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점畢齋 金宗直의 詩文學 硏究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7125050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8

      • 학위논문사항

        學位論文(博士) -- 延世大學校 大學院 , 國語國文學科 , 1999.2

      • 발행연도

        199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895.71007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Study on the jumpiljae kim, jong jik's poetry

      • 형태사항

        iv, 194 p.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186-191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조선 초기 문인인 점畢齋 金宗直의 생애와 시문학에 대해 올바른 이해와 평가를 하기 위한 것이 주목적이다.
      김종직은 오랫동안 많은 사람들에게 性理學者로 알려져 왔으나 이는 실상과는 다른 것이며, 그가 性理學者 또는 道學者로서 儒學淵源에까지 들게 된 것은 주로 그의 學脈을 이은 후대의 士林에 의해서 名分上으로 규정된 것이라는 점이 여러 자료를 통해서 드러난다.
      김종직은 그가 世祖를 비판하기 위해 지었다고 알려진 <弔義帝文> 때문에 절의의 인물로 추앙되었지만, 그의 생전의 행적을 보면 전혀 세조를 불의의 인물로 여기지 않았으며 오히려 그를 찬양하는 작품을 남기는 등 신하로서의 도리를 다하였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弔義帝文>은 세조를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儒家의 보편적 節義觀에 입각해서 지은 작품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그의 문학관에 대해서 많은 사람들이 동시대의 문인인 徐居正과 成俔을 들어 서로 비교하면서, '김종직은 道學派로서 道를 중시하고 문학을 말단적인 것으로 하찮게 생각했으며, 徐居正과 成俔 등은 소위 詞章派로서 문학의 가치를 적극적으로 옹호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그 당시의 문인들은 물론이고 그 후대의 문인들도 거의 대부분이 문학관에 있어서 근본적인 차이가 나는 것이 아니다. 즉 道主文從(道本文末)과 함께 經文一致의 문학관은 조선조 儒學者들의 보편적인 문학관이었던 것이다.
      그는 조선 초기의 가장 뛰어난 시인이라고 평가할 수 있는데, 그의 시가 높이 평가되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풍격적 특성에 있다. 그의 詩風은 역동적이면서 호방한 기풍이 드러나는 雄渾美가 가장 두드러진다. 이는 후대의 평가자들이 그의 시를 높이 평가하면서 자주 언급한 요소이기도 하다.
      다음으로는 雄渾美보다는 가볍지만 활달하면서도 흥이 살아 있는 爽快美가 또 하나의 특성으로 지적될 수 있다. 김석주가 '明月撥雲 茉蓉出水'라고 말한 평가에 들어 맞는 시풍이다.
      이상의 두가지 시풍은 김종직의 외향적이고 활달하면서 내면으로는 흥을 간직한 그의 선천적 성격에서 유발된 시풍이라고 할 수 있다.
      세 번째로 들 수 있는 시풍은 한가하고 여유가 넘치는 安穩美이다. 앞의 두시풍에 비해서는 훨씬 고요하고 차분하게 가라앉은 분위기이다. 그러나 역시 밝은 기조를 유지한다. 이 점은 그가 근본적으로 자기 수양을 목표로 추구하는 유학자인데다 일신을 파란이나 굴곡이 없는 순탄한 관직 생활을 한 외부적 요인 때문에 생긴 후천적 기질이라고 할 수 있다.
      그의 시풍을 요약하면 밝고 남성적인 '陽剛美'가 돋보이며, '恨'보다는 '興'을 주조로 하고 '沈鬱'보다는 '明朗'을 추구하는 속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김종직은 지금까지의 많은 연구자들이 주장한 것과는 달리, 사림파로서 勳舊官僚들과 대립적인 위치에 있었던 것이 아니고 그들과 폭넓은 친교를 유지했으며 그러한 내용을 많은 시로 남기고 있다.
      그는 고향에 대한 애착심이 강해서 이를 자주 시로 표현하였다. 그의 고향에 대한 애착은 과거 그 지역을 기반으로 하였던 신라 왕조에 대한 관심으로까지 확대되어 많은 역사 유적·유물들에 대해서 시로 표현하였다. 여기에는 『三國史記』등 우리나라 역사서에 의한 정확한 지식이 바탕이 되었다.
      김종직을 사림파로 인식하는 많은 연구들에서는 그가 관직 생활을 좋아하지 않고 遁世意識이 강했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사실과 다르며, 그는 어렸을 때부터 과거 합격을 통하여 관직에 진출하려는 적극적인 의지를 가지고 있었고 이를 시로도 나타내었다. 이것은 그가 자신의 가문을 중흥시키려는 의지가 강했던 것과 연관이 있다.
      그의 시에 있어서 표현적인 특질은 다양한 用事의 활용과 詩句의 치밀한 조직 등을 들 수 있으며, 표현면에서도 참신하고 공교한 묘사가 돋보이는 작품들이 많이 나타난다. 이러한 표현적인 측면의 특질은 그가 '江西詩派'의 시풍에 상당한 관심이 있었다는 증거이다.
      그의 시는 意境을 형상화하는데 있어 巨視的 관점의 묘사가 많은데, 이는 그의 雄渾한 시풍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
      김종직은 조선 전기 시문학의 흐름에 있어서 누구보다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시인이다. '海東江西詩派'가 바로 뒤이어 출현하였는데, 김종직 자신이 강서시파에 경도했었다는 것을 밝히고 있으며 해동강서시파의 한 사람인 鄭士龍이 김종직의 시를 높이 평가하면서 그 詩句에 일부러 표시를 해가면서까지 배우기에 힘썼다는 사실로 미루어 이미 김종직이 그 문을 열어 주었다고 평가할만하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조선 초기 문인인 점畢齋 金宗直의 생애와 시문학에 대해 올바른 이해와 평가를 하기 위한 것이 주목적이다. 김종직은 오랫동안 많은 사람들에게 性理學者로 알려져 왔으나 이는...

