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초기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자기자비의 이중매개효과 = A Structural Analysis of Parenting Attitud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elf-compassion and Subjective Well-being of Early Adolesc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0813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자기자비의 역할을 규명하고, 어떤 경로로 그 관계를 매개...

      본 연구에서는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자기자비의 역할을 규명하고, 어떤 경로로 그 관계를 매개하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초등학교 5, 6학년 412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는 주관적 안녕감,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자기자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부모의 양육태도와 주관적 안녕감, 자기자비는 정적관계를 나타냈고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은 부적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는 직접적으로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쳤으며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기자비를 매개로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유의하였다. 이는 청소년기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 중 부모의 양육태도가 여전히 영향력이 있으며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자녀로 하여금 자신에 대한 수용적이고 친절한 태도를 발달시킴으로써 부정정서가 감소되고 안녕감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셋째, 부모의 양육태도는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통해 자기자비에 영향을 미쳤고 이것은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 이중매개 경로를 확인하였다. 이는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주관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해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자기자비에 대한 교육적 고려, 상담 및 지도 개입의 필요성을 나타낸다.
      부모는 자신의 양육태도와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을 상담을 통해 점검하고 자녀를 존중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학교는 청소년기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 학생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이해하여 다양한 의견과 결과가 수용되는 학교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 또한, 상담을 통해 부정적 사고에 개입하고, 자신에게 친절하게 대하도록 지도하며 자기자비를 높이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초기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변인 중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자기자비의 영향을 확인하였고 어떤 구조적 관계를 가지고 작동하는지 밝혀 학생 상담과 지도에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of early adolesc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412 5th and 6th 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of early adolesc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412 5th and 6th grader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were analyz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enting attitude was meaningful correlation with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elf-compassion and subjective well-being. Parental attitude, subjective well-being, and self-compassion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Second, parenting attitude had direct influence on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pathway that indirectly affect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self-compassion were also significant. But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This means that parenting attitudes are still influential among social factors affecting adolescence, and that parents'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reduce negative emotions and increase well-being by developing their children's receptive and friendly attitudes toward themselves.
      Third, parenting attitude influenced self-compassion through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identified a dual-mediated pathway that affects subjective well-being. This indicates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the need for educational consideration, counseling, and guidance intervention on self-compassion in order to increase subjective well-be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subjective well-being perceived by early adolescents.
      Parents should check their parenting attitudes and their impact on their children through counseling and make efforts to respect their children. Schools should create a school atmosphere in which various opinions and results are accepted by understanding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of students that can occur frequently in adolescenc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programs to intervene in negative thinking through counseling, guide them to be kind to them, and increase self-compas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the effects of parental parenting attitudes, negative evaluations, and self-compassion among the various variables affecting the subjective well-being of early adolescents, and provided evidence for student counseling and guidance. Finally, the limitations and the follow-up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국문초록 …………………………………………………………………………… i
      • 목 차 …………………………………………………………………………… ii
      • 표 목 차 …………………………………………………………………………… iii
      • 목차
      • 국문초록 …………………………………………………………………………… i
      • 목 차 …………………………………………………………………………… ii
      • 표 목 차 …………………………………………………………………………… iii
      • 그림목차 …………………………………………………………………………… iv
      • 1. 서론 …………………………………………………………………………… 1
      •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1.2. 연구 문제…………………………………………………………………… 7
      • 1.3. 연구 모형 …………………………………………………………………… 8
      • 2. 이론적 배경 ………………………………………………………………… 9
      • 2.1. 초기청소년기 ……………………………………………………………… 9
      • 2.2. 부모의 양육태도 ………………………………………………………… 10
      • 2.3.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 13
      • 2.4. 주관적 안녕감 ……………………………………………………………… 15
      • 2.5. 자기자비 …………………………………………………………………… 16
      • 2.6. 각 변인들 간의 관계 ………………………………………………………18
      • 2.6.1. 부모의 양육태도와 주관적 안녕감 ………………………………… 18
      • 2.6.2.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 19
      • 2.6.3.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자비 ……………………………………… 21
      • 2.6.4.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주관적 안녕감 ……………………… 22
      • 2.6.5. 자기자비와 주관적 안녕감 ……………………………………………23
      • 2.6.6.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자비 ………………………………… 24
      • 2.6.7.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자기자비,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 24
      • 3. 연구 방법 …………………………………………………………………… 27
      • 3.1. 연구 대상 …………………………………………………………………… 27
      • 3.2. 연구 절차 …………………………………………………………………… 28
      • 3.3. 측정 도구 …………………………………………………………………… 29
      • 3.3.1. 부모의 양육태도 척도 ………………………………………………… 29
      • 3.3.2.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 …………………………………… 30
      • 3.3.3. 주관적 안녕감 척도 …………………………………………………… 31
      • 3.3.4. 자기자비 척도 ………………………………………………………… 32
      • 3.4. 분석 방법 …………………………………………………………………… 33
      • 4. 연구 결과 ………………………………………………………………… 35
      • 4.1. 주요 변인들에 대한 기술통계치 …………………………………………… 36
      • 4.2.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 ……………………………………………… 38
      • 4.3. 측정모형의 검증 ……………………………………………………………… 39
      • 4.4. 구조모형의 검증 ……………………………………………………………… 41
      • 4.5. 수정모형의 검증 ……………………………………………………………… 43
      • 4.6. 최종모형의 매개효과 검증 ………………………………………………… 44
      • 5. 논의 및 결론 ……………………………………………………………… 47
      • 5.1. 결과에 대한 논의 ………………………………………………………… 47
      • 5.2.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 50
      • 참고문헌 ………………………………………………………………………… 52
      • 국내논저 ……………………………………………………………………………52
      • 외국논저 ………………………………………………………………………… 57
      • Abstract ……………………………………………………………………………… 62
      • 부록 ………………………………………………………………………………… 6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