학과에서 일반화학을 강의한 대학교수 10인을 선정하였고, 교수자로서 강의 경험을 바탕으로 심층적인 면담을 통해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고등학교 화학과 대학교의 일반화학을 학습한 대학생 8명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일반화학 강의를 수강한 대학생 7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 결과를 연구 자료로 활용하여 연구문제를 비교 및 검토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대학교수들과 대학생들은 대부분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화학과 대학교 일반화학의 교과 내용의 연계는 잘 되고 있다고 인식하였으나, 고등학교 현장에서 실행된 교육과정의 화학과 대학교 일반화학 사이의 연계성은 부족한 것으로 응답하였다. 둘째, 대학교수들은 ‘대학생들의 고등학교 과학과 선택과목’이 일반화학 강의 방향에 영향을 많이 준다고 인식하였다. 다수의 학생들은 ‘점수를 잘 받기 위해서’ 혹은 ‘고등학교에서 수강인원이 적은 과목을 개설해주지 않았기 때문에’ 수능에서 화학Ⅱ를 선택하지 않았다. 그 결과 대학생들이 대학교의 일반화학을 학습하는 데에 있어서 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는 일반화학의 내용 중에 대학생들이 어려워하는 단원을 수직적·수평적 연계성 측면으로 분석하였고, 이에 따라 화학Ⅰ, 화학Ⅱ, 일반화학 사이의 내용체계에 대한 연계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넷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화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확보를 위하여 대학교수들과 대학생들은 고등학교 선택교과 및 대학 입시제도의 개선, 충실한 기초개념의 학습 등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일반화학을 구성하는 중단원의 개념을 적용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 화학Ⅰ, 화학Ⅱ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 화학Ⅰ, 화학Ⅱ를 구성하는 내용요소 및 내용체계를 총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화학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에 대한 새로운 모식도 및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화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부족에 대한 시사점 및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professors and university students about the connection between high school chemistry and general chemistry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to suggest the developmental measures and implications for securing the connection whe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 applied to the educational field. For this purpose, ten university professors who taught General Chemistry at the department of chemistry were selected, an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based on the lecture experience. Also, a case study was conducted for eight university students who had studied high school Chemistry and General Chemistry. And responses from 75 university students were reviewed and compared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As a result, first, most university professors and university students perceived that the curriculum content of high school chemistry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seemed to be well related to General Chemistry. But they perceived that the connection between Chemistry and General Chemistry was insufficient in the curriculum implemented on school sites. Second, university professors perceived that ‘the science subjects that university students chose in high school’ influenced the direction of General Chemistry lectures. Many high school students do not choose ChemistryⅡ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because they try to get good scores and high school did not support classes to a small number of students. These results show that university students have significant difficulty in learning General Chemistry at universities. Third, this study analyzed the vertical and horizontal connection aspects of chapters that university students think difficult in General Chemistry. Accordingly, I figured out the connection in the content system among ChemistryⅠ, ChemistryⅡ, and General Chemistry. Fourth, to secure the connection between high school and university chemistry subject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university professors and university students have suggested the improvement for the optional curriculum and the admissions system, and the study of faithful basic concepts. In addition, this study shows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ontent elements and content systems that consist of Science, ChemistryⅠ, and ChemistryⅡ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Integrated Science, ChemistryⅠ, and ChemistryⅡ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by applying the concept of an intermediate chapter used in General Chemistry. Accordingly, a new schematic diagram and model for the content system of the chemistry curriculum were presented. Based on this, it was intended to suggest implications and alternatives to the insufficiency of connection in the chemistry curriculum.