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에서의 민주시민교육의 발전 방향 모색 = A Groping for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9871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에서 민주시민교육은 체계적인 조직과 구조화된 교육 활동에 기반을 두지 못했으며, 정치적 상황에 따라 변화를 거듭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런 문제의식을 가지고 민주시민교육의 내용과 실태를 검토한 후 올바른 민주시민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본고에서 다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민주주의의 의미와 원리 그리고 민주적 생활양식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다음으로 시민과 시민성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둘째, 민주시민교육의 유래와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 것이다.다른 나라에서 민주시민교육을 어떻게 실시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다음으로 우리나라에서 해방 이후 민주시민교육이 어떻게 변화해왔는지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셋째, 민주시민을 육성하기 위해 민주시민교육이 필요한 이유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할 것이다. 끝으로 우리의 학교와 사회가 지향해야 할 민주시민교육의 바람직한 방안을 탐색해보도록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민주시민교육의 목표인 시민성 함양은 시민교육과 관련된 여러 내용, 활동, 장소, 자료, 기능, 시설, 사람 등과 같은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될 때, 보다 큰 시너지 효과가 생긴다는 사실이다.
      번역하기

      한국에서 민주시민교육은 체계적인 조직과 구조화된 교육 활동에 기반을 두지 못했으며, 정치적 상황에 따라 변화를 거듭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런 문제의식을 가지고 민주시민교육의 내용...

      한국에서 민주시민교육은 체계적인 조직과 구조화된 교육 활동에 기반을 두지 못했으며, 정치적 상황에 따라 변화를 거듭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런 문제의식을 가지고 민주시민교육의 내용과 실태를 검토한 후 올바른 민주시민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본고에서 다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민주주의의 의미와 원리 그리고 민주적 생활양식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다음으로 시민과 시민성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둘째, 민주시민교육의 유래와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 것이다.다른 나라에서 민주시민교육을 어떻게 실시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다음으로 우리나라에서 해방 이후 민주시민교육이 어떻게 변화해왔는지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셋째, 민주시민을 육성하기 위해 민주시민교육이 필요한 이유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할 것이다. 끝으로 우리의 학교와 사회가 지향해야 할 민주시민교육의 바람직한 방안을 탐색해보도록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민주시민교육의 목표인 시민성 함양은 시민교육과 관련된 여러 내용, 활동, 장소, 자료, 기능, 시설, 사람 등과 같은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될 때, 보다 큰 시너지 효과가 생긴다는 사실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Korea, d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had not not based on the systematic organization and the structured educational activities, repeated changes according to the political situation. This study is going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he prope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fter reviewing the content and statu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Contents covered in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we will look for the meanings of democracy and democratic principles and lifestyle. Next we will take a look at the meaning of citizens, citizenship and civil rights. Secondly, we will try to know about the origins and meaning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 will look for how to conduct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other countries. Next we will examine how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has come to be changed after the Liberation in our country. Finally, this study is going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he prope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at our school and society aim for. In conclusion, the goal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fostering democratic citizenship will be greater synergy when contents, activity, places, data, functions and facilities relating to civic education are organically combined with.
      번역하기

      In Korea, d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had not not based on the systematic organization and the structured educational activities, repeated changes according to the political situation. This study is going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he proper dem...

      In Korea, d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had not not based on the systematic organization and the structured educational activities, repeated changes according to the political situation. This study is going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he prope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fter reviewing the content and statu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Contents covered in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we will look for the meanings of democracy and democratic principles and lifestyle. Next we will take a look at the meaning of citizens, citizenship and civil rights. Secondly, we will try to know about the origins and meaning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 will look for how to conduct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other countries. Next we will examine how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has come to be changed after the Liberation in our country. Finally, this study is going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he prope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at our school and society aim for. In conclusion, the goal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fostering democratic citizenship will be greater synergy when contents, activity, places, data, functions and facilities relating to civic education are organically combined with.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휘각, "현대 민주정치의 이해" 인간사랑 2000

      2 손경애, "한국의 민주시민교육" 동문사 2010

      3 김민정외 공저, "한국민주시민 교육론" 엠-에드 2004

      4 심익섭, "한국민주시민 교육론" 엠애드 2004

      5 유재식, "통일 후 독일이 가장 신경 쓴 건 민주시민 만들기 위한 정치교육"

      6 홍득표, "체험 위주 시민교육이 민주사회 가는 길"

      7 정범모, "정치학 대사전" 박영사 1975

      8 김창남, "정치적 민주주의의 요건"

      9 "장훈 묻고 송호근 답하다"

      10 임승빈, "일본의 민주시민 교육 전개와 발전" (7) : 2002

      1 조휘각, "현대 민주정치의 이해" 인간사랑 2000

      2 손경애, "한국의 민주시민교육" 동문사 2010

      3 김민정외 공저, "한국민주시민 교육론" 엠-에드 2004

      4 심익섭, "한국민주시민 교육론" 엠애드 2004

      5 유재식, "통일 후 독일이 가장 신경 쓴 건 민주시민 만들기 위한 정치교육"

      6 홍득표, "체험 위주 시민교육이 민주사회 가는 길"

      7 정범모, "정치학 대사전" 박영사 1975

      8 김창남, "정치적 민주주의의 요건"

      9 "장훈 묻고 송호근 답하다"

      10 임승빈, "일본의 민주시민 교육 전개와 발전" (7) : 2002

      11 서울대학교 두뇌한국21 아시아태평양교육발전연구단 시민윤리교육연구팀, "아태지역 시민윤리교육의 성과 및 과제 연구 - 일본, 싱가포르를중심으로 -" 2001

      12 박효종, "시민, 누구이고 무엇을 하는 존재인가?" 2013

      13 임혁백, "세계화 시대의 민주주의" 나남출판 2000

      14 조윤제, "민주주의의 위기"

      15 최장집, "민주주의의 민주화" 도서출판 후마니타스 2006

      16 김욱, "민주주의 국가이론 과거 뿌리 현재 논쟁 미래 전망" 명인문화사 2014

      17 강원택, "민주시민교육의 정치학적 접근과 정치학 교육" 2011

      18 신봉섭, "민주시민교육의 전략과 과제" 도서출판오름 2007

      19 전득주, "민주시민교육의 이론과 실제" 엠에드 2006

      20 유석렬, "민주시민교육으로서 한국정치교육의 방향" 20 (20): 1986

      21 한국교육개발원, "민주시민교육" 한국교육개발원 1994

      22 이규영, "독일의 정치교육과 민주시민교육"

      23 송호근, "나는 시민인가?" 문학동네 2015

      2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국민윤리학" 박영사 1985

      25 정범모, "교육과 국가발전" 교육출판사 1973

      26 Pound, R. L., "The School in American Society" The MacMillan 1959

      27 Barker, E., "Reflections on Governmen" Oxford University Press 1942

      28 Dahl, R., "On Democracy" Yale University Press 1998

      29 Held, D., "Models of Democracy" Polity Press 1987

      30 Mayo, H. B., "Introduction to Democratic Theory" Oxford University Press 1960

      31 Greenstein, F. I.,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Sociol Science, Vol. 14" Macmillan and Free Press 1969

      32 Beyme, K., "Democracy," Marxism, Communism & Western Society Vol. 2" Herder & Herder 1972

      33 Easton, David, "Children in the Political System" Mcgraw-Hill. 196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89 1.393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