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o, Za Yong(趙子庸, 1926-2000) is a Minhwa(Korean folk paintings) activist who devoted his entire life to establishing Korean identity through Minhwa. He discovered humor, pleasure, and ideals of liberty and equality from the nature and thoughts of...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795591
경주 : 慶州大學校, 2015
2015
한국어
654.35 판사항(6)
759.9519 판사항(23)
경상북도
iv, 292 p. : 천연색삽화 ; 26 cm
권말부록: '조자용 연보' 등
참고문헌: p. 204-21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Zo, Za Yong(趙子庸, 1926-2000) is a Minhwa(Korean folk paintings) activist who devoted his entire life to establishing Korean identity through Minhwa. He discovered humor, pleasure, and ideals of liberty and equality from the nature and thoughts of...
Zo, Za Yong(趙子庸, 1926-2000) is a Minhwa(Korean folk paintings) activist who
devoted his entire life to establishing Korean identity through Minhwa. He discovered
humor, pleasure, and ideals of liberty and equality from the nature and thoughts of
Koreans and prepared grounds to support the Korean Cultural Arts Movement. Having
realized that Minhwa is a beautiful genre of paintings that can impress the world even
though it refers to a type of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drawn with the very Korean
sensitivity, he collected and studied Minhwa in those days when Korea was culturally
backward, revealed the originality, and led not only the popularization but globalization
of the Korean paintings. This can be seen as a step forward with a hope of creatively
developing the Korean paintings. His Minhwa Movement was connected to the Folk
Art Movement for the Korean public with aspirations for liberty and equality, and
finally drove them to take part in the Folk Crafts Movement globally.
목차 (Table of Contents)
1 정승모, 홍석모, "번역", 『동국세시기』풀빛, 2009
2 민학회, "『民學』", 제1집, 에밀레미술관, 1972
3 조자용, "『民學』", 2권, 「韓畵金剛山圖」, 에밀레박물관, 1973
4 온양민속박물관, "『민화』", 온양민속박물관 출판부, 온양민속박물관, 1981
5 허균, "궁궐장식", 돌베개, 2011
6 김교빈, "『이언적』",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0
7 주남철, "한국건축사", 고려대학교출판부, 2000
