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활사업의 취 · 창업 성과에 관한 연구 = 희망리본사업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225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13년부터 본 사업으로 시행되는 희망리본사업의 내실과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 현재까지의 성과 및 그와 관련된 제반 영향요인들을 실증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9년부터 2011년까지의 희망리본프로젝트 사업 참여자 관련 자료(중앙자활센터 DB)를 활용하여 사업성과 및 성과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체 취ㆍ창업률, 1차 성과 달성율, 2차 성과 달성율, 3차 성과 달성율 등의 사업성과는 시범사업 초기부터 상당히 높은 수준을 나타냈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성과는 증대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기존 자활사업의 성과와 비교했을 때 상당히 개선된 효과를 나타내고 있어, 희망리본사업의 성과 관련 유인기제가 사업 참여자의 경제적 자립 가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취ㆍ창업 성과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지역별 성과 차이가 확인되고 있어, 지역별 특성을 고려하여 보다 유연한 성과 기준을 제시하고 서비스의 내용을 다각화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또한 희망리본사업이 명확한 유인체계를 갖추고, 사회서비스와 밀착형 사례관리를 제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애인, 여성, 연장자, 저학력자 등 일부 인구집단의 성과가 상대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 차후 본 사업이 초점을 두어야 할 주요 정책대상이 누구인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성과 및 성과 결정요인 분석을 통해, 현재 시범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는 성과관리형 희망리본사업의 정책적 함의를 확인하고, 차후 본 사업의 내실을 기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013년부터 본 사업으로 시행되는 희망리본사업의 내실과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 현재까지의 성과 및 그와 관련된 제반 영향요인들을 실증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발...

      본 연구는 2013년부터 본 사업으로 시행되는 희망리본사업의 내실과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 현재까지의 성과 및 그와 관련된 제반 영향요인들을 실증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9년부터 2011년까지의 희망리본프로젝트 사업 참여자 관련 자료(중앙자활센터 DB)를 활용하여 사업성과 및 성과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체 취ㆍ창업률, 1차 성과 달성율, 2차 성과 달성율, 3차 성과 달성율 등의 사업성과는 시범사업 초기부터 상당히 높은 수준을 나타냈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성과는 증대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기존 자활사업의 성과와 비교했을 때 상당히 개선된 효과를 나타내고 있어, 희망리본사업의 성과 관련 유인기제가 사업 참여자의 경제적 자립 가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취ㆍ창업 성과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지역별 성과 차이가 확인되고 있어, 지역별 특성을 고려하여 보다 유연한 성과 기준을 제시하고 서비스의 내용을 다각화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또한 희망리본사업이 명확한 유인체계를 갖추고, 사회서비스와 밀착형 사례관리를 제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애인, 여성, 연장자, 저학력자 등 일부 인구집단의 성과가 상대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 차후 본 사업이 초점을 두어야 할 주요 정책대상이 누구인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성과 및 성과 결정요인 분석을 통해, 현재 시범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는 성과관리형 희망리본사업의 정책적 함의를 확인하고, 차후 본 사업의 내실을 기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ope Re-born projects initiated by policy measures aimed at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low self-sufficiency. Hope Reborn project has a high performance about employment rate, and the outcome higher than existing self-supporting. However, the problem is inherent in the performance contracts performance in a variety of impediments, for example, the possibility of strategic behavior of the implementing agencies (creaming effect), the basic livelihood security has non-incentive system will be improved. Of ways, such as flexible operating performance standards developed by means of employment due to the difficulty of profiling in order to prevent business performance trade-offs due to the strategic behavior of the implementing agencies of the project participants.
      번역하기

      Hope Re-born projects initiated by policy measures aimed at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low self-sufficiency. Hope Reborn project has a high performance about employment rate, and the outcome higher than existing self-supporting. However, the problem...

      Hope Re-born projects initiated by policy measures aimed at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low self-sufficiency. Hope Reborn project has a high performance about employment rate, and the outcome higher than existing self-supporting. However, the problem is inherent in the performance contracts performance in a variety of impediments, for example, the possibility of strategic behavior of the implementing agencies (creaming effect), the basic livelihood security has non-incentive system will be improved. Of ways, such as flexible operating performance standards developed by means of employment due to the difficulty of profiling in order to prevent business performance trade-offs due to the strategic behavior of the implementing agencies of the project participa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문제제기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분석결과
      • 요약
      • Ⅰ. 문제제기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분석결과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노욱, "희망리본프로젝트의 향후 발전방향" 2012

      2 노대명, "한국자활산업의 평가와 전망" 한국사회과학연구회 (53) : 62-99, 2002

      3 이형하, "한국 자활사업의 자활효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경제적, 사회적, 정서적 자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 : 217-244, 2004

      4 구인회, "탈빈곤 지원을 위한 공공부조 개편방향" 2010

      5 류장수, "취업성공패키지사업 참여대상자 유형별 취업지원 강화 방안" 고용노동부 2011

      6 류기락, "취업성공패키지-희망리본프로젝트 통합ㆍ조정을 위한 운영성과 평가 및 개선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경제ㆍ인문사회연구회 2012

