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학수업분석에 기초한 컨설팅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nsulting based on mathmatics lesson analysis on self-efficacy in teaching mathmatic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4032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in depth whether or not consultation experience based on the analysis of mathematics lessons positivelyaffects the mathematics-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detailed contents of its positive effects. To this end, analytic frameworks for mathematics lessons were developed by dividing them into planning and implementing and based on these, a total of six lesson consultations during one semester were carried out with 25 pre-service teachers. Data collection and analyses were performedwi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integrated analyses focusing on the test data of mathematics-teaching efficacy, in-depth interviews on lesson consultation, and reflective journal writing material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sultation experience based on the mathematics lesson analysi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mathematics-teaching efficacy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details included selection of mathematics activities appropriate for the children and having interest in the goals and contents of the mathematics lessons in the aspect of preparing lesson plans, and activation of prior knowledge and utilization of appropriate motivational strategy for the lesson goal in the aspect of performing the lesson. To improve mathematics-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utilization of lesson analysis frameworks that allow the pre-service teachers to self-examine and systematically check their own lessons and lesson consultation of pre-service teachers were suggested to be effective contents and methods for teacher educ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in depth whether or not consultation experience based on the analysis of mathematics lessons positivelyaffects the mathematics-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detai...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in depth whether or not consultation experience based on the analysis of mathematics lessons positivelyaffects the mathematics-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detailed contents of its positive effects. To this end, analytic frameworks for mathematics lessons were developed by dividing them into planning and implementing and based on these, a total of six lesson consultations during one semester were carried out with 25 pre-service teachers. Data collection and analyses were performedwi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integrated analyses focusing on the test data of mathematics-teaching efficacy, in-depth interviews on lesson consultation, and reflective journal writing material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sultation experience based on the mathematics lesson analysi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mathematics-teaching efficacy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details included selection of mathematics activities appropriate for the children and having interest in the goals and contents of the mathematics lessons in the aspect of preparing lesson plans, and activation of prior knowledge and utilization of appropriate motivational strategy for the lesson goal in the aspect of performing the lesson. To improve mathematics-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utilization of lesson analysis frameworks that allow the pre-service teachers to self-examine and systematically check their own lessons and lesson consultation of pre-service teachers were suggested to be effective contents and methods for teacher educ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진동섭, "학교경영컨설팅과 수업 컨설팅" 교육과학사 2008

      2 윤영배, "포트폴리오 활용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수학에 대한 태도와 수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157-180, 2011

      3 임찬빈, "초등수업평가, 이렇게 해 보세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4 신헌재,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국어과 수업 컨설팅 적용 연구" 초등교육연구원 22 (22): 227-246, 2011

      5 박재근, "초등 예비 교사들의 탐구 수업 지도 전문성 향상을 위한 수업 컨설팅의 적용"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0 (30): 152-161, 2011

      6 이상수, "체계적 수업분석을 통한 수업컨설팅" 학지사 2012

      7 이봉주, "중등수학 예비교사 교육에서 협동마이크로티칭의 활용 가능성 탐색" 한국수학교육학회 53 (53): 399-412, 2014

      8 임승렬, "음악수업 컨설팅을 통한 유아교사의 변화 탐색" 한국음악교육학회 41 (41): 257-278, 2012

      9 장영순, "유치원 수업컨설팅에 대한 인식 및 실행 과정에 관한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3

      10 이연승, "유아교육기관 관리자의 R-러닝 경험 이야기" 한국유아교육학회 35 (35): 463-485, 2015

      1 진동섭, "학교경영컨설팅과 수업 컨설팅" 교육과학사 2008

      2 윤영배, "포트폴리오 활용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수학에 대한 태도와 수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157-180, 2011

      3 임찬빈, "초등수업평가, 이렇게 해 보세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4 신헌재,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국어과 수업 컨설팅 적용 연구" 초등교육연구원 22 (22): 227-246, 2011

      5 박재근, "초등 예비 교사들의 탐구 수업 지도 전문성 향상을 위한 수업 컨설팅의 적용"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0 (30): 152-161, 2011

      6 이상수, "체계적 수업분석을 통한 수업컨설팅" 학지사 2012

      7 이봉주, "중등수학 예비교사 교육에서 협동마이크로티칭의 활용 가능성 탐색" 한국수학교육학회 53 (53): 399-412, 2014

      8 임승렬, "음악수업 컨설팅을 통한 유아교사의 변화 탐색" 한국음악교육학회 41 (41): 257-278, 2012

      9 장영순, "유치원 수업컨설팅에 대한 인식 및 실행 과정에 관한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3

      10 이연승, "유아교육기관 관리자의 R-러닝 경험 이야기" 한국유아교육학회 35 (35): 463-485, 2015

      11 신은수, "유아교육과정의 설계와 실행을 위한 구성 요인 분석 : OECD 국가의 유아교육과정 비교를 기반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71-91, 2012

      12 김세루, "유아교사의 수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수학 교수효능감, 유아의 수학적 태도와의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141-157, 2008

      13 안부금, "유아과학수업의 효과적 컨설팅을 위한 수업분석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5-29, 2014

      14 방정숙, "예비초등교사의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학수업 사례분석" 11 : 35-71, 2011

      15 성원경,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수학교육내용지식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121-140, 2010

      16 장정윤, "예비유아교사의 수학에 대한 이미지" 한국육아지원학회 8 (8): 101-130, 2013

      17 김선, "예비유아교사의 수학불안감 및 수학 교수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153-175, 2013