8 진홍섭, "한국미술사", 문예출판사, 2006
9 정현기, "『恨과 삶』", 솔출판사, 1994
10 중앙일보, "「한국민화」", 중앙일보사, 3월호, 중앙일보사, 1978
1 정승모, 홍석모, "번역", 『동국세시기』풀빛, 2009
2 민학회, "『民學』", 제1집, 에밀레미술관, 1972
3 조자용, "『民學』", 2권, 「韓畵金剛山圖」, 에밀레박물관, 1973
4 온양민속박물관, "『민화』", 온양민속박물관 출판부, 온양민속박물관, 1981
5 허균, "궁궐장식", 돌베개, 2011
6 김교빈, "『이언적』",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0
7 주남철, "한국건축사", 고려대학교출판부, 2000
8 진홍섭, "한국미술사", 문예출판사, 2006
9 정현기, "『恨과 삶』", 솔출판사, 1994
10 중앙일보, "「한국민화」", 중앙일보사, 3월호, 중앙일보사, 1978
11 전진삼, "『공간사옥』", 시공문화사, 시공문화사, 2003
12 [도서출판민학], "『마을축제』", 圖書出版民學, 민학선서, 1993
13 김호연, "『한국민화』", 庚美文化社, 경미문화사, 1980
14 朴銀順, "金剛山圖硏究", 일지사, 1997
15 예경, "『Pablo Picasso』", 예경, 예경, 1996
16 이우환, "만남을 찾아서", 학고재, 2011
17 최정운, "한국인의 탄생", 미지북스, 2013
18 이동주, "『韓國繪?史論』", 열화당, 1994
19 윤열수, "『민화 이야기』", 디자인하우스, 2007
20 박정혜, "『왕의 화가들』", 돌베개, 돌베개, 2012
21 문용직, "『주역의 발견』", 부키, 부키, 2007
22 김호연, "『한국의 민화』", 열화당, 열화당, 1976
23 황두진, "한옥이 돌아왔다", 공간사, 2006
24 구보타 시게코, 남정호, "나의 사랑 백남준", 이순, 2010
25 박정혜, "왕과 국가의 회화", 돌베개, 2011
26 안휘준, "「한국민화산고」", 『민화걸작전 도록』, 삼성미술문화재단, 1983
27 김철순, "『한국민화논고』", 예경출판사, 1991
28 신영훈, "「시작의 첫마디」", 민학회보 창간호, 1976
29 박찬승, "『민족주의 시대』", 경인문화사, 2007
30 김원일, "『발견자 피카소』", 동방미디어북스, 2002
31 서수경, "『프랭크 라이트』", 살림출판사, 2004
32 김운학, "『한국의 차문화』", 이른아침, 이른아침, 2004
33 홍용선, "『현대 한국화론』", 미술세계, 월간미술세계, 2007
34 최장집, "민중에서 시민으로", 돌베개, 2009
35 조정환, "플럭서스 예술혁명", 갈무리, 2011
36 전남일, "한국 주거의 사회사", 돌베개, 2008
37 송호정, "단군, 만들어진 신화", 산처럼, 2004
38 최열, "한국현대미술비평사", 청년사, 2012
39 조자용, "「세계속의 한민화」", 『민화걸작전 도록』,삼성미술문화재단 호암미술관, 1983
40 심우성, "「한국의 전통예술」", 한국문화재보호재단, 『한국의 전통예술』, 한국문화재보호재단, 1997
41 이겸노, "「회장피선의 뒤안」", 민학회보 제2호, 1976
42 김성기, "『韓國의 傳統文化』", 월인, 2001
43 채효영, "『서양미술사 강의』", 청년사, 2013
44 이동연, "『전통예술의 미래』", 채륜, 채륜, 2010
45 고연희, "『조선시대 산수화』", 돌베개, 2007
46 조흥윤, "『한국의 샤머니즘』",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47 김진숙, "샤머니즘과 예술치료", 학지사, 2010
48 고유섭, "한국건축미술사 초고", 대원사, 1999
49 정민, "한서이불과 논어병풍", 열림원, 2000
50 마이클, 한정희, 설리번, "번역, 『중국미술사』", 예경, 2011
51 황병기, "「백남준의 플럭서스」", 『백남준을 말하다』, 해피스토리, 2006
52 문명대, "『한국미술사 방법론』", 열화당, 2000
53 손태룡, "매일신문 음악기사색인", 영남대학교출판부, 2002
54 박길룡, "한국현대건축의 유전자", 공간사, 2005
55 홍가이, "『現代美術. 文化批評』", 미진사, 1987
