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세월호 참사 10년은 어떻게 회상되는가?: <시사IN>이 기록한 “세월호 10년, 100명의 기억” 추모 텍스트 분석 = How is the 10th Anniversary of the Sewol Ferry Disaster Remembered?: Analysis of the Memorial Text, “10 Years of the Sewol Ferry, 100 People’s Memories” Recorded by the Weekly Magazine <SisaI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2956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세월호 참사가 일어난 지 10년의 세월이 지난 시점에 사람들이 이를 어떻게 기억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시사 주간지 <시사IN>이 기획 보도한 ‘세월호 10년, 100명의 기억’ 텍스트에 대해 내용분석했다. 이를 위해 핵심어 빈도와 의미연결망 분석방법을 사용했다. 연구결과는 크게 3가지로 요약되었다. 첫째, 세월호 참사에 대한 10년 기억은 ‘우리’라는 사회 공동체 인식과 ‘아이(들)’를 중심으로 ‘유가족’, ‘가족’이라는 가족 공동체 문제에 집중되어 있었고, 세월호 참사 당시를 회상하는 추상적 기억방식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억주체자 사이의 기억 차이를 살펴본 결과, 생존자 및 유가족은 세월호 참사로 희생된 아이에 대한 안타까움, 주변 사람들의 격려, 우리(들)의 문제로 내재화된 내용이 많았다. 참사 수습 관계자들은 진상규명을 통한 정부의 책임,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사회 공동체의 노력 등과 같이 객관화되고, 사회화된 기억을 드러냈다. 셋째, 남성과 여성 사이에 기억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남성은 세월호 참사를 ‘우리(들)의 문제’로 사회화함으로써 사고 당시의 사고 수습, 가족협의회 등을 통한 사회적 조사 활동에 대한 부성애적 기억이 많았다. 반면 여성은 희생된 아이(들)에대한 감정 기억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부모로서 지켜주지 못한 데 대한 안타까움이나 생전 학창시절 모습을 그리워하는 모성애적 기억이 많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억주체자에 따른 기억의 차이, 기억전달자로서의 언론의 역할, 시간 흐름에 따른 기억변화의 특징을 이론적·현실적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세월호 참사가 일어난 지 10년의 세월이 지난 시점에 사람들이 이를 어떻게 기억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시사 주간지 <시사IN>이 기획 보도한 ‘세월호 10년, 100명의 기억’ 텍스...

      이 연구는 세월호 참사가 일어난 지 10년의 세월이 지난 시점에 사람들이 이를 어떻게 기억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시사 주간지 <시사IN>이 기획 보도한 ‘세월호 10년, 100명의 기억’ 텍스트에 대해 내용분석했다. 이를 위해 핵심어 빈도와 의미연결망 분석방법을 사용했다. 연구결과는 크게 3가지로 요약되었다. 첫째, 세월호 참사에 대한 10년 기억은 ‘우리’라는 사회 공동체 인식과 ‘아이(들)’를 중심으로 ‘유가족’, ‘가족’이라는 가족 공동체 문제에 집중되어 있었고, 세월호 참사 당시를 회상하는 추상적 기억방식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억주체자 사이의 기억 차이를 살펴본 결과, 생존자 및 유가족은 세월호 참사로 희생된 아이에 대한 안타까움, 주변 사람들의 격려, 우리(들)의 문제로 내재화된 내용이 많았다. 참사 수습 관계자들은 진상규명을 통한 정부의 책임,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사회 공동체의 노력 등과 같이 객관화되고, 사회화된 기억을 드러냈다. 셋째, 남성과 여성 사이에 기억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남성은 세월호 참사를 ‘우리(들)의 문제’로 사회화함으로써 사고 당시의 사고 수습, 가족협의회 등을 통한 사회적 조사 활동에 대한 부성애적 기억이 많았다. 반면 여성은 희생된 아이(들)에대한 감정 기억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부모로서 지켜주지 못한 데 대한 안타까움이나 생전 학창시절 모습을 그리워하는 모성애적 기억이 많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억주체자에 따른 기억의 차이, 기억전달자로서의 언론의 역할, 시간 흐름에 따른 기억변화의 특징을 이론적·현실적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how people remember the Sewol Ferry disaster 10 years after it occurred.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keyword frequency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on the text ‘10 years of Sewol Ferry, 100 people’s memories’ reported by weekly magazine <SisaIN>. The research results were largely summarized in three points. First, the 10-year memory of the Sewol Ferry disaster was focused on the perception of the social community as ‘us’ and the family community as ‘bereaved family’ and ‘family’ centered on ‘child(ren)’, and recollections of the time of the Sewol Ferry disaster. It was found to rely on an abstract memory method.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memory among subjects survivors and bereaved families, and those involved in disaster management, survivors and bereaved families internalized many contents. such as regret for the children who were sacrificed in the Sewol Ferry disaster, encouragement from those around them, and the internalization of the issue as a collective concern. Those involved in the disaster management exhibited more objectified and socialized memories, such as the government’s responsibility through truth-finding and the social community’s efforts to create a safe society.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memory between men and women, men socialized the Sewol Ferry disaster as ‘our problem’ and had many paternal memories of accident resolution at the time of the accident and participating in social investigative activities through family councils, etc. On the other hand, women focused on emotional memories of the sacrificed child(ren), and had many maternal memories of feeling sorry for not being able to protect them as parents or missing their school day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differences in memory depending on the memory subject, the role of the media as a transmitter of memor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memory changes over time were discussed from a theoretical and practical perspective.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how people remember the Sewol Ferry disaster 10 years after it occurred.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keyword frequency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on the text ‘10 years of Sewol Ferry, 100 people’s memories’ reported by ...

      This study examined how people remember the Sewol Ferry disaster 10 years after it occurred.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keyword frequency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on the text ‘10 years of Sewol Ferry, 100 people’s memories’ reported by weekly magazine <SisaIN>. The research results were largely summarized in three points. First, the 10-year memory of the Sewol Ferry disaster was focused on the perception of the social community as ‘us’ and the family community as ‘bereaved family’ and ‘family’ centered on ‘child(ren)’, and recollections of the time of the Sewol Ferry disaster. It was found to rely on an abstract memory method.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memory among subjects survivors and bereaved families, and those involved in disaster management, survivors and bereaved families internalized many contents. such as regret for the children who were sacrificed in the Sewol Ferry disaster, encouragement from those around them, and the internalization of the issue as a collective concern. Those involved in the disaster management exhibited more objectified and socialized memories, such as the government’s responsibility through truth-finding and the social community’s efforts to create a safe society.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memory between men and women, men socialized the Sewol Ferry disaster as ‘our problem’ and had many paternal memories of accident resolution at the time of the accident and participating in social investigative activities through family councils, etc. On the other hand, women focused on emotional memories of the sacrificed child(ren), and had many maternal memories of feeling sorry for not being able to protect them as parents or missing their school day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differences in memory depending on the memory subject, the role of the media as a transmitter of memor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memory changes over time were discussed from a theoretical and practical perspectiv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