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professors and university students about the connection between high school chemistry and general chemistry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to suggest the developmental measures and implic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professors and university students about the connection between high school chemistry and general chemistry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to suggest the developmental measures and implications for securing the connection whe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 applied to the educational field. For this purpose, ten university professors who taught General Chemistry at the department of chemistry were selected, an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based on the lecture experience. Also, a case study was conducted for eight university students who had studied high school Chemistry and General Chemistry. And responses from 75 university students were reviewed and compared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As a result, first, most university professors and university students perceived that the curriculum content of high school chemistry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seemed to be well related to General Chemistry. But they perceived that the connection between Chemistry and General Chemistry was insufficient in the curriculum implemented on school sites. Second, university professors perceived that ‘the science subjects that university students chose in high school’ influenced the direction of General Chemistry lectures. Many high school students do not choose ChemistryⅡ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because they try to get good scores and high school did not support classes to a small number of students. These results show that university students have significant difficulty in learning General Chemistry at universities. Third, this study analyzed the vertical and horizontal connection aspects of chapters that university students think difficult in General Chemistry. Accordingly, I figured out the connection in the content system among ChemistryⅠ, ChemistryⅡ, and General Chemistry. Fourth, to secure the connection between high school and university chemistry subject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university professors and university students have suggested the improvement for the optional curriculum and the admissions system, and the study of faithful basic concepts. In addition, this study shows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ontent elements and content systems that consist of Science, ChemistryⅠ, and ChemistryⅡ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Integrated Science, ChemistryⅠ, and ChemistryⅡ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by applying the concept of an intermediate chapter used in General Chemistry. Accordingly, a new schematic diagram and model for the content system of the chemistry curriculum were presented. Based on this, it was intended to suggest implications and alternatives to the insufficiency of connection in the chemistry curriculu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1.2. 연구 문제 6
      • 1.3. 연구의 제한점 7
      •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8
      • Ⅰ. 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1.2. 연구 문제 6
      • 1.3. 연구의 제한점 7
      •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8
      • 2.1. 교육과정의 의미와 교육과정에서의 연계성 8
      • 2.1.1 교육과정의 정의 8
      • 2.1.2 연계성의 정의 9
      • 2.1.3 교육과정의 연계성 12
      • 2.2.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에 대한 선행연구 15
      • 2.3.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구대상 19
      • 2.4. 고등학교 선택과목과 대학교 학업성취도의 연계성에 대한 선행연구 25
      • 2.5. 화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에 대한 선행연구 및 본 연구의 차별성 30
      • 2.6. 화학Ⅰ, 화학Ⅱ, 일반화학의 구성 내용 분석 36
      • Ⅲ. 연구 방법 47
      • 3.1. 연구 참여자 47
      • 3.2. 연구 절차 51
      • 3.3. 연구 도구 53
      • 3.4. 자료 분석 57
      • 3.5. 연구 윤리 59
      •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60
      • 4.1. 대학교수의 인식 60
      • 4.1.1. 2009 개정 교육과정 연계성의 실제 60
      • 4.1.2. 교육과정의 의도와 실행의 격차 61
      • 4.1.3. 수직적 연계성 및 수평적 연계성 분석 69
      • 4.1.4.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연계성 확보 방안 74
      • 4.2. 대학생의 인식 82
      • 4.2.1. 2009 개정 교육과정 연계성의 실제 82
      • 4.2.2. 고등학교 선택과목이 일반화학 강의에 미치는 영향 88
      • 4.2.3. 수직적 연계성 및 수평적 연계성 분석 93
      • 4.2.4.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연계성 확보 방안 98
      • 4.3. 해석과 논의 104
      • 4.3.1. 대학교수와 대학생의 인식에 대한 차이 104
      • 4.3.2. 학교급간 화학과 교육과정의 모식도 및 모델링 구축 111
      • 4.3.3. 화학과 교육과정의 실행에서 나타난 연계성 부족의 개선 방향 124
      • Ⅴ. 결론 및 제언 130
      • 5.1. 연구의 요약 및 결론 130
      • 5.2.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 134
      • 참고문헌 138
      • 출판물 150
      • Abstract 151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2015 개정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 2015

