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상자산 거래의 법제화와 착오이체의 법적판단에 관한 시론(試論) – 대법원 2021.12.16. 선고 2020도9789 판결을 대상으로 - = A Study on the Legalization of Virtual Asset Transactions and the Establishment of a Breach of Trust in a Mistaken Transfer-Supreme Court 2020do9789 Ruling decided on Dec. 16, 2021-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685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ransactions of virtual assets based on blockchain technology have been increasing tremendously, causing various social problems. Mistaken transfer of virtual assets is one of them. The Defendant in this case used virtual assets remitted by ...

      Recently, transactions of virtual assets based on blockchain technology have been increasing tremendously, causing various social problems. Mistaken transfer of virtual assets is one of them. The Defendant in this case used virtual assets remitted by mistake without storing them and refused to return them. The virtual asset that was mistakenly transfered was 199.999 Bitcoin, which was equivalent to 1,487,235,086 won at the time.
      In this regard, the district court recognized the establishment of a breach of trust by inferring the legal principle of mistaken transfer of legal currency, while the Supreme Court denied the establishment of a breach of trust. The Supreme Court identified the nature of virtual assets and distinguished them from legal currency, and denied the value of protection under the criminal law based on the lack of regulations and the risk of transactions.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inferring the legal principle of mistaken transfer of legal currency was contrary to the principle of nulla poena sine lege.
      However, with the revision of the Act On Reporting And Using Specified Financial Transaction Information in 2021, the nature of virtual asset transactions is changing significantly. The Virtual asset service provider assumes obligations equivalent to existing financial companies, and the anonymity of virtual asset transactions has been virtually made real through legalization. Therefore, this article tries to review the legalization of virtual asset transactions, and apply the Supreme Court's legal principles on the mistaken transfer of virtual assets to the changed situation to reinterpret the establishment of a breach of trus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한 가상자산 시장이 급성장하며 새로운 사회문제도 다양하게 야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한 법원의 법적 판단도 잇따르고 있다. 본 문헌의 대상사안은 원인이 되는 ...

      최근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한 가상자산 시장이 급성장하며 새로운 사회문제도 다양하게 야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한 법원의 법적 판단도 잇따르고 있다. 본 문헌의 대상사안은 원인이 되는 법률관계 없이 착오로 이체된 가상자산을 반환하지 않은 사례이다. 1·2심에서는 법정화폐 착오송금 법리를 유추하여 배임죄의 성립이 인정한 반면, 대법원에서는 배임죄의 성립을 부정하였다. 대법원은 가상자산의 성격을 규명하여 법정화폐와 구분하고, 규제의 미비와 거래 위험성을 논거로 형법상 보호가치성을 부인하며 착오송금 법리를 유추하는 것은 죄형법정주의에 반한다 판단하였다.
      그러나 대상사안의 행위시와 달리 2021년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이 개정되며 가상자산 거래의 성격은 크게 바뀌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로 구현한 거래의 익명성은 법제화를 통해 사실상 실명화 되었으며, 가상자산 사업자는 기존 금융회사에 준하는 법적 의무를 부담한다. 가상자산사업자는 고객확인의무, 기존 금융회사와 연계된 실명확인이 가능한 입출금 계정 사용의무, 트래블룰을 적용받는다. 이러한「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상의 규제는 중앙화 거래소를 이용한 거래뿐만 아니라 개인지갑으로의 거래에도 적용된다. 규제의 사각지대에 있던 가상자산 거래의 상당부분이 법제화를 통해 제도권으로 흡수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문헌에서는 가상자산 거래의 법제화 상황을 검토한 뒤 가상자산의 착오이체에 관한 대법원의 법리를 비판적으로 재해석해 보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혁준 ; 임민수 ; 김협, "탈중앙화 가상자산거래소(DEX)의 성장 가능성 및 한계점 -중국 가상자산 규제 및 특정금융정보법 발효를 중심으로-" 한국지급결제학회 13 (13): 1-18, 2021

      2 이승준, "원인관계 없이 착오로 송금된 금전의 임의인출과 횡령죄의 성부" 법학연구원 (53) : 133-153, 2016

      3 연성진, "암호화폐(Cryptocurrency)관련 범죄 및 형사정책 연구"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017

      4 정제용, "암호화폐 범죄 관련 범정부적 및 입법적 통제에 대한 연구 -특정금융정보법 개정안을 중심으로" 경찰대학 21 (21): 61-90, 2021

      5 블록체인월드, "세계 암호화폐 지갑 시장 2026년까지 30억 9900만 달러 전망"

