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湖南地方 周溝土壙墓의 展開樣相에 대한 考察 = (A) Study on the Developmental Aspect of the "Jugutogwangmyo" (the pit-tombs with anencircling ditch) in Honam Provi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6491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호남지방 주구토광묘에 대한 기존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좀더 구체적인 분석을 통하여 주구토광묘의 사회적 성격을 파악하고 옹관고분으로 변천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

      본 연구에서는 호남지방 주구토광묘에 대한 기존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좀더 구체적인 분석을 통하여 주구토광묘의 사회적 성격을 파악하고 옹관고분으로 변천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주구토광묘의 속성을 유적의 입지와 군집형태, 분구의 축조방법, 주구의 평면형태, 매장주체부의 형태, 추가장의 형태 등으로 세분하였다.
      유적의 입지는 사면부와 능선부로 구분되는데 군집형태는 등고선의 방향과 일치하는지 아닌지에 따라 다른 형태를 취하고 있다. 분구의 축조방법은 매장시설을 안치한 후에 조성하는 1유형과 분구를 우선적으로 조성한 이후에 매장시설을 안치하는 2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주구의 평면형태는 Ⅰ~Ⅳ식으로 세분하였다. 매장주체부의 평면형태는 구조와 내부 시설의 형태에 따라 A~C식으로 구분하였다. 추가장의 분류는 조영위치와 형태에 따라 나누었다.
      이들 속성에 대한 검토한 결과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유적의 입지는 조영면적이 넓은 사면부에서 협소한 능선부로 이동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축조방법은 대부분이 분구 선행형(2유형)이 확인되고 있어 시간적으로 이 지방보다 이른 충청지방의 것과는 다른 지역적인 특징으로 파악하였다. 주구의 평면형태는 방형계에서 제형계로 변화되면서 거대화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매장주체부는 토광묘의 형태에서 목관을 안치한 형태로 변화됨을 알 수 있었다. 추가장은 대부분이 주구 내에서 확인되었으며, 점차 토광은 사라지고 옹관은 대상부로 이동되면서 신전장이 가능한 전용옹관을 사용한 것으로 변화되었다. 이후 추가장은 점차 사라지고 한 분구내에 다수의 매장시설이 조영되는 다장의 형태를 갖추면서 장대화되었다.
      이러한 변화양상을 근거로 주구토광묘에 대한 시기를 크게 3기로 구분하였다. 1기는 주구토광묘의 형성기로 군동 18호가 해당된다. 입지는 사면부에 독립되어 있으며, 출토유물인 흑도단경호로 보아 연대는 기원전 1세기~기원후 1세기로 추정하였다. 2기는 주구토광묘의 성장기로 사면부에 조영되면서 유구의 배치가 2~3열의 정연함을 이룬다. 주구의 형태는 방형계가 주를 이루고 매장시설은 다양하게 확인된다. 추가장은 일상용기를 사용한 옹관과 토광이 함께 이루어진다. 유물은 이중구연호가 중심이고 연대는 기원후 2세기~3세기 초반으로 비정하였다. 3기는 주구토광묘에서 옹관고분으로 발전하는 이행기로 입지가 점차 능선부로 이동되면서 복잡해지는 현상이 확인된다. 주구의 형태는 제형이며 매장시설은 목관사용하면서 대형화되었다. 추가장은 토광이 사라지고 옹관이 대상부에서만 확인되었다. 추가장의 옹관은 신전장이 가능한 전용옹관으로 대체되었다. 이후에는 옹관이 중심묘제로 등장하였다. 유물은 이중구연호와 호형토기가 중심이 되며 연대는 3세기 전반~4세기 초반으로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주구토광묘의 형성과정과 사회성격, 그리고 옹관고분으로의 이행과정을 살펴보았다. 주구토광묘의 발생기(1기)에는 재지적인 요소로 생각되는 토광묘와 결합하지 못하고 기원전후한 시기에 잠시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것으로 보인다. 성장기(2기)에는 유적이 군집된 양상을 보이면서 집단내의 결속력을 꽤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추가장이 이루어지면서 상하관계가 성립되었을 것이다. 또한 주구 내부에서 파쇄된 토기편들이 확인되고 있어 의식적인 행위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이행기(3기)는 영산강유역을 중심으로 주구토광묘가 대형화되면서 옹관고분으로 발전되지만 주변지역에서는 주구토광묘, 옹관묘, 토광묘가 동시에 확인되고 있어 고분 단계로 성장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기원후 4세기대에는 대외적으로 중국의 한사군이 퇴출당하면서 국제 정세의 혼란이 야기되고 그에 따라 교역의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그러면서 영산강유역의 옹관고분집단은 서남해안의 루트를 통한 교역을 기반으로 성장하게 된 것으로 추정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social charateristics of 'Jugutokwangmyo'(pit-tombs with an encircling ditch) in the Homan province through more detailed analysis based on the existing studies, and to examine its process of change into the jar-coffin tu...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social charateristics of 'Jugutokwangmyo'(pit-tombs with an encircling ditch) in the Homan province through more detailed analysis based on the existing studies, and to examine its process of change into the jar-coffin tumulus. In order to do it, firstly are classified the attributes of Jugutokwangmyo such as gathering forms of Jugutokwangmyo, constructional methods of mound, plane patterns of 'Jugu'(encircling ditch), plane patterns of main burial parts, and types of additional burial system.