      2.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소경희, 김재춘, 부재율, 채선희, 교육과학 사, , 2000

      3. 교육과정 및 교수 방법, 양미경, 교육과학사, , 2003

      4.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조용환, 교육과학사, , 1999

      5.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유기웅, 정종원, 김한별, 김영석, 서울: 박 영사, , 2018

      6. 초 중 교과서 기하영역의 연계성, 송순희, 위정숙, 수학교육, 30(2), 125-148, , 1991

      7.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이론과 실제, 곽병선, 김정희, 김종백, 최희준, 학지사, , 2009

      8. 전정아K-MOOC 대학생 수강자의 인식 분석, 이정민, 디지털융 복합연구, 17(3), 1-11, , 2019

      9. 초 중 고등학교 생물영역의 연계성 연구, 박근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1

      10. 대학 일반화학 교과과정 변화의 쟁점과 함의, 이보경, 교양교육 연구, 12(6), 341-361, , 2018

      1. 2015 개정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 2015

      2.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소경희, 김재춘, 부재율, 채선희, 교육과학 사, , 2000

      3. 교육과정 및 교수 방법, 양미경, 교육과학사, , 2003

      4.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조용환, 교육과학사, , 1999

      5.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유기웅, 정종원, 김한별, 김영석, 서울: 박 영사, , 2018

      6. 초 중 교과서 기하영역의 연계성, 송순희, 위정숙, 수학교육, 30(2), 125-148, , 1991

      7.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이론과 실제, 곽병선, 김정희, 김종백, 최희준, 학지사, , 2009

      8. 전정아K-MOOC 대학생 수강자의 인식 분석, 이정민, 디지털융 복합연구, 17(3), 1-11, , 2019

      9. 초 중 고등학교 생물영역의 연계성 연구, 박근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1

      10. 대학 일반화학 교과과정 변화의 쟁점과 함의, 이보경, 교양교육 연구, 12(6), 341-361, , 2018

      11. 우리의... 고등학교에서 대학까지 화학의 연계, 박종석, 화학세계, 55(6), 46-49, , 2015

      12. 중등학교 과학교과서 물질단원의 연계성 연구, 김경희, 연세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 2002

      13. 2015 개정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적용 방 안, 정은영, 김현경, 교육과정평가연구, 21(1), 61-77, , 2018

      14. 제 7차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과 행정적 지원방안, 박정연, 성신 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0

      15. 고등학교 화학Ⅰ, Ⅱ 수업에 대한 학생의 인식 조 사, 임희준, 박현주, 대한화학회지, 61(6), 369-377, , 2017

      16. 초 중등 및 대학교재 중 물질변화에 대한 연계성 연구, 이남식, 문성배, 문대성, 화학교육 23(5), 345-362, , 1996

      17. 초 중등 및 대학교재 중 물질특성에 대한 연계성 연구, 윤이경, 문정대, 문성배, 화학교육, 24(6), 359-378, , 1997

      18. 2009 개정 고등학교 융합과학의 실행에 대한 교사의 인 식, 심재호, 교육과정평가연구, 17(1), 53-76, , 2014

      19. 국가 수준 과학과 교육과정의 입자 관련 내용 국 제 비교, 김효남, 김동현, 초등과학교육, 31(2), 164-176, , 2012

      20. 선택중심 교육과정: 실행 영향 변인과 교사의 인 식 분석, 박선형, 천일석, 교육과정연구, 25(1), 213-246, , 2007

      21. 중등 및 대학 교재 중 산화-환원반응에 대한 연 계성 연구, 김효겸, 문성배, 대한화학회지, 44(2), 145-156, , 2000

      22. 과학과 교육내용 적정성 분석 및 평가. 연구보고 RRC 2004-1-6, 박순경, 이봉우, 정영근, 박재근, 이양락,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2004

      23. 고체와 기체의 용해에 대한 대학생들의 열역학적 이해 조사, 이윤희, 박종윤, 대한화학회지, 52(2), 186-196, , 2008

      24. 교육과정 실행 과정에서 교사가 경험하는 갈등에 대한 고찰, 김선형, 김가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 261-285, , 2015