      18 조부월, "예비유아교사의 수학교육 내용지식 분석과 내용지식에 따른 수학교수효능감의 차이 확인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241-261, 2010

      19 정정희, "예비유아교사의 수학교수능력 증진을 위한 ‘유아수학교육’ 교수실험의 효과 -구성주의적 접근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149-165, 2014

      20 정영옥, "예비교사의 수학수업 컨설팅 사례." 30 (30): 49-83, 2010

      21 정가윤, "예비교사의 과학수업개발을 위한 협동적 수업연구(Lesson Study)의 효과" 교과교육연구소 15 (15): 1061-1080, 2011

      22 안금희, "예비교사 대상 미술과 수업 컨설팅 사례 연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33 (33): 171-196, 2012

      23 박상옥, "예비 중등 영어교사 교육에서 마이크로티칭의 효과 -예비 교사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과학교육연구소 51 (51): 59-74, 2012

      24 이은영, "예비 유아교사의 수학에 대한 태도 및 수학 교수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213-229, 2010

      25 김성숙, "심미적 수업컨설팅을 통한 유아교사의 존재론적 ‘되어가기(becoming)’의 의미" 한국유아교육학회 35 (35): 397-424, 2015

      26 한종화, "수학에 대한 예비 및 현직 유아교사의 태도"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5-27, 2011

      27 황혜정, "수학 수업에서 요구되는 교사 지식에 대한 평가 기준 재탐색" 한국수학교육학회 26 (26): 109-135, 2012

      28 정동권, "수학 교과 수업 컨설팅 프로그램 개발(2006년도 대학 특성화지원 사업)" 경인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2007

      29 최승현, "수업평가 매뉴얼; 수학과 수업평가 기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30 서우석, "수업 컨설팅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방안" 27 : 3-24, 2007

      31 김정희, "미술교과수업 컨설팅 연구" 27 : 241-285, 2007

      32 심상길, "마이크로티칭에서 수학 예비교사들의 수업 행동과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51 (51): 131-144, 2012

      33 전제상, "다원적 교원평가제의 일원화 가능성 및 방안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387-410, 2009

      34 안부금, "과학수업 분석도구를 활용한 수업분석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29-54, 2014

      35 민병곤, "강좌중심 수업컨설팅을 통한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교수역량향상도 분석" 30 (30): 191-208, 2010

      36 Sherin, M. G., "Using video to support teachers’ ability to interpret classroom interactions" 13 (13): 475-491, 2005

      37 Fleer. M, "Understanding the dialectical relations between everyday concepts and scientific concepts within play-based programs" 39 (39): 281-306, 2009

      38 Shulman, L. S.,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15 (15): 4-14, 1986

      39 Santagata, R., "The role of lesson analysis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 an emperical investigation of teacher learning from virtual video-based field experience" 10 : 123-140, 2007

      40 Bekdmir, M., "The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s anxiety related to depth of negative experiences n mathematics classroom while they were students" 75 (75): 331-328, 2010

      41 Shore, M, "The effects of self-regulation, motivation, anxiety, and attributions on mathematics achievement, for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107 (107): 225-236, 2007

      42 Alsawaie, O. N., "The effect of video-based approach on prospective teacher’s ability to analyze mathematics teaching" 13 : 233-241, 2010

      43 Hoy, A. W., "The educational psychology of teacher effcacy" 16 : 153-176, 2004

      44 Kelchtermans, G., "Teacher’s emotions in educational reforms : self-understanding, vulnerable commitment and micro political literacy" 21 : 9954-1006, 2005

      45 Newmann, F. M., "School instructional program coherance : Benefits and challenges" Cosortium on Chicago School Research 2001

      46 Bausmith. J. M., "Revisiting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to increase college readiness" 40 (40): 175-178, 2011

      47 NCTM,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48 김정은, "PCK에 기초한 유아수학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유아교육학회 35 (35): 5-30, 2015

      49 Hudson, P., "Mentors and modeling primary science teaching practices" 7 (7): 1-23, 2002

      50 Jain, S., "Mathematics anxiety as a function of multdimensional self-regulation" 34 : 240-249, 2009

      51 Gronlund, G., "Make early learning standards come alive" NAEYC 2006

      52 Star, J. R., "Learning observe : using video to improv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ability to notice" 11 : 107-125, 2008

      53 Sternberg, G., "Investigating teachers’ images of mathematics" 11 : 89-105, 2008

      54 Bandura, A., "Guide for construction self-efficacy scales" 2006

      55 Enoch, L. G., "Establishing factorial validity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ffcacy beliefs instrument" 100 : 194-203, 2000

      56 Borich, G. D., "Effective teaching methods" Prentice-Hall 2000

      57 Wills, F. J., "Effect of a cooperative learning program on the elaborations of students during help seeking and help given" 42 (42): 115-151, 2009

      58 Slavin, R. E., "Cooperative learning: theory and practice" Allyn and Bacon 1995

      59 Sherin, M. G., "Beyond classical pedagogy: Teaching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Erlbaum 75-93, 2001

      60 교육과학기술부, "3주기 교원양성기관평가편람" 교과부 2011

      61 교육과학기술부, "3-5세 연령별" 교사용 지도서 2012

      62 한국교육개발원, "2015년 4주기 교원양성기관 평가편람" 2015

      63 여태철, "2009년 대학 교육역량강화사업-경인교육대학교-예비교사 수업컨설팅 결과보고서" 경인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72 2.72 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74 2.67 3.087 0.5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