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 지위비행에 관한 비행이론 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Theories of Delinquency on Adolescents' Status Offen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577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how well each of the theories do and how well they do compared to each other in explaining adolescents' status offenses using variables from Akers' social learning, Gottfredson and Hirschi's general theory of crime, and Hirschi's social bonding theories. The data for this investigation come from the Korean Youth Panel Data from a sample of 2,833 Korean adolesc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 that differential peer association from social learning theory has the strongest effect on dependent variables. However, independent variables from general theory of crime are supported to some extent and variables from social bonding theory do not support adolescents' status offenses. Results indicate that variables from general theory of crime and social bonding theories add little explained variance beyond that accounted for by social learning variables. When social learning variables are excluded from the full equation, the change in R2 is great, indicating that it is the social learning factors that have the greatest impacts on adolescent's status offens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how well each of the theories do and how well they do compared to each other in explaining adolescents' status offenses using variables from Akers' social learning, Gottfredson and Hirschi's general theory of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how well each of the theories do and how well they do compared to each other in explaining adolescents' status offenses using variables from Akers' social learning, Gottfredson and Hirschi's general theory of crime, and Hirschi's social bonding theories. The data for this investigation come from the Korean Youth Panel Data from a sample of 2,833 Korean adolesc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 that differential peer association from social learning theory has the strongest effect on dependent variables. However, independent variables from general theory of crime are supported to some extent and variables from social bonding theory do not support adolescents' status offenses. Results indicate that variables from general theory of crime and social bonding theories add little explained variance beyond that accounted for by social learning variables. When social learning variables are excluded from the full equation, the change in R2 is great, indicating that it is the social learning factors that have the greatest impacts on adolescent's status offens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3 가지 비행이론을 이용하여 청소년 지위비행의 원인을 파악하는데 그 주된 목적을 가진다. 종속변인으로 사용된 지위비행은 청소년 약물사용과 이탈행위이며, 독립변인은 사회학습이론, 범죄일반이론, 사회유대이론에서 제안된 변인들이다. 다중회귀분석결과 사회학습 변인들의 설명력이 범죄일반이론이나 사회유대이론보다 훨씬 뛰어난 것으로 밝혀졌다. 통합회귀방정식에서도 사회학습 변인들이 통합 회귀방정식에서 제외됐을 때, 결정계수 값이 상당히 떨어지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사회학습 변인들이 청소년 지위비행을 가장 잘 설명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범죄일반이론의 설명력은 높은 편이 아니지만, 충동성과 육체적 활동선호 변인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청소년 지위비행을 잘 설명했다. 그러나 사회유대 변인들은 청소년 지위비행을 거의 설명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청소년 비행연구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었던 3가지 비행이론을 이용하여 청소년 지위비행에 관한 지난 6년간의 종단자료의 분석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3 가지 비행이론을 이용하여 청소년 지위비행의 원인을 파악하는데 그 주된 목적을 가진다. 종속변인으로 사용된 지위비행은 청소년 약물사용과 이탈행위이며, 독립변인은 사회...

      이 연구는 3 가지 비행이론을 이용하여 청소년 지위비행의 원인을 파악하는데 그 주된 목적을 가진다. 종속변인으로 사용된 지위비행은 청소년 약물사용과 이탈행위이며, 독립변인은 사회학습이론, 범죄일반이론, 사회유대이론에서 제안된 변인들이다. 다중회귀분석결과 사회학습 변인들의 설명력이 범죄일반이론이나 사회유대이론보다 훨씬 뛰어난 것으로 밝혀졌다. 통합회귀방정식에서도 사회학습 변인들이 통합 회귀방정식에서 제외됐을 때, 결정계수 값이 상당히 떨어지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사회학습 변인들이 청소년 지위비행을 가장 잘 설명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범죄일반이론의 설명력은 높은 편이 아니지만, 충동성과 육체적 활동선호 변인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청소년 지위비행을 잘 설명했다. 그러나 사회유대 변인들은 청소년 지위비행을 거의 설명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청소년 비행연구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었던 3가지 비행이론을 이용하여 청소년 지위비행에 관한 지난 6년간의 종단자료의 분석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준호, "한국의 청소년 비행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6

      2 황성현, "한국과 미국 청소년들의 음주행위에 관한 비교 연구 : 사회학습이론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학회 23 (23): 5-29, 2008

