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 단독가구의 사회자본이 인지적·기능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 거주환경의 조절효과 - =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Cognitive and Functional Health in Elderly Single Households - Moderating Effect of Living Environment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922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and living environment on the cognitive and functional health of elderly single households. This study used secondary data collected in June 2021. That data included elderly single household members living across the country, and a total of 557 elderly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level of social capital affected the cognitive and functional health of elderly single households. The age-friendly living environment had a direct effect on the cognitive health level of elderly single households, but was not directly related to functional health. Social capital and residential environment were found to have an interactive effect on cognitive and functional health in elderly single househol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is a need to focus policy attention on an age-friendly environment and ways to form social capital.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and living environment on the cognitive and functional health of elderly single households. This study used secondary data collected in June 2021. That data included elderly single household members li...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and living environment on the cognitive and functional health of elderly single households. This study used secondary data collected in June 2021. That data included elderly single household members living across the country, and a total of 557 elderly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level of social capital affected the cognitive and functional health of elderly single households. The age-friendly living environment had a direct effect on the cognitive health level of elderly single households, but was not directly related to functional health. Social capital and residential environment were found to have an interactive effect on cognitive and functional health in elderly single househol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is a need to focus policy attention on an age-friendly environment and ways to form social capita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창민, "한국복지패널로 본 한국 성인의 건강궤적과 예측요인: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집단 내, 집단 간 불평등 정도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6 (36): 440-472, 2016

      2 김봉정, "한국 노인의 인지기능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지역사회환경 요인" 한국웰니스학회 17 (17): 69-77, 2022

      3 김욱진 ; 김태연, "지역의 물리적․사회적 환경과 개인의 건강에 관한 연구 - 지역환경에 대한 주관적 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46) : 23-47, 2013

      4 이성은, "지역사회 환경인식이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10 (10): 385-393, 2021

      5 김형용, "지역사회 건강불평등에 대한 고찰 - 사회자본 맥락효과에 대한 해석" 한국사회학회 44 (44): 59-92, 2010

      6 김아름, "주민참여형 주거지 재생사업과 고령거주자의 근린활동 및 사회적 관계망의 영향관계연구"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15

      7 최현수 ; 류연규, "우리나라의 노인빈곤 동향 및 빈곤구성에 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3 (23): 143-160, 2003

      8 임재영 ; 이태진 ; 배상수 ; 이기홍 ; 강경화 ; 황연희, "사회자본이 저소득층의 건강생활실천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정책학회 16 (16): 131-180, 2010

      9 손용진, "사회자본이 도시와 농어촌 노인의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인자녀 관계망 및 사회적 관계망을 중심으로"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12 (12): 311-339, 2010

      10 이민홍 ; 고정은, "사회자본이 노인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7 (17): 85-110, 2015

      1 유창민, "한국복지패널로 본 한국 성인의 건강궤적과 예측요인: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집단 내, 집단 간 불평등 정도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6 (36): 440-472, 2016

      2 김봉정, "한국 노인의 인지기능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지역사회환경 요인" 한국웰니스학회 17 (17): 69-77, 2022

      3 김욱진 ; 김태연, "지역의 물리적․사회적 환경과 개인의 건강에 관한 연구 - 지역환경에 대한 주관적 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46) : 23-47, 2013

      4 이성은, "지역사회 환경인식이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10 (10): 385-393, 2021

      5 김형용, "지역사회 건강불평등에 대한 고찰 - 사회자본 맥락효과에 대한 해석" 한국사회학회 44 (44): 59-92, 2010

      6 김아름, "주민참여형 주거지 재생사업과 고령거주자의 근린활동 및 사회적 관계망의 영향관계연구"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15

      7 최현수 ; 류연규, "우리나라의 노인빈곤 동향 및 빈곤구성에 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3 (23): 143-160, 2003

      8 임재영 ; 이태진 ; 배상수 ; 이기홍 ; 강경화 ; 황연희, "사회자본이 저소득층의 건강생활실천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정책학회 16 (16): 131-180, 2010

      9 손용진, "사회자본이 도시와 농어촌 노인의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인자녀 관계망 및 사회적 관계망을 중심으로"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12 (12): 311-339, 2010

      10 이민홍 ; 고정은, "사회자본이 노인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7 (17): 85-110, 2015

      11 김진현, "사회자본과 건강행태가노년기 주관적 건강상태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저소득가구 노인과 일반가구 노인의주관적 건강상태 궤적에 대한 비교" 한국노인복지학회 71 (71): 9-32, 2016

      12 문정화 ; 강민아, "독거노인의 미충족 의료와 영향요인: 취약계층 행동모델 적용"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6 (36): 480-510, 2016

      13 정은희 ; 송나경 ; 채철균 ; 문하늬, "도시의 물리적 환경이 중고령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본과 통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9 (49): 181-209, 2018

