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 물류산업의 특화도와 지역경제 부가가치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625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 물류산업은 산업의 발전과 함께 성장하였으며, 물류산업의 발전은 기업비용을 절감하고, 물가 상승을 억제하여 지역민 삶의 질을 향상시켰다. 이러한 물류산업은 국가와 지역 경...

      우리나라 물류산업은 산업의 발전과 함께 성장하였으며, 물류산업의 발전은 기업비용을 절감하고, 물가 상승을 억제하여 지역민 삶의 질을 향상시켰다. 이러한 물류산업은 국가와 지역 경제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정부에서는 물류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적인 노력을 이어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물류산업의 경쟁력을 분석하고, 물류산업의 지역경제 부가가치 기여도를 분석하여 지역 물류산업 육성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입지계수를 분석하여 지역별 육상운송, 수상운송, 항공운송, 창고 및 운송관련 서비스업의 특화도를 분석하고, 지역산업연관표에서 부가가치율, 지역내총생산(GRDP) 기여도, 부가가치유발계수, 부가가치 순이입을 분석하여 지역 물류산업이 지역경제 부가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물류산업은 산업별로 일부 지역에서 부가가치 순이입이 있고,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역 물류산업의 입지계수와 부가가치 기여도 사이에는 일정한 관계가 존재하지는 않았다. 우리나라 물류산업은 산업별로 서울, 인천, 경기, 부산, 제주 등을 중심으로 지역에 따라 다른 산업이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물류 인프라가 잘 발전된 지역과 육성이 필요한 지역을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물류산업이 발전한 지역은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정책이 필요하며, 육성이 미비한 지역은 지역 수요에 맞는 인력과 자본을 투입하여 물류산업 육성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Korean logistics industry has grown with the development of domestic industries. The industry plays an important role in national and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the government has continued policy efforts to foster the industry. This study anal...

      The Korean logistics industry has grown with the development of domestic industries. The industry plays an important role in national and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the government has continued policy efforts to foster the industry. This study analyzes the competitiveness of the regional logistics industry and its contribution to the regional economy. Location coefficients are used to analyze local specialization in each logistics industry. The value-added rate, GDP contribution, value-added induction coefficient, and net value-added income of regional logistics industries are analyzed using a regional input-output table. As a result, the logistics industry is found to have net value-added income and competitiveness in some regions, and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tion coefficient and the value-added contribution of the regional logistics industry. Seoul, Incheon, Gyeonggi, Busan, and Jeju have the competitiveness of each logistics industry. In addition, we identified the regions where the logistics infrastructure is well developed and those in which it needs to be supported. The regions where the logistics industry has developed require policies for making high value-added by logistics activity, and regions with insufficient growth need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 logistics industry by investing human resources and capital that can meet the local deman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 Ⅲ. 이론적 배경
      • Ⅳ. 분석결과
      • Abstract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 Ⅲ. 이론적 배경
      • Ⅳ. 분석결과
      • Ⅴ. 결론
      • 참고문헌
      • 국문요약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