      이 논문은 조선 초기 문인인 점畢齋 金宗直의 생애와 시문학에 대해 올바른 이해와 평가를 하기 위한 것이 주목적이다.
      김종직은 오랫동안 많은 사람들에게 性理學者로 알려져 왔으나 이는 실상과는 다른 것이며, 그가 性理學者 또는 道學者로서 儒學淵源에까지 들게 된 것은 주로 그의 學脈을 이은 후대의 士林에 의해서 名分上으로 규정된 것이라는 점이 여러 자료를 통해서 드러난다.
      김종직은 그가 世祖를 비판하기 위해 지었다고 알려진 <弔義帝文> 때문에 절의의 인물로 추앙되었지만, 그의 생전의 행적을 보면 전혀 세조를 불의의 인물로 여기지 않았으며 오히려 그를 찬양하는 작품을 남기는 등 신하로서의 도리를 다하였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弔義帝文>은 세조를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儒家의 보편적 節義觀에 입각해서 지은 작품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그의 문학관에 대해서 많은 사람들이 동시대의 문인인 徐居正과 成俔을 들어 서로 비교하면서, '김종직은 道學派로서 道를 중시하고 문학을 말단적인 것으로 하찮게 생각했으며, 徐居正과 成俔 등은 소위 詞章派로서 문학의 가치를 적극적으로 옹호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그 당시의 문인들은 물론이고 그 후대의 문인들도 거의 대부분이 문학관에 있어서 근본적인 차이가 나는 것이 아니다. 즉 道主文從(道本文末)과 함께 經文一致의 문학관은 조선조 儒學者들의 보편적인 문학관이었던 것이다.
      그는 조선 초기의 가장 뛰어난 시인이라고 평가할 수 있는데, 그의 시가 높이 평가되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풍격적 특성에 있다. 그의 詩風은 역동적이면서 호방한 기풍이 드러나는 雄渾美가 가장 두드러진다. 이는 후대의 평가자들이 그의 시를 높이 평가하면서 자주 언급한 요소이기도 하다.
      다음으로는 雄渾美보다는 가볍지만 활달하면서도 흥이 살아 있는 爽快美가 또 하나의 특성으로 지적될 수 있다. 김석주가 '明月撥雲 茉蓉出水'라고 말한 평가에 들어 맞는 시풍이다.
      이상의 두가지 시풍은 김종직의 외향적이고 활달하면서 내면으로는 흥을 간직한 그의 선천적 성격에서 유발된 시풍이라고 할 수 있다.
      세 번째로 들 수 있는 시풍은 한가하고 여유가 넘치는 安穩美이다. 앞의 두시풍에 비해서는 훨씬 고요하고 차분하게 가라앉은 분위기이다. 그러나 역시 밝은 기조를 유지한다. 이 점은 그가 근본적으로 자기 수양을 목표로 추구하는 유학자인데다 일신을 파란이나 굴곡이 없는 순탄한 관직 생활을 한 외부적 요인 때문에 생긴 후천적 기질이라고 할 수 있다.
      그의 시풍을 요약하면 밝고 남성적인 '陽剛美'가 돋보이며, '恨'보다는 '興'을 주조로 하고 '沈鬱'보다는 '明朗'을 추구하는 속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김종직은 지금까지의 많은 연구자들이 주장한 것과는 달리, 사림파로서 勳舊官僚들과 대립적인 위치에 있었던 것이 아니고 그들과 폭넓은 친교를 유지했으며 그러한 내용을 많은 시로 남기고 있다.
      그는 고향에 대한 애착심이 강해서 이를 자주 시로 표현하였다. 그의 고향에 대한 애착은 과거 그 지역을 기반으로 하였던 신라 왕조에 대한 관심으로까지 확대되어 많은 역사 유적·유물들에 대해서 시로 표현하였다. 여기에는 『三國史記』등 우리나라 역사서에 의한 정확한 지식이 바탕이 되었다.
      김종직을 사림파로 인식하는 많은 연구들에서는 그가 관직 생활을 좋아하지 않고 遁世意識이 강했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사실과 다르며, 그는 어렸을 때부터 과거 합격을 통하여 관직에 진출하려는 적극적인 의지를 가지고 있었고 이를 시로도 나타내었다. 이것은 그가 자신의 가문을 중흥시키려는 의지가 강했던 것과 연관이 있다.
      그의 시에 있어서 표현적인 특질은 다양한 用事의 활용과 詩句의 치밀한 조직 등을 들 수 있으며, 표현면에서도 참신하고 공교한 묘사가 돋보이는 작품들이 많이 나타난다. 이러한 표현적인 측면의 특질은 그가 '江西詩派'의 시풍에 상당한 관심이 있었다는 증거이다.