      7 전병유, "취업성공패키지 지원사업 추진성과 분석" 고용노동부 2010

      8 박서춘, "제1차년도 성과관리형 자활시범사업의 성과 및 발전방향" 조세연구원 2010

      9 김혜원, "저소득층 취업패키지 지원사업 추진실태 및 효과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모색" 한국노동연구원 2009

      10 박노욱, "저소득층 자활지원 사회서비스 성과관리 외국사례분석" 한국조세연구원 2008

      1 박노욱, "희망리본프로젝트의 향후 발전방향" 2012

      2 노대명, "한국자활산업의 평가와 전망" 한국사회과학연구회 (53) : 62-99, 2002

      3 이형하, "한국 자활사업의 자활효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경제적, 사회적, 정서적 자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 : 217-244, 2004

      4 구인회, "탈빈곤 지원을 위한 공공부조 개편방향" 2010

      5 류장수, "취업성공패키지사업 참여대상자 유형별 취업지원 강화 방안" 고용노동부 2011

      6 류기락, "취업성공패키지-희망리본프로젝트 통합ㆍ조정을 위한 운영성과 평가 및 개선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경제ㆍ인문사회연구회 2012

      7 전병유, "취업성공패키지 지원사업 추진성과 분석" 고용노동부 2010

      8 박서춘, "제1차년도 성과관리형 자활시범사업의 성과 및 발전방향" 조세연구원 2010

      9 김혜원, "저소득층 취업패키지 지원사업 추진실태 및 효과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모색" 한국노동연구원 2009

      10 박노욱, "저소득층 자활지원 사회서비스 성과관리 외국사례분석" 한국조세연구원 2008

      11 이혜경, "자활지원사업의 현황과 문제점" 31 : 181-225, 2002

      12 노대명, "자활지원사업 활성화를 위한 고용창출 지원체계 구축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2

      13 노대명, "자활정책에 대한 평가 및 발전방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14 고경환, "자활사업의 평가 연구 - 정책설계와 정책효과 그리고 쟁점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15 보건복지가족부, "자활사업에 성과급 도입된다 - 경기침체 극복을 위한 「성과관리형 자활시범사업 실시」"

      16 신동면, "자활사업에 대한 평가와 발전방안" 한국행정학회 561-579, 2003

      17 백학영, "자활사업 참여자의 수급 지위와 노동시장 지위 변동"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3 (43): 143-178, 2012

      18 유태균, "자활사업 중도이탈집단과 참여지속집단의 특성 및 중도이탈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0) : 39-70, 2006

      19 백학영, "자활사업 성과관리에 대한 비판적 접근: 논리모델을 적용한 자활사업 성과평가 체계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1 (31): 3-35, 2011

      20 류만희, "자활 사업의 운영구조의 전략적 전환" 한국사회보장학회 24 (24): 117-138, 2008

      21 권혁창, "선진국 근로연계복지(Workfare)의 현황과 평가" 2007

      22 박노욱, "사회서비스의 민간위탁과 성과계약: 주요 쟁점과 정책적 시사점" 151 : 28-40, 2009

      23 박노욱, "사회복지서비스에의 성과계약 도입 효과와 정책과제: 성과관리형 자활시범 사업의 1차연도 경험을 중심으로" 170 : 24-49, 2010

      24 권승, "비취업대상 조건부 수급자의 수급권 탈피에 관한 연구 - 수급권 탈피의 결정요인과 자활사업의 단계적 발전전략 논리의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2) : 179-205, 2005

      25 우준희, "근로연계복지로서 한국 자활지원사업의 한계와 가능성" 대한정치학회 17 (17): 19-48, 2010

      26 구인회,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근로유인효과 개선방안: 자활사업을 중심으로" 21 (21): 1-29, 2005

      27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과거, 현재, 미래" 2010

      28 유태균, "공공부조 수급자의 자활사업 참여 이후 삶에 관한 탐색적 고찰"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9 (39): 85-108, 2012

      29 Wiseman, M., "Workfare and welfare policy" 9 (9): 1-8, 1986

      30 Jessop, B., "Towards a Schumpetarian workfare state? Preliminary remarks on post-Fordist political economy" 40 : 7-39, 1993

      31 Behn, Robert D., "Strategies for avoiding the pitfalls of performance contracting" 22 (22): 470-489, 1999

      32 Martin, Lawrence L., "Performance-Based Contracting For Human Services: Lessons For Public Procurement?" 2 (2): 55-71, 2006

      33 European Commission, "Joint report on social protection and social inclusion"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European Communities 2007

      34 MEEYOUNGLAMOTHE, "ISSUES OF CONTRACT IMPLEMENTATION AND MANAGEMENT:THE CASE OF PERFORMANCE CONTRACTING IN FLORIDA HUMAN SERVICES" 한국행정학회 8 (8): 59-75, 2003

      35 Halvorsen, R., "Activation in Scandinavian welfare policy" 6 (6): 461-483, 2006

      36 GB. Department of Social Security, "A new contract for welfare: the gateway to work" Stationery Office 1998

      37 이정근, "2차년도 성과관리형 자활시범사업의 성과 및 발전방향" 한국조세연구원 2011

      38 보건복지부, "2012년 업무계획 - 주요정책 추진방향" 2011

      39 노대명, "2004년 저소득층 자활사업 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40 노대명, "2002년 저소득층 자활사업 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5 1.33 1.68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