      3 심미영, "한국 청소년비행에 관한 Hirschi 이론의 검증" 한국가족복지학회 12 (12): 147-171, 2007

      4 송아영, "청소년지위비행에 대한 일반긴장이론의 부분적 검증 : Ping의 2단계 방법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309-337, 2009

      5 민수홍,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이 비행과 범죄에 미치는 영향: 패널자료를 이용한 인과성 및 일반성 검증" 한국청소년학회 13 (13): 27-47, 2006

      6 유순화, "청소년 음주ㆍ흡연에 관한 사회학습이론적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10 (10): 195-214, 2003

      7 황성현, "청소년 음주 · 흡연행위에 관한 사회유대, 자아통제, 사회학습이론적 고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113-139, 2009

      8 민가영, "청소년 성매매 행위의 ‘자발성’과 그 맥락에 대한 질적연구를 통한 성매매 청소년의 자발성 논쟁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173-202, 2009

      9 박현선, "빈곤과 아동의 사회정서적 발달 간의 관계: 성인역 부담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303-330, 2006

      10 황성현, "낮은 자아통제감, 친구집단요인, 부모요인이 청소년 약물사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3 (13): 129-154, 2006

      1 김준호, "한국의 청소년 비행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6

      2 황성현, "한국과 미국 청소년들의 음주행위에 관한 비교 연구 : 사회학습이론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학회 23 (23): 5-29, 2008

      3 심미영, "한국 청소년비행에 관한 Hirschi 이론의 검증" 한국가족복지학회 12 (12): 147-171, 2007

      4 송아영, "청소년지위비행에 대한 일반긴장이론의 부분적 검증 : Ping의 2단계 방법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309-337, 2009

      5 민수홍,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이 비행과 범죄에 미치는 영향: 패널자료를 이용한 인과성 및 일반성 검증" 한국청소년학회 13 (13): 27-47, 2006

      6 유순화, "청소년 음주ㆍ흡연에 관한 사회학습이론적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10 (10): 195-214, 2003

      7 황성현, "청소년 음주 · 흡연행위에 관한 사회유대, 자아통제, 사회학습이론적 고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113-139, 2009

      8 민가영, "청소년 성매매 행위의 ‘자발성’과 그 맥락에 대한 질적연구를 통한 성매매 청소년의 자발성 논쟁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173-202, 2009

      9 박현선, "빈곤과 아동의 사회정서적 발달 간의 관계: 성인역 부담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303-330, 2006

      10 황성현, "낮은 자아통제감, 친구집단요인, 부모요인이 청소년 약물사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3 (13): 129-154, 2006

      11 이성식, "낮은 자기 통제력과 비행친구의 청소년비행에의 영향 : 청소년패널자료의 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8 (18): 159-181, 2007

      12 김재엽, "가족응집력이 청소년의 학교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4 (14): 173-201, 2007

      13 전영실, "가족유대와 비행의 관계─허쉬의 사회통제이론에 대한 수정된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형사정책학회 19 (19): 277-304, 2007

      14 정소희, "가족구조, 부모양육행동 및 청소년비행 - 모자가정과 부자가정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0 (30): 185-213, 2006

      15 조아미, "가족구조 유형에 따른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과 지위비행의 차이"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6 (6): 137-154, 2009

      16 Hwang, S. H., "Substance use by Korean adolescents: A Cross-Cultural test of social learning, social bonding, and self-control theories. in: Social Learning Theory and the Explanation of Crime: A Guide for the New Century. Advances in Criminological Theory. 11" Transaction Publishers 39-64, 2003

      17 Akers, R, L., "Social Learning and Social Structure: A General Theory of Crime and Deviance" Northeastern University Press 1998

      18 Morris, D. G., "Self-control, native traditionalism, and native American substance use: testing the cultural invariance of a general theory of crime" 52 : 572-598, 2006

      19 Hwang, S. H., "Parental and peer influences on adolescent drug use in Korea" 1 : 51-69, 2006

      20 Neff J. L., "Male versus female substance abuse patterns among incarcerated juvenile offenders: Comparing strain and social learning variables" 24 : 106-132, 2007

      21 Agnew, R., "Foundation for a general strain theory of crime and delinquency" 30 : 47-87, 1992

      22 Hirschi, T., "Causes of Delinquenc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9

      23 Unnever, J. D., "Bullying, Self-Control, and ADHD" 18 : 129-147, 2003

      24 Gottfredson, M. R., "A General Theory of Crim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4 2.14 2.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4 2.47 2.766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