      The gathering form is different whether it is against or not to the direction of contour line, while the locations of site are divided into oblique part and ridgeline part. The constructional methods of mound are classified as type 1 with mound formed after laying down the burial facilities, and type 2 with burial facilities laid down after forming mound. The plane patterns of 'Jugu'(encircling ditch) are subdivided into Ⅰ-Ⅳ type. The patterns of main burial parts are divided into A-C type according to the types of structure and interior facilities. The additional burial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constructional locations and types of burial system.
      I reconsidered these attribut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m are as follows. It is confirmed that the location of sites moved from the oblique part of wide construction area to narrow ridgeline part. The constructional methods of mound in this area is mostly belonged to type 2 which is different from ones of the Choongcheong province which was made earlier than this region. The plane pattern of 'Jugu'(encircling ditch) was changed from square to trapezoid shape and became larger than before. The main burial part was changed from the pit-tombs to the wooden coffin tombs. Most additional burials are found within 'Jugu'(encircling ditch). And as the pit-tomb disappeared, the exclusive jar coffins were used for Shinjunjang(buried unfolding body) as moving to Daesangbu(inside Jugu). After this, the additional burials gradually disappeared, and the pattern of multiple burials increased, in which many burial facilities were built within one mound.
      Through considering these changes the period of Jugutokwangmyo are largely divided into three stages. The first is the formative period of Jugutokwangmyo to which Gundong no. 18 belongs. Location is independent to oblique part, and as black jar with short-neck(黑陶短頸壺) was excavated, the date is estimated between 1st century B.C. and 1st century A.D.. The second is the growing period of Jugutokwangmyo which has the pattern of square shape mostly. Additional burials consisted of jar coffins and pit-tombs together with various burial facilities, and its relics mainly focused on jar with two lips(二重口緣壺). The date of this period is estimated between the 2nd century and the early 3rd century A.D.. The third period, as developing from Jugutokwangmyo to jar coffin tumulus, shows complicated phenomena. The pattern of 'Jugu'(encircling ditch) is trapezoid shape, and burial facility became wooden coffins and larger than before. In additional burials pit-tombs disappeared and jar coffins remained in Daesangbu(inside Jugu). Jar coffins were replaced with exclusive jar coffins for Sinjunjang(buried unfolding whole body). And during the third period the jar coffins took a central position in the burial system. Its main relics are jar with two lips(二重口緣壺) and jar shaped pottery(壺形土器). The date of this period is supposed between the first part of 3rd century and the early 4th century A.D..
      Finally it is examined the formative process and social feature of Jugutokwangmyo, and its changing process into jar coffin tumulus. In the formative period(1st period), it seemed that Jugutokwangmyo could not combine with pit-tombs which meant the tomb of regional persons and appeared before and after Christian Era and disappeared soon. In the growing period(2nd period), it seemed to show gathering aspect to solidify together. With additional burials it is judged to establish the upper and lower relationship. In 3rd period, Jugutokwangmyo became larger, and then jar coffin tumulus appeared in the Youngsan river basin. But in peripheral area Jugutokwangmyo, jar coffin tomb and pit-tomb were coexisted, and these tombs were unable to develop into the stage of tumulus.
      On the other side, in 4th century A.D., as Han military of China withdrew, international situations became chaotic and subsequent change of trade followed. Hence the jar coffin tumulus group in the Youngsan river basin was considered to grow up based on trade through the route of western and southern coast lin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目次 = ⅰ
      • Abstract = ⅳ
      • Ⅰ. 머리말 = 1
      • 1. 硏究史 檢討 = 2
      • 2. 硏究目的과 方法 = 5
      • 目次 = ⅰ
      • Abstract = ⅳ
      • Ⅰ. 머리말 = 1
      • 1. 硏究史 檢討 = 2
      • 2. 硏究目的과 方法 = 5
      • Ⅱ. 遺蹟의 檢討 = 8
      • 1. 遺蹟槪要 = 8
      • 2. 遺蹟의 立地와 群集形態 = 12
      • Ⅲ. 周溝土壙墓의 檢討 = 17
      • 1. 周溝土壙墓의 定義 = 17
      • 2. 周溝土壙墓의 屬性 檢討 = 21
      • 1) 築造方式 = 21
      • 2) 周溝의 平面形態 = 23
      • 3) 埋葬主體部의 形態 = 26
      • 4) 追加葬의 分類 = 29
      • 3. 형식분류와 분포양상 = 33
      • Ⅳ. 段階設定 및 時期區分 = 39
      • 1. 1期(形成期) = 40
      • 2. 2期(成長期) = 43
      • 3. 3期(移行期) = 46
      • Ⅴ. 周溝土壙墓의 展開樣相 = 49
      • 1. 周溝土壙墓의 形成過程 = 49
      • 2. 周溝土壙墓의 社會的 性格 = 52
      • 3. 周溝土壙墓의 消滅과 甕棺古墳의 登場 = 55
      • Ⅵ. 맺음말 = 58
      • <參考文獻> = 65
      • (國文抄錄) = 7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