      6 최복용 ; 함영욱, "블록체인을 활용한 디지털 증거의 무결성 강화 방안 연구" 치안정책연구소 30 (30): 295-318, 2016

      7 김준상 ; 김세용, "블록체인을 기반으로하는 탈중앙 금융(DeFi)의 조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6 (26): 59-67, 2021

      8 이정훈, "블록체인과 가상화폐의 형사법적 문제와 전망-대법원 2018. 5. 30. 선고 2018도3619 판결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20 (20): 57-88, 2019

      9 권오훈, "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과 암호화폐의 법적 쟁점" 법학연구소 (45) : 3-29, 2020

      10 김종갑, "블록체인 기반 전자투표제의 특징 및 도입시 고려사항" 국회입법조사처 (159) : 2019

      1 권혁준 ; 임민수 ; 김협, "탈중앙화 가상자산거래소(DEX)의 성장 가능성 및 한계점 -중국 가상자산 규제 및 특정금융정보법 발효를 중심으로-" 한국지급결제학회 13 (13): 1-18, 2021

      2 이승준, "원인관계 없이 착오로 송금된 금전의 임의인출과 횡령죄의 성부" 법학연구원 (53) : 133-153, 2016

      3 연성진, "암호화폐(Cryptocurrency)관련 범죄 및 형사정책 연구"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017

      4 정제용, "암호화폐 범죄 관련 범정부적 및 입법적 통제에 대한 연구 -특정금융정보법 개정안을 중심으로" 경찰대학 21 (21): 61-90, 2021

      5 블록체인월드, "세계 암호화폐 지갑 시장 2026년까지 30억 9900만 달러 전망"

      6 최복용 ; 함영욱, "블록체인을 활용한 디지털 증거의 무결성 강화 방안 연구" 치안정책연구소 30 (30): 295-318, 2016

      7 김준상 ; 김세용, "블록체인을 기반으로하는 탈중앙 금융(DeFi)의 조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6 (26): 59-67, 2021

      8 이정훈, "블록체인과 가상화폐의 형사법적 문제와 전망-대법원 2018. 5. 30. 선고 2018도3619 판결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20 (20): 57-88, 2019

      9 권오훈, "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과 암호화폐의 법적 쟁점" 법학연구소 (45) : 3-29, 2020

      10 김종갑, "블록체인 기반 전자투표제의 특징 및 도입시 고려사항" 국회입법조사처 (159) : 2019

      11 한겨례, "범죄를 위한 돈, 민주화를 위한 돈"

      12 이규호, "미국에서 암호화폐의 법률상 지위에 관한 검토" 한국지급결제학회 12 (12): 1-22, 2020

      13 "대법원 2021.11.11. 선고 2021도9855 판결"

      14 "대법원 2018.05.30. 선고 2018도3619 판결"

      15 여성경제신문, "거래소 개인 지갑 출금 금지 조치, 막아야 한다"

      16 박세준, "개정된 특정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의 한계와 가상자산사업 업권법 제정에 관한 논의" 법학연구소 (50) : 129-164, 2021

      17 최단비, "가상화폐의 법적성격 및 거래소 이용자의 권리 구제방안" 한국법학회 20 (20): 597-618, 2020

      18 이형욱, "가상통화 생성방식에 따른 유형별 법적 규제방안 연구-발행주체의 존재여부를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28 (28): 571-601, 2017

      19 이주현 ; 권한용, "가상자산의 법적 지위와 피해구제에 관한 법적 연구" 동북아법연구소 15 (15): 413-449, 2022

      20 맹수석, "가상자산에 대한 제도 개선 방안의 검토 -비트코인 등 블록체인기술 기반의 가상자산을 중심으로-" 한국법학회 21 (21): 151-180, 2021

      21 송문호, "가상자산 착오이체와 횡령죄⋅배임죄의 성부 - 대법원 2021. 12. 16.선고 2020도9789 판결 -" 동북아법연구소 16 (16): 243-263, 2022

      22 박웅신, "가상자산 규제의 방향성에 대한 검토" 한국지급결제학회 13 (13): 309-336, 2021

      23 테크M, "KISA 가상자산거래소 ISMS 심사시 '월렛' 가장 많이 본다"

      24 김혜정, "4차 산업혁명시대에 블록체인기술에 기반을 둔 암호화폐의 형사정책적 함의에 대한 연구 - 암호화폐 관련범죄에 대한 규제방안을 중심으로 -" 한국형사정책학회 31 (31): 183-209,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유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7 0.57 0.735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