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연어 중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또 가장 기본적인 연어로 인식되고 있는 것은 목술관계 연어와 주술관계 연어이다. 목술관계 연어는 중국어로 옮길 때 연어핵과 연어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어 연어 중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또 가장 기본적인 연어로 인식되고 있는 것은 목술관계 연어와 주술관계 연어이다. 목술관계 연어는 중국어로 옮길 때 연어핵과 연어변...
한국어 연어 중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또 가장 기본적인 연어로 인식되고 있는 것은 목술관계 연어와 주술관계 연어이다. 목술관계 연어는 중국어로 옮길 때 연어핵과 연어변의 관계가 대부분 유지가 되지만 주술관계 연어는 그렇지 않다.
따라서 중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연어를 학습하는 데 목술관계 연어보다 주술관계 연어에 대한 이해 또는 습득이 더 어려울 수 있다. 본고는 심리 변화를 나타내는 주술관계 연어, 즉 연어핵은 생각 또는 감정의 의미를 나타내는 추상 명사이고 연어변은 발생의 의미를 지닌 동사인 경우를 연구 대상으로 삼고 연어핵과 연어변 사이에 어떠한선택 제약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런 작은 시도를 통해 한국어 연어 교육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Korean collocations, verb-object collocations and subject-predicate collocations account for the largest proportion.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verb-object collocations into Chine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e and the edge of collocation ...
In Korean collocations, verb-object collocations and subject-predicate collocations account for the largest proportion.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verb-object collocations into Chine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e and the edge of collocation is basically unchanged, while subject-predicate collocations are not. Therefore, Chinese Korean learners have mor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and learning subject-predicate collocations. The research object of this thesis is subject-predicate collocation which expresses psychological changes. The core of the collocations are abstract nouns which express thoughts or feelings. The edge of the collocations are verbs indicating the occurrence.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selective constraints between the core and the edge of the collocations. I hope I can make a small contribution to the teaching of Korean collocation through this attempt.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진희, "連語 制約에 대하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3 (33): 83-106, 2005
2 임근석, "현대 국어의 어휘적 연어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3 임홍빈, "한국어 연어의 개념과 그 통사·의미적 성격" 국어학회 39 : 279-311, 2002
4 석아남, "한국어 연어와 중국어에서의 대응 양상 연구―주술⋅목술관계 연어를 중심으로" 연변대학 2013
5 임근석, "한국어 연어 연구의 전개와 쟁점에 대하여" 국어학회 (61) : 359-387, 2011
6 임근석, "한국어 연어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7 김기태, "한국어 어휘적 연어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4
8 김하수,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 연어 사전"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9 한영균, "학습용 기본명사 연어 빈도 사전" 한국문화사 2016
1 박진희, "連語 制約에 대하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3 (33): 83-106, 2005
2 임근석, "현대 국어의 어휘적 연어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3 임홍빈, "한국어 연어의 개념과 그 통사·의미적 성격" 국어학회 39 : 279-311, 2002
4 석아남, "한국어 연어와 중국어에서의 대응 양상 연구―주술⋅목술관계 연어를 중심으로" 연변대학 2013
5 임근석, "한국어 연어 연구의 전개와 쟁점에 대하여" 국어학회 (61) : 359-387, 2011
6 임근석, "한국어 연어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7 김기태, "한국어 어휘적 연어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4
8 김하수,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 연어 사전"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9 한영균, "학습용 기본명사 연어 빈도 사전" 한국문화사 2016
10 유문명,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어 구성 대조 연구" 연세대 2017
11 范琦慧, "중국어와의 대조를 통해 본 한국어 연어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12 김진해, "연어의 의미관계에 대하여" 한국어의미학회 (4) : 239-279, 1999
13 김진해, "연어의 계열관계 연구" 국어학회 (35) : 199-222, 2000
14 김진해, "연어 연구의 의미론적 함의-목록과 경향 사이에서-" 국어학회 (68) : 189-223, 2013
15 김진해, "연어 연구" 한국문화사 2000
16 김진해, "연어 관계 제자리 찾기: 국내의 이론적 논의에 대한 재검토를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37 : 229-260, 2007
17 이비비, "어휘함수를 이용한 한-중 연어 대조 연구―주술관계 연어를 중심으로―" 국민대 2017
18 이동혁, "국어 연어관계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19 박진호, "관용표현의 통사론과 의미론" 국어학회 41 : 361-379, 2003
20 강현화, "[체언+용언] 꼴의 연어 구성에 대한 연구" 연세대 언어정보개발원 (8) : 191-224, 1997
21 홍재성, "21세기 세종계획 전자사전 개발 연구보고서" 문화관광부⋅국립국어원 2004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3-17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Cultural Studies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6-1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Institute of Korean Culture ->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10-18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민족문화연구 29호 -> 민족문화연구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7 | 0.77 | 0.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1 | 0.7 | 1.385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