56 김영미, "『그들의 새마을 운동』", 푸른역사, 2000
57 윤사순, "『실학의 철학적 특성』", 나남, 나남, 2008
58 박홍규, "『윌리엄 모리스 평전』", 개마고원, 2007
59 신원봉, "『인문으로 읽는 주역』", 부키, 부키, 2009
60 정재식, "『전통의 연속과 변화』", 아카넷, 2004
61 정병모, "(무명화가들의 반란)민화", 다할미디어, 2011
62 한영우, "다시, 실학이란 무엇인가", 푸른역사, 푸른역사, 2007
63 김태연, "한국의 근현대 차인 열전", 도서출판이른아침, 2012
64 김홍남, "「궁화: 궁궐 속의 민화」", 『민화와 장식 병풍』, 국립민속박물관, 2005
65 김이순, "「민화와 한국현대미술」", 영월 국제 박물관 포럼, 2013
66 안휘준, "『청출어람의 한국미술』", 사회평론, 사회평론, 2010
67 황정연, "등, 『조선 궁궐의 그림』", 돌베개, 2012
68 허영환, "「민문화 운동가 조자용」", 민학회 40년사 기념, 2013
69 김호, "「생활사 연구와 이규경」", 『19세기 조선, 생활과 사유의 변화를 엿보다』, 돌베개, 2005
70 김중업, "『건축가의 빛과 그림자』", 열화당, 열화당, 1984
71 최준식, "『한국의 풍속 민간신앙』",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4
72 탁석산, "한국의 민족주의를 말한다", 웅진닷컴, 2004
73 이상국, "『조선 후기 호렵도 연구』", 경주대학교 문화재학과 박사논문, 2012
74 강관식, "조선시대 도화서 화원 제도", 『화원』, 삼성미술관 리움, 2011
75 김쾌정, "「한국민중박물관의 변천」", 『한국박물관 협회 30년』,한국박물관협회, 2007
76 윤진영, "「궁중회화와 민화의 경계」", 『민화란 무엇인가』, 한국민화센터, 2013
77 김용권, "「조선후기 민화 제작방식」", 『민화학회 학술세미나』, 한국민화학회, 2014
78 조혜인, "「종교와 사회사상의 흐름」", 『한국사회사의 이해』, 문학과 지성, 1995
79 김철순, "「한국민화의 주제와 정신」", 『민화』, 하권, 예경산업사, 1989
80 유병용, "『한국 근대사와 민족주의』", 집문당, 집문당, 1997
81 김의정, "『차의 선구자 명원 김미희』", 학고재, 학고재, 2010
82 홍석률, "1960년대 한국 민족주의의 분화", 『1960년대 한국의 근대화와 지식인』,선인, 2004, 1960
83 오출세, "『한국민간신앙과 문학연구』", 동국대학교 출판부, 동국대학교출판부, 2002
84 윤호기, "「새문안교회 4차 성전 건축 」", 새문안교회, 1966
85 김정희, "불화, 찬란한 불교 미술의 세계", 돌베개, 2009
86 변영섭, "「문인화 읽기와 사의성 이해」", 『미술사 자료와 해석』, 일지사, 2008
87 양종승, "「황해도 무속과 무당 우옥주」", 『민학』, 민학회보 30호, 1994
88 스기야마 다카시, "야나기 무네요시의 생애와 업적", 『야나기 무네요시』,국립현대미술관, 2013
89 윤태석, "「한국박물관 협회의 창립30년」", 『한국박물관 협회 30년』,한국박물관협회, 2007
90 삼성문화재단, "『꿈과 사랑 매혹의 우리 민화』", 三星文化財團, 호암미술관, 1998
91 이항, "한민족과 한반도의 상징, 호랑이", 한국범보존기금, 2013
92 제임스, "캐힐, 조선미 역, 『중국회화사』", 열화당, 2002
93 黃龍渾, "「양주 금남리 지석묘 조사보고」", 경희사학회, 『경희사학 제3집』,경희대사학회, 1972
94 정병모, "「현대민화가 나아가야 할 방향」", 『우리민화의 어제와 오늘』,가회민화 박물관 출판부, 2013
95 인권환, "『한국 전통문화의 현대적 모색』", 태학사, 태학사, 2003
96 고연희, "「책가도에 펼쳐진 시(詩) 문(文)」", 계명대학교한국민화연구소, 2014
97 임석재, "『서울 건축 ?개화기~일제강점기』",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1
98 김현, "「88올림픽 마스코트 호돌이 비화」", 한국범보존기금, 2013
99 이만주, "「건축가 겨레문화연구가 조자용」", 『우리문화의 모태를 찾아서』,안그라픽스, 2000
