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평] 망명상황에 대한 브레히트의 미학적 대응  :  시 「왜 내 이름이 불리어야 한단 말인가」 = Brecht's Aesthetic Reaction to Exile -An Analysis of the Poem "Warum soll mein Name genannt werd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557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독일 현대시인 브레히트 Bertolt Brecht(1898-1956)의 삶과 문학은 그가 살았던 20세기의 역사와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다. 그는 문학을 통해 역사의 흐름에 간여하려 했기 때문에 그 흐름이 변하면 자신의 문학 역시 변모시켰다. 브레히트의 문학에 가장 큰 변화를 요구한 것은 무엇보다도 망명이라는 특수한 상황이었다. 16년간(1933-1949)의 망명생활은 동시에 히틀러와의 투쟁의 시간이었으며, 그의 문학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독일인을 히틀러의 압제로부터 해방시키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실천적인 목표를 위해 그는 자신의 문학, 특히 전파력이 강한 시에서 많은 변화를 시도한다. 내용적으로는 시를 주관적인 정서의 문학이란 좁은 틀에서 해방시켜 사회적·실천적인 소통의 수단으로 기능 전환시키려 하였으며, 형식적으로도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사실적인 운율형식인 '불규칙 리듬을 갖는 무운시'를 개발하였다. 본 논문은 망명이라는 외적 상황에 대응하는 브레히트의 미학적 변모를 연구하기 위해 1936년에 쓰여진 시 「왜 내 이름이 불리어야 한단 말인가」를 분석한다. 이 시에서 시인은 특히 문학의 영속성을 화두로 삼아 자신의 변화를 과거와 현재로 구분해 제시한다. 과거의 그는 비록 문학의 영속성에 대한 부르주아적 관념을 받아들이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인류를 위해 압제와 투쟁하는 실천적인 시들을 써왔기 때문에 독자들이 자신의 이름을 잊지 않으리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제 망명이 심화되고, 히틀러의 만행이 전 유럽을 삼키려는 시점에서 브레히트는 자신의 명성에 대한 모든 욕심을 버린다. 그리고 히틀러와의 싸움에서 자신의 시가 사용될 수 있다면, 문학의 영속성이란 개념도 포기할 수 있는 것이며, 자신의 이름도 잊혀질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한다. 망명 시작 3년 후에 쓰여진 이 시는 그 후 13년간이나 지속된 브레히트의 망명문학의 미학적 태도를 예견케 하는 작가의 선언적 텍스트이다.
      번역하기

      독일 현대시인 브레히트 Bertolt Brecht(1898-1956)의 삶과 문학은 그가 살았던 20세기의 역사와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다. 그는 문학을 통해 역사의 흐름에 간여하려 했기 때문에 그 흐름이 변하면 ...

