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성권, "태조 왕건의 봉업사 중창과 능달 - 봉업사지 석불입상과 관련하여 -" 고려사학회 (51) : 167-197, 2013
2 이진현, "안성 봉업사지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 배치구성요소와 배치변화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4
3 강명호, "안성 봉업사지 출토 고려청자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2
4 김병희, "안성 봉업사지 출토 고려전기 명문기와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1
5 한양대학교, "봉업사지 종합정비 학술용역보고서" 2007
6 정성권, "고려전기 석불입상 연구: 경기·충청 지역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2
7 조주연, "고려전기 백자의 특징과 성격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8 오호석, "고려시대 죽주지역 석조미술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5
9 홍영의, "고려시대 명문(銘文)기와의 발굴 성과와 과제" 한국중세사학회 (41) : 9-81, 2015
10 김성환, "고려시대 太祖의 眞殿과 奉業寺" 한국고대학회 (57) : 55-77, 2018
1 정성권, "태조 왕건의 봉업사 중창과 능달 - 봉업사지 석불입상과 관련하여 -" 고려사학회 (51) : 167-197, 2013
2 이진현, "안성 봉업사지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 배치구성요소와 배치변화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4
3 강명호, "안성 봉업사지 출토 고려청자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2
4 김병희, "안성 봉업사지 출토 고려전기 명문기와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1
5 한양대학교, "봉업사지 종합정비 학술용역보고서" 2007
6 정성권, "고려전기 석불입상 연구: 경기·충청 지역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2
7 조주연, "고려전기 백자의 특징과 성격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8 오호석, "고려시대 죽주지역 석조미술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5
9 홍영의, "고려시대 명문(銘文)기와의 발굴 성과와 과제" 한국중세사학회 (41) : 9-81, 2015
10 김성환, "고려시대 太祖의 眞殿과 奉業寺" 한국고대학회 (57) : 55-77, 2018
11 봉업사발굴20주년 기념위원회, "고려 태조 진전사원 봉업사의 역사적 가치와 활용방안" 2017
12 오호석, "고려 초기 竹州지역의 석탑과 건립배경" 한국고대학회 (31) : 259-287, 2009
13 한혜선, "경기지역 출토 고려시대 질그릇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2
14 경기도박물관, "高麗王室寺刹奉業寺"
15 김정주, "高麗時代銘文平기와의 樣相과 地域性"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5
16 충주대학교, "高麗太祖眞殿寺院奉業寺 한성 봉업사지 사적 지정 보고서" 2009
17 "高麗史"
18 金成煥, "竹州의 豪族과 奉業寺 豪佛鄭永鎬敎授停年退任紀念論叢" 韓國文化史學會 1999
19 "東國與地勝覽"
20 경기도박물관, "奉業寺"
21 경기도박물관, "京畿道佛蹟資料集"
22 "三國史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