      25. 중등 교과서 광합성 영역의 실험 (관찰)에 대한 연계성 분석, 임영진, 여경환, 박강은, 정화숙,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9(3), 230-238, , 2001

      26.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국제 비교: 광합성 개념 중심으로, 이효녕, 여채영,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5), 805-815, , 2015

      27. 과학과 교육 내용 개선을 위한 교육과정 내 용 관련 쟁점 분석, 이기영, 백성혜, 이재봉, 김용진, 과학교육연구지, 34(1), 140-154, , 2010

      28. 제7차 교육과정의 초?중등 생물 수업 목표 의 연계성 지도 분석, 정재훈, 손종경, 김영신, 김후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6), 693-711, , 2009

      29. 초 중 고등학교 과학 과정 중 기상학 내용의 개 념 연계성 분석, 김학만, 국동식, 과학교육연구논총, 20(1), 9-27, , 2004

      30. 2009 개정 고등학교 ‘과학’의 운영 실태와 교사들 의 인식 조사, 최병순, 신영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10), 1599-1612, , 2012

      31. 교육과정의 연계성 탐구: 유치원-초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진숙, 교육과정연구, 24(4), 83-108, , 2006

      32. 유아, 초등, 중등 과학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을 위한 도구 개발, 백성혜, 김효남, 조부경,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 262-273, , 2000

      33. 초등 중등학교 과학교과서에 나타난 열, 온도 개 념에 대한 분석, 박영주, 백성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478-489, , 2000

      34.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과 교육과정 연구. 정 책연구 2011-10, 신이섭, 한국과학창의재단, , 2011

      35. 고등학교 과학 선택 과목의 운영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 조사, 이명준, 심재호, 교사교육연구, 55(4), 537-549, , 2016

      36. 새로운 교육과정 시행에 대한 중 학교 과학 교사들의 인식 및 제안, 공영태, 임재항, 강순민, 남정희, 대한화학회지, 48(3), 311-321, , 2004

      37. 초 중등학교 교 육과정 연계성에 대한 국제비교. 연구보고 RRC 2013-3, 박영미, 김진숙, 송지윤, 최정순, 박순경, 이효녕, 한국교육 과정평가원, , 2013

      38. 2009 개정 고등학교 과학 과목에 대한 고등학생 들의 인식 조사 연구, 심규철, 송신철, 생물교육, 42(4), 467-477, , 2014

      39. 초, 중고등학교 생물 영역에서 공통실험 내용의 연계성에 관 한 연구, 김영애, 정완호, 한국생물교육학회지, 19(1), 11-26, , 1991

      40. 화학Ⅱ 화학결합 단원의 학습 어려움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 연구, 강경희, 고기환, 이선경, 대한화학회지, 51(5), 447-458, , 2007

      41.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개발과 적용을 위한 현안 제시 및 실태 분석, 손연아, 박현주, 교육문화연구, 23(1), 281-314, , 2017

      42.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적용에 대한 초 중 학교 교사의 인식과 요구, 김현경, 나지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1), 103-112, , 2017

      43. 유치원과 초등학교 새 교육과정에 대한 통합적 관점에서 의 연계성 분석, 황윤세, 유아교육연구, 32(5), 321-345, , 2012

      44. 제7차 고등학교 화학 선택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 식 및 요구 분석, 홍미영, 대한화학회지, 50(5), 394-403, , 2006

      45.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과학 선택 과목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조사, 박현주, 이준기, 심재호, 과학교육연구지, 39(2), 133-150, , 2015

      46. 고등학교 과학 심화선택과목 이수여부와 대학 과 학 교과목의 학업성취도, 이보경, 장수철, 교육과정연구, 26(2), 191-210, , 2008

      47. 과학 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알아 본 과학 선택 중심 교 육과정의 운영 실태, 홍미영,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5), 609-620, , 2010