      독일 현대시인 브레히트 Bertolt Brecht(1898-1956)의 삶과 문학은 그가 살았던 20세기의 역사와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다. 그는 문학을 통해 역사의 흐름에 간여하려 했기 때문에 그 흐름이 변하면 자신의 문학 역시 변모시켰다. 브레히트의 문학에 가장 큰 변화를 요구한 것은 무엇보다도 망명이라는 특수한 상황이었다. 16년간(1933-1949)의 망명생활은 동시에 히틀러와의 투쟁의 시간이었으며, 그의 문학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독일인을 히틀러의 압제로부터 해방시키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실천적인 목표를 위해 그는 자신의 문학, 특히 전파력이 강한 시에서 많은 변화를 시도한다. 내용적으로는 시를 주관적인 정서의 문학이란 좁은 틀에서 해방시켜 사회적·실천적인 소통의 수단으로 기능 전환시키려 하였으며, 형식적으로도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사실적인 운율형식인 '불규칙 리듬을 갖는 무운시'를 개발하였다. 본 논문은 망명이라는 외적 상황에 대응하는 브레히트의 미학적 변모를 연구하기 위해 1936년에 쓰여진 시 「왜 내 이름이 불리어야 한단 말인가」를 분석한다. 이 시에서 시인은 특히 문학의 영속성을 화두로 삼아 자신의 변화를 과거와 현재로 구분해 제시한다. 과거의 그는 비록 문학의 영속성에 대한 부르주아적 관념을 받아들이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인류를 위해 압제와 투쟁하는 실천적인 시들을 써왔기 때문에 독자들이 자신의 이름을 잊지 않으리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제 망명이 심화되고, 히틀러의 만행이 전 유럽을 삼키려는 시점에서 브레히트는 자신의 명성에 대한 모든 욕심을 버린다. 그리고 히틀러와의 싸움에서 자신의 시가 사용될 수 있다면, 문학의 영속성이란 개념도 포기할 수 있는 것이며, 자신의 이름도 잊혀질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한다. 망명 시작 3년 후에 쓰여진 이 시는 그 후 13년간이나 지속된 브레히트의 망명문학의 미학적 태도를 예견케 하는 작가의 선언적 텍스트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life and literature of the poet Bertold Brecht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history of the 20th century. Brecht wanted to intervene in history with literature. Therefore, his works reflect the socio-historical change and upheaval he lived through. Forced into exile by the Nazis, Brecht turned the turbulent crisis in life into a radical turning point in his literary career. The long sixteen year exile period for him was the time of the militant fight against Hitler, and, as he defines, "the bad time for lyric poems!" He nevertheless kept working on his literature and literary experimentations, because the goal of his literature was the liberation of the German people from Hitler.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he came up with a different way of composing his works, particularly his poems, which had broad and comprehensive social contents and, for that reason, exerte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general readership. Intending to liberate his poems from a private, enclosed space of personal affects, Brecht made them function politically and practically as an active means of communication. He also developed a type of poetry with a more practical, irregular rhythm with no constraints of any rhyme scheme. With a view to examining the aesthetic changes caused by Bertold Brecht's exile, this essay analyses the poem: "Warum soll mein Name genannt werden?" (Why should my name be called?). By bringing up for discussion the topic of the eternity of literature, Brecht in this poem compares the present and the past in terms of his changed literary views or beliefs. Even though he did not embrace the bourgeoisie concept of the eternity of literature, Brecht in the past believed that his name would not be forgotten, for he had consistently written politically active, practical poems fighting against social oppression. After the turbulent historical upheaval, however, he now rejects the civil eternity value (Ewigkeitswert) of poetry and replaced it by the use value (Gebauchtswert) of poetry. His poetry is to be used in the fight against any type of oppression of humanity and can then to be "forgotten." At a critical point where Hitler is about to jeopardize and destroy the entire Europe, Brecht in his exiled condition no longer has any personal ambition for his literary reputation. Therefore, he asks, "Why should my name be called?" Written by Brecht three years after the beginning of his exile, this poem, like a literary manifesto, sums up Brecht's changed view and principle on art. The poem, thus, can be seen as an exemplary work representing his exile literature and the aesthetic attitude he sustained for his exile years.
      번역하기

      The life and literature of the poet Bertold Brecht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history of the 20th century. Brecht wanted to intervene in history with literature. Therefore, his works reflect the socio-historical change and upheaval he lived through....

      The life and literature of the poet Bertold Brecht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history of the 20th century. Brecht wanted to intervene in history with literature. Therefore, his works reflect the socio-historical change and upheaval he lived through. Forced into exile by the Nazis, Brecht turned the turbulent crisis in life into a radical turning point in his literary career. The long sixteen year exile period for him was the time of the militant fight against Hitler, and, as he defines, "the bad time for lyric poems!" He nevertheless kept working on his literature and literary experimentations, because the goal of his literature was the liberation of the German people from Hitler.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he came up with a different way of composing his works, particularly his poems, which had broad and comprehensive social contents and, for that reason, exerte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general readership. Intending to liberate his poems from a private, enclosed space of personal affects, Brecht made them function politically and practically as an active means of communication. He also developed a type of poetry with a more practical, irregular rhythm with no constraints of any rhyme scheme. With a view to examining the aesthetic changes caused by Bertold Brecht's exile, this essay analyses the poem: "Warum soll mein Name genannt werden?" (Why should my name be called?). By bringing up for discussion the topic of the eternity of literature, Brecht in this poem compares the present and the past in terms of his changed literary views or beliefs. Even though he did not embrace the bourgeoisie concept of the eternity of literature, Brecht in the past believed that his name would not be forgotten, for he had consistently written politically active, practical poems fighting against social oppression. After the turbulent historical upheaval, however, he now rejects the civil eternity value (Ewigkeitswert) of poetry and replaced it by the use value (Gebauchtswert) of poetry. His poetry is to be used in the fight against any type of oppression of humanity and can then to be "forgotten." At a critical point where Hitler is about to jeopardize and destroy the entire Europe, Brecht in his exiled condition no longer has any personal ambition for his literary reputation. Therefore, he asks, "Why should my name be called?" Written by Brecht three years after the beginning of his exile, this poem, like a literary manifesto, sums up Brecht's changed view and principle on art. The poem, thus, can be seen as an exemplary work representing his exile literature and the aesthetic attitude he sustained for his exile yea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생성사와 텍스트
      • 3. 망명시의 미학적 특징
      • 4. 「왜 내 이름이 불리어야 한단 말인가?」
      • [국문초록]
      • 1. 서론
      • 2. 생성사와 텍스트
      • 3. 망명시의 미학적 특징
      • 4. 「왜 내 이름이 불리어야 한단 말인가?」
      • 5. 문학의 영속성에 대한 변증법적 이해
      • 6. 결론
      • 참고 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