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광량에 따른 상록활엽수 3수종의 내음성 평가 = KFS-P93 : Shade Tolerance Assessment with Light Intensity of Broad-Leaved Evergreen three spec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136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수목의 종류에 따라 광요구도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를 실내에 도입하기 위해서는 적정광량을 구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내재배 관상수종으로 가능성이 있는 3수...

      수목의 종류에 따라 광요구도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를 실내에 도입하기 위해서는 적정광량을 구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내재배 관상수종으로 가능성이 있는 3수종을 대상으로 광량에 따른 형태적·생리적 반응을 조사하여 내음성을 평가하였다. 죽절초와 자금우의 엽면적 변화는 차광률 50%까지 엽면적이 증가하였다. 백량금은 차광률 95%에서 엽면적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광량의 감소에 따른 3수종의 엽색은 L*a*b 값이 낮아지며 진한 녹색으로 변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3수종 모두 광량의 투과정도에 따라 엽색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광합성 능력은 죽절초, 자금우는 차광률 50%, 백량금은 95%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H/D율과 T/R율은 전광 처리구에 비해 차광 처리구에서 높게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 죽절초, 백량금, 자금우3수종은 95%차광의 저광도에서도 적극적인 적응반응을 보이며 내음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록활엽수 3종의 건전한 관상수로 생육을 위해서는 차광률 50%까지의 광량이 적정할 것이라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very different type of tree would need different light intensity, and in the light of that, we need to look deep into optimal light intensity in order to ornamental value of plants growing indoors. Sarcandra glabra (Thunb.) Nakai, Aridisia japonica (...

      Every different type of tree would need different light intensity, and in the light of that, we need to look deep into optimal light intensity in order to ornamental value of plants growing indoors. Sarcandra glabra (Thunb.) Nakai, Aridisia japonica (Thunb.) Blume and Ardisia crenata Sims, which have been considered to have potentials to grow as indoor-cultivated ornamental trees, were assessed on the shade tolerance with shading treatment by using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reactions. The total leaf area(cm2) of S. glabra and A. japonica were observed to increasing by 50%. shading. A. crenata showed highest at 95% shading. A decrease in light intensity would lower the L*a*b value and turn a leaf color into dark green. The leaf color of all the three trees was determined to have a sensitive reaction to light intensity. The photosynthetic capacity of S. glabra, A. japonica and A. crenata respectively was greatest at 50% shading or 95% shading. H/D ratio and T/R ratio turned out to be higher with shading treatment than they are with full shading. As a result, S. glabrai, A. crenata and A. japonica, would take an active reaction even to low light intensity of 95% shading as they are confirmed for shade tolerance. However, 50% shading was suitable for planting vigorous ornamental tree of the broad-leaved evergreen three speci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