      48. 수학 및 과학 교과내용의 연계성 분석을 위한 준거모형 설정과 예시적 분석, 유계화, 이종록, 이영하, 송순희, 박종윤, 김성원, 강순자, 김규한, 강순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1(2), 119-131, , 1991

      49.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학교 현장 적용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나지연, 김현경,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0), 565-588, , 2018

      50.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화학교육 내용 중 원자와 분자 구조 분야의 연계성, 천옥령,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989

      51.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화학Ⅱ와 대학교 일반화학의 연계성 연구, 김하나,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4

      52.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중등학교 화학 내용 비교 및 계속성에 관한 연구, 김동렬, 손연아, 안미경, 중등교육연구, 61(4), 871-899, , 2013

      53. 과학과 선택과목(화학?생물) 교육과정 개정 시안 연구 개발. 연구보고 CRD 2006-23, 김주훈, 최원호, 동효관, 김희백, 신일용, 홍미영, 정은영, 심재호, 노태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2006

      54. 초등 과학과 교육내용 제시방식을 중심으로 본 초중등간 교육과정 연계성 고찰, 손민호, 아시아교육연구, 5(2), 159-181, , 2004

      55. 물의 상 태, 상태변화 및 그 조건에 대한 유치원, 초등, 중등 과학 교재의 내용 분석, 김효남, 조부경, 임명혁, 고영미, 백성혜, 박재원, 박진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2), 215-229, , 2002

      56. 학교 교육 경쟁력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실행 방안 연구 -과학과-. 연구보고 RRC 2009-4-2, 박선화, 심재호, 신명경,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 2009

      57. 대학 교수가 바 라본 고등교육에서의 대학생 핵심역량: 서울대학교 사례를 중심으 로, 고은영, 오헌석, 송영숙, 김동일, 박상민, 정은혜, 아시아교육연구, 10(2), 195-214, , 2009

      58. 2009개정 과학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과학의 운영 실태 및 과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강근순, 최병순,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19(1), 73-84, , 2013

      59.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실과(기술?가정) 교과 의 초?중?고등학교 학년 간 연계성 분석, 왕석순, 류경희, 백정원, 한국가정과교 육학회지, 24(1), 1-20, , 2012

      60. 방담이 통합개념을 중심으로 한 싱가포르, 캐나다와 미국의 과학교육과정 내용 요소 분석, 송주연, 윤회정, 이윤하, 한국과학교육 학회지, 34(1), 21-32, , 2014

      61. 제7차 선택중심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와 과학교사 및 학생들의 인식 조사, 최순화, 오호창, 권오경, 김은숙, 박국태, 대한화학회지, 52(1), 96-106, , 2008

      62. 대학교양 교육과정 연계성에 관한 연구 - 교육과정 연계 성의 준거모형 설정과 예시적 분석, 이명근,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1984

      63.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융합형 과학에 대 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및 수업 운영 실태조사, 문성배, 엄희숙, 대한지구과학교육 학회, 7(2), 203-213, , 2014

      64. 대학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교수, 학생, 교사 집단간 요구 의 차이 분석 -사범대학을 중심으로-, 한승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7(2), 375-399, , 2007

      65. 2009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대한 교사 인식 분석: 강원도 교육청 소속 중학교 교사들을 중심으로, 김봉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 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2

      66.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과 교육과정 적용과 질 관리 방안에 관한 초 중학교 교사의 인식, 정은영, 과학교육연구지, 36(2), 354-368, , 2012

      67. 초 중 고등학교의 과학 및 화학교과서에 수록된 화학과 관련된 학습내용들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고병남, 과학교육논총, 31, 97-109, , 2006

      68. 고교-대학 연계를 위한 대입 전형 연구(VIII): 고교-대학 연계형 대입제 도 중장기 종합 방안. RR 2011-16, 정광희, 박병영, 홍정은, 서남수, 김경범, 민일홍, 김미란, 한국교육개발원, , 2011