      14 강월숙 ; 문재우 ; 박재산, "노인학대, 자아존중감, 일상생활수행능력(ADL) 및 정신사회적 요인과 노인 우울 간의 관련성" 한국보건사회학회 (29) : 153-183, 2011

      15 김재희 ; 김희연, "노인의 지역환경에 대한 인식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 노인가구유형별 비교를 중심으로"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2 (22): 423-452, 2020

      16 최미영 ; 곽현근 ; 박현식, "노인의 주관적 삶의 질에미치는 지역사회 사회자본의 영향: 노인 우울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66) : 307-328, 2014

      17 이홍직, "노인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자본 특성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5 (25): 25-42, 2009

      18 정경희, "노인의 삶의 질 지수 개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19 김지희 ; 박종, "노인의 사회적 자본이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중심으로 -" 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46 (46): 280-294, 2021

      20 김동배 ; 유병선 ; 신수민, "노년기 주거빈곤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서비스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회 32 (32): 1041-1061, 2012

      21 정현 ; 전희정, "근린환경과 지역주민의 신체활동이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 신체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20 (20): 91-110, 2019

      22 강효민 ; 최석환 ; 손일락, "고령친화환경과 사회참여활동 및 주관적 건강의 구조적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81) : 323-332, 2020

      23 김수영 ; 진재문 ; 문경주, "고령친화적 지역사회 삶의 조건이 노인의 경제활동 참여의향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31 (31): 1-24, 2015

      24 정경희, "고령친화도시 구축을 위한 국제적 흐름: 배경과 의미" 10 : 102-112, 2010

      25 백옥미, "고령 독거노인의 자기방임 경로 - 사회적 지지와 우울의 경로를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33 (33): 89-106, 2019

      26 정현정 ; 손태용, "가족동거노인과 독거노인의 건강 상태 및 건강서비스 요구도 비교연구" 보건의료산업학회 14 (14): 181-194, 2020

      27 Putnam, R., "Tuning in, tuning out : The strange disappearance of social capital in America" 28 (28): 664-683, 1995

      28 Stolle, D., "Trusting strangers-the concept of generalized trust in perspective" 31 (31): 397-412, 2002

      29 Kahana, E., "Theory and development in environment and aging" The Gerontological Society 1975

      30 Putnam, R., "The Prosperous Community : Social Capital and Public Life" 4 (4): 35-42, 1993

      31 Mellor, J., "State social capital and individual health status, Journal of Health Politics" 30 (30): 1101-1130, 2005

      32 Cohen, S., "Social ties and susceptibility to the common cold" 277 : 1940-1944, 1997

      33 Barr, F., "Social capital-A potential tool for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geing individuals and their social environment" 31 : 203-216, 2006

      34 Mohseni M, "Social capital, trust in the health-care system and selfrated health: the role of access to health care in a population-based study" 64 (64): 1373-1383, 2007

      35 Murayama, H., "Social capital and health : A review of prospective multilevel studies" 22 (22): 179-187, 2012

      36 Cornwell, E., "Neighborhoods and health in later life : The interaction of Biology and community" 30 (30): 323-348, 2010

      37 Glass, T., "Neighborhoods and Health"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38 Wu, Y. T., "Neighborhood environment an d dementia in older people from high-, middle- and low-income countries: Results from two population- based cohort studies" 20 : 1330-, 2020

      39 Wu, Y., "Medical Research Council Cognitive Function and Ageing Study, Community environment,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in later life : results from the cognitive function and ageing study" 44 : 1005-1011, 2015

      40 Lofors J., "Low-linking social capital as a predictor of mental disorders : a cohort study of 4. 5 Million Swedens" 64 : 21-34, 2007

      41 통계청, "KOSIS 국가통계포털"

      42 Fratiglioni. L., "Influence of social network on occurrence of dementia : a community-based longitudinal study" 355 (355): 1315-1319, 2000

      43 Mithen, J., "Inequalities in social capital and health between people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126 : 26-35, 2015

      44 Portegijs, E., "Identification of Older People at Risk of ADL Disability Using the Life-Space Assessment : A Longitudinal Cohort Study" 17 (17): 410-414, 2016

      45 Motohiro, A.,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cognitive function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 a longitudinal study" 18 (18): 1-9, 2021

      46 Cassarino, M., "Environment as ‘brain training’ : a review of geographical and physical environmental influences on cognitive ageing" 23 : 167-182, 2015

      47 Poortinga, W., "Community resilience and health : The role of bonding, bridging, and linking aspects of social capital" 18 (18): 286-295, 2012

      48 McCormack, G., "An update of recent evide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ive and selfreport measure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physical activity behaviours" 7 (7): 81-92,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