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SOD의 보조인자인 3종의 미네랄 Mn, Zn, Cu의 비만억제 효능 및 ROS 관련 기전을 확인함으로써 식이 영양인자인 미네랄의 지방세포 분화과정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264258
2024
Korean
KCI등재,SCOPUS
학술저널
913-920(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SOD의 보조인자인 3종의 미네랄 Mn, Zn, Cu의 비만억제 효능 및 ROS 관련 기전을 확인함으로써 식이 영양인자인 미네랄의 지방세포 분화과정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
본 연구에서는 SOD의 보조인자인 3종의 미네랄 Mn, Zn, Cu의 비만억제 효능 및 ROS 관련 기전을 확인함으로써 식이 영양인자인 미네랄의 지방세포 분화과정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3T3-L1 분화과정에서 Mn은 가장 우수한 지질축적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세포 내 ROS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Mn은 지방세포 분화과정에서 Nfr2의 발현을 통하여 Mn-SOD와 같은 내인성 항산화효소의 발현과 활성화를 유도함으로써 세포 내 ROS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초기 지방세포 분화에서 ROS 억제는 PPARγ 발현에 영향을 미치며, Mn이 이러한 인자들의 발현 조절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추가적인 동물세포 및 조직 내 추가적인 여러 기전의 연구가 요구되지만, 본 연구의 결과는 미량 영양소인 Mn이 비만 예방 효능 및 다양한 비만 유도성 대사질환에 대한 효과적인 소재로의 가능성을 보여 주는 결과로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 of lipid accumulation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related mechanisms of the superoxide dismutase (SOD)-related minerals (manganese [Mn], zinc, and copper). During the differentiation process of 3T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 of lipid accumulation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related mechanisms of the superoxide dismutase (SOD)-related minerals (manganese [Mn], zinc, and copper). During the differentiation process of 3T3-L1 adipocytes, Mn was shown to most effectively inhibit lipid accumulation. We examined the inhibitory effect of intracellular ROS generation and its related mechanism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the antioxidant mechanisms on adipogenesis and lipogene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n treatment inhibited intracellular ROS generation by inducing the expression of nuclear factor erythroid 2-related factor 2 dur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thereby inducing the expression and activation of endogenous antioxidant enzymes such as Mn-SOD. Finally, Mn significantly regulated the adipogenesis-related protein expression in 3T3-L1 adipocytes. These results suggest the potential of Mn as an effective mineral for obesity prevention through the regulation of ROS production.
열처리 마늘 껍질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3T3-L1 지방세포 지방축적 억제 효과
브로콜리로부터 분리한 다당에 의한 대식세포 활성화 및 세포내 신호전달 경로
한식메주와 개량메주로 제조된 간장 덧의 발효 기간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및 효소활성 특성 변화
우리나라 다소비 농식품 자원에 함유된 비오틴 함량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