      69. 증발과 증발 조건에 관한 활동에서 유 초 중학교 학생들의 개념 유형 및 학년별 경향성에 관한 연구, 고영미, 박진옥, 임명혁, 백성혜, 김효남, 박재원, 조부경,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2), 286-298, , 2002

      70. 상경아, 임진택, 장동만, 주석훈고교 성취평가 제 도입에 따른 대입전형 연계방안 기초연구. CRE 2012-13, 강태훈, 지은림, 한 국교육과정평가원, , 2012

      71. 고교-대학교육 연계를 위한 탐색적 연구 ?이공 의약계열 진학자의 고교선택과목 수강경험을 중심으로, 심우정, 백선희, 교육학연 구, 53(2), 275-296, , 2015

      72. 대학교 일반화학과 고등학교 화학Ⅰ, 화학Ⅱ 교과 의 연계성 및 일반화학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조사, 이상좌, 문숙희, 대한화학회 지, 55(1), 112-123, , 2011

      73. 대학교육에서 초임교수의 학습자 중심 교육을 위 한 iClass 강좌의 교육과정 실행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김필성, 이대희, 학습자중 심교과교육연구, 18(5), 439-469, , 2018

      74.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개념 의 연계성에 대한 국제 비교 연구 ? 달과 암석의 순환 개념을 중 심으로, 전재돈, 박병열, 김진숙, 이효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4), 677-689, , 2015

      75. 대학수학능력시험 화학Ⅰ 문항 분석 및 학생과 교사의 인식 조사를 통한 화학Ⅰ 응시자 감소 원인 분석, 김현경, 박종석, 배성우, 대한화학회지, 61(6), 378-387, , 2017

      76. 유치원, 초등, 중등 과학 교재의 연계성을 위한 탐구능력 분석 -물질의 상 태 및 상태 변화 개념을 중심으로-, 고영미, 백성혜, 박진옥, 김효남, 조부경, 임명혁, 박재원, 초등과학교육, 20(1), 91-105, , 2001

      77.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탐구 실험’ 실행에 대한 사례연구 ?문화역사적 활동이론(CHAT) 측면에 서의 이해-, 신소연, 박철규, 홍훈기, 이창윤,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6), 885-899, , 2017

      78.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제 6차~2009 개정) 변화에 대한 과학교육전문가, 현직교 사, 예비교사들의 인식 분석, 김동렬, 남믿음, 손연아, 손에녹, 김란이, 문성채, 교육문화연구, 20(4), 61-100, , 2014

      79. 대학의 이공계열 일반화학 학습자의 학습배경과 일반화학학습적성과의 관련성 분석 -H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희창, 박경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1), 35-44, , 2019

      80. 홍보라, 김남희, 한화정, 심규철고등학교 융합형 ‘과학’ 과목 운영에 대한 고등학생과 과학 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송신철, 과학교 육연구지, 36(1), 130-138, , 2012

      81. 원자모형과 전자배치 단원에 대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 습 성취도 및 화학Ⅱ 교과서의 설명방식의 차이점에 대한 분석, 김창곤, 대 한화학회지, 47(3), 273-282, , 2003

      82. 재적응형 대안교육 고등 학교의 과학실험수업과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 분석 -일반계 고등학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태훈, 민병미, 지덕영, 손연아, 이미혜, 교원교육, 24(4), 257-279, , 2008

      83.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종적 연계성 분석 및 미국 차세대 과학 기준(NGSS)과의 비교 연구: 지구과학 기권과 수 권을 중심으로, 김국현, 이효녕, 중등교육연구, 64(1), 23-47, , 2016

      84.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 험 교과에 관해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이 기대하는 부분과 우려하는 부분에 대한 분석, 윤지현, 강성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5), 515-546, , 2016

      85. 고등학교 융합형 과학의 학습내용과 사범대학 예 비과학교사 교육내용과의 연관성 분석을 통한 예비과학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 고찰, 김남희, 심규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3), 363-374, ,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