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화콘텐츠학과의 디지털스토리텔링 교육방법론 연구 = A Study on the Method Digital storytelling in the Department of Cultural Cont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834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창의적이면서도 비판적 문제해결 능력을 갖추고 도전적이면서도 실행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융합형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문화콘텐츠학과의 디지털스토리텔링 교육방법론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디지털스토리텔링 교육에서는 기본적으로 문제해결역량과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협업이 가능한 학문적 의사소통 역량, 그리고 지식융합능력 등의 역량을 지향한다. 때문에 교육방법론 또한 전통적인 강의식의 교수법에서 벗어나 학습자가 중심이 되어 스스로가 학습 내용과 과정을 구성하고 경험하여 완성시켜갈 수 있는 시스템으로 변화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스토리텔링’이라는 교과목을 구성주의 이론 중에서도 PBL 모델을 적용하여 설계하고 직접 운영한 사례를 통해 지식과 교육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에 접근하고자 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창의적이면서도 비판적 문제해결 능력을 갖추고 도전적이면서도 실행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융합형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문화콘텐츠학과의 디지털스토리텔링 교육방법론을 ...

      본 논문은 창의적이면서도 비판적 문제해결 능력을 갖추고 도전적이면서도 실행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융합형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문화콘텐츠학과의 디지털스토리텔링 교육방법론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디지털스토리텔링 교육에서는 기본적으로 문제해결역량과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협업이 가능한 학문적 의사소통 역량, 그리고 지식융합능력 등의 역량을 지향한다. 때문에 교육방법론 또한 전통적인 강의식의 교수법에서 벗어나 학습자가 중심이 되어 스스로가 학습 내용과 과정을 구성하고 경험하여 완성시켜갈 수 있는 시스템으로 변화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스토리텔링’이라는 교과목을 구성주의 이론 중에서도 PBL 모델을 적용하여 설계하고 직접 운영한 사례를 통해 지식과 교육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에 접근하고자 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intended to study what is the method of Digital storytelling in the department of cultural contents. The expert of Cultural Contents needs to cultivate creative talented, critical problem-solving skills, challenging and ability to execute. Therefore the capacity gained through storytelling training is how to solve the problems faced, capable of self-directed and collaborative academic communication, and knowledge convergence capabilities. Accordingly the training methology of Digital storytelling should be changed into a student center at the center of a professor. Student can self-organize and design their learning contents and can lead the class subjectivity if their class change as new paradigm about knowledge and teaching technology for example PBL(Problem based learning) Model. This paper is the record about real case to design and operate the ‘Digital storytelling’ course.
      번역하기

      This article is intended to study what is the method of Digital storytelling in the department of cultural contents. The expert of Cultural Contents needs to cultivate creative talented, critical problem-solving skills, challenging and ability to exec...

      This article is intended to study what is the method of Digital storytelling in the department of cultural contents. The expert of Cultural Contents needs to cultivate creative talented, critical problem-solving skills, challenging and ability to execute. Therefore the capacity gained through storytelling training is how to solve the problems faced, capable of self-directed and collaborative academic communication, and knowledge convergence capabilities. Accordingly the training methology of Digital storytelling should be changed into a student center at the center of a professor. Student can self-organize and design their learning contents and can lead the class subjectivity if their class change as new paradigm about knowledge and teaching technology for example PBL(Problem based learning) Model. This paper is the record about real case to design and operate the ‘Digital storytelling’ cours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PBL 기반의 스토리텔링 교육 사례
      • Ⅳ. 결론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PBL 기반의 스토리텔링 교육 사례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