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구강건강관리에 대한 인식, 태도 및 실천행위 = Dental Health car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Local Children's Center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5173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구강건강관리 인식과 태도, 실천행위와의 관련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지역아동센터 아동들의 지속적인 구강건강 지식전달과 올바른 태도가 형성되어 실천할...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구강건강관리 인식과 태도, 실천행위와의 관련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지역아동센터 아동들의 지속적인 구강건강 지식전달과 올바른 태도가 형성되어 실천할 수 있도록 구강보건증진을 위한 기초 교육자료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2011년 2월 18일부터 2월 20일까지 대구시 지역아동센터 교사 직무연수기간동안 1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수집자료는 PAS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및 백분율 등의 기술통계와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구강건강관리 인식점수는 평균 19.13점, 태도점수는 평균 7.84점, 실천행위점수는 11.94점으로 비교적 높게 나왔다.
      ․ 구강건강관리 인식, 태도 및 실천행위는 구강보건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 아동의 구강검진 기회를 제공하는 경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 대상자의 구강건강관리 인식과 태도, 실천행위의 상관관계는 구강건강관리 태도와 구강건강관리 실천행위 간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구강건강관리 실천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구강보건교육을 받은 경우, 아동 구강검진 기회를 제공하는 경우, 그리고 구강건강관리 태도점수가 높을수록 실천행위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구강건강관리 실천행위는 구강보건 교육의 경험 유무와 구강건강관리의 태도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지역아동센터 교사를 대상으로 올바른 구강건강관리 태도가 형성되어 실천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구강보건 교육을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y reviewing the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in regard of the subject of oral hygiene among the teachers at the local Center for Children's Welfare, this study is to provide of the guidelines for improving the oral hygiene of children visiting...

      By reviewing the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in regard of the subject of oral hygiene among the teachers at the local Center for Children's Welfare, this study is to provide of the guidelines for improving the oral hygiene of children visiting the local Center for Children's Welfare through consistently conveying the medical knowledge of oral hygiene to them, and guiding them toward an appropriate attitude for it. The author administered a questionnaire with 105 teachers while undergoing his/her teacher's internship at a local Center for Children's Welfare in Daegu-Si, from Feb 18th to Feb 20th, 2011.
      The statistical techniques as frequencies and mean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PASW 18.0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 The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 of dental health care was average 19.13 point in knowledge, average 7.84 point in attitudes, average 11.94 point practicely high in gender role values.
      ․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case with oral health education, children's dental check-up opportunities in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 of dental health care.
      ․ The result of correlation among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 of dental health care was found attitude and practice level of positive correlation(p<.001).
      ․ The multiple eutered regression results related each variable to practice of dental health, the practice is significant affecting to oral health education, children's dental check-up opportunities, and the higher score attitude of dental health ca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entioned so far, the teacher's practices of administering the oral hygiene is deemed to be influenced by the existence of their experiences in the oral hygiene educations, and their attitudes on the subject. It is, therefore, just to provide an education program about the subject to the teachers on consistent base, in order to assist them to develop an appropriate attitude which would lead to better practic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2. 대상 및 방법 4
      • 1) 연구대상 4
      • 2) 연구도구 4
      • 3) 분석방법 6
      • 1. 서론 1
      • 2. 대상 및 방법 4
      • 1) 연구대상 4
      • 2) 연구도구 4
      • 3) 분석방법 6
      • 3. 성적 7
      • 4. 고찰 15
      • 5. 요약 및 결론 20
      • 6. 참고문헌 22
      • 7. 부록- 설문지 27
      • 8. 영문초록 3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