100 김원교, "「그대로 박생광의 회화세계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
101 이영실, "「조자용의 민화연구와 민화운동」", 『한국민화』제 4호, 한국민화학회, 2013
102 류지연, "「야나기 무네요시?미의 탐구여정」", 『야나기 무네요시』,국립현대미술관, 2013
103 이곡, "『선인들과 함께 하는 금강산 기행』", 인화, 인화, 1998
104 정인하, "『김중업건축론-시적 울림의 세계』", 산업도서출판공사, 산업도서출판공사, 1998
105 선경식, "『진창에 뒹굴고 피투성이가 되어도』", 시몬출판사, 1990
106 栗田邦江, "한국인에 의한 야나기 무네요시 연구사", 『야나기 무네요시와 한국』,소명출판, 2010
107 임부연, "『실학에 길을 묻다 ?정약용과 최한기』", 김영사, 2007
108 윤범모, "「민화라는 용어와 개념, 다시 생각하기」", 『민화란 무엇인가』,한국민화센터, 2013
109 박용숙, "『한국미술의 기원-미술사의 근본문제』", 예경산업사, 예경, 1990
110 이선옥, "사군자, 매란국죽으로 피어난 선비의 마음", 돌베개, 2011
111 주영하, "「19세기 세시 풍속에 대한 지식인의 인식」", 『19세기 조선, 생활과 사유의 변화를 엿보다』, 돌베개, 2005
112 이성수, "「김수근 건축철학의 한국성에 관한 연구」", 한국일러스아트학회, 한국일러스학회지 제 11권 3호,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08
113 전영백, "「년대 이후 영국 ‘신미술사’의 방법론」", 『미술사와 시각문화』9월호, 사회평론, 2010, 1970
114 야나기, "무네요시, 이길진 번역, 『조선과 그 예술』", 신구, 2006
115 杉山亨司, "柳宗悅と美術館-日本民藝館の步みを中心に", 영월국제박물관포럼, 2013
116 이예성, "「윌리엄 모리스 유토피아 소식과 중세주의」", 『경주대학교논문집』제 19 집, 경주대학교, 2006
117 松田伸子, "柳宗悅の民藝의 周邊(四)-未來へのヴイジヨン", 『Litteratura』12?明古屋工業大學外國語敎室, 1992
118 윤열수, "「한국민화의 중시조, 조자용의 생애와 발자취」", 『한국민화』,한국민화학회, 2012
119 정인성, "「일제강점기 고구려 유적조사. 연구 재검토 Ⅰ」", 『일본소재 고구려유물Ⅰ』, 동북아역사재단, 2008
120 이광주, "『윌리암 모리스 세상의 모든 것을 디자인 하다』", 한길아트, 2004
121 국립문화재연구소, "『프랑스 국립기메동양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 국립문화재연구소,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122 안창모, "「미스터리와 히스토리의 주인공, 건축가 조자용」", 조자용기념사업회, 2014
123 허균, "「조자용 선생의 민화관과 학회의 연구방향 소론」", 조자용기념사업회, 2014
124 Pierre Cambon, "「Korean fantasy, the topic of modernity-innovationand abstraction」", 영월박물관포럼, 2013
125 이은하, "「궁중 연회도병의 화조화 병풍그림과 민화 화조화」", 한국민화연구소, 2012
126 김병민, "「동아사아 근대 지향과 태동과 주변 지식인의 자각」", 『박지원. 박제가 새로운 길을 찾다』, 경기문화재단, 2006
127 이병진, "「야나기 무네요시의 인간부재로서의 ‘민예’론 읽어보기」", 소명출판, 2012
128 양정무, "「한국적 추상의 탄생?년대 한국추상미술의 역사적의미에 대하여」", 『고요한 울림』, 우양미술관, 2014, 1970
129 카타야마 마리코, "일본의 조선회화에 관한전람회의 동향에 대하여?궁화와 민화에관하여", 한국민화연구소, 2011
130 신나경, "「야나기 무네요시의 민예운동과 내셔널리즘-일본의 미를 중심으로」", 소명출판, 2012
131 이인범, "『조선예술과 야나기 무네요시』, 시공사, 이재인 조병수, 『한국의 기와 문화』", 태학사, 1998,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