      그의 시는 意境을 형상화하는데 있어 巨視的 관점의 묘사가 많은데, 이는 그의 雄渾한 시풍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
      김종직은 조선 전기 시문학의 흐름에 있어서 누구보다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시인이다. '海東江西詩派'가 바로 뒤이어 출현하였는데, 김종직 자신이 강서시파에 경도했었다는 것을 밝히고 있으며 해동강서시파의 한 사람인 鄭士龍이 김종직의 시를 높이 평가하면서 그 詩句에 일부러 표시를 해가면서까지 배우기에 힘썼다는 사실로 미루어 이미 김종직이 그 문을 열어 주었다고 평가할만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chieve the correct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the life and literary works of Kim, Jong Jik(金宗直) whose pen name is Jumpiljae(점필제).
      Kim, Jong Jik has been known as a metaphysical Confucian and he was held in respect as the leader of so called 'Confucian School(士林波) who succeeded to the orthodox genealogy of Confucians. But it has been shown that this estimation of him was originated from the superficial estimation by his disciples in the next generation. That is, he was also a government official and literary man like Seo, Geo Jeong(徐居正)and Sung Hyun(成俔).
      Kim, Jong Jik was held in respect as a man of fidelity due to the writing of 'Jowoijemoon(弔義帝文)' which is known to be written to judge the King Sejo(世祖). But considering the trace of his life and the literary works that he left, we may know that he did not think of King Sejo as a man of immorality at all and that he fulfilled his faithful duty to King Sejo as a subject of his. Therefore, it is natural that the 'Jowoijemoon' should be considered a literary work which was written on the ground of general Confucian view of fidelity.
      His view point of literature is based on the principle that morality is the basic and literature is the end. And he insisted that Confucianism and literature have the same principle. This was the common view point on literature of the literary men in the period of Chosun Dynasty. Therefore, the result of the study that Seo, Geo Jeong and Sung Hyun were classified into the school which emphasizes literature and Kim, Jong Jik into the school which emphasizes Confucianism is thought to be incorrect.
      The reason his poems are praised highly is based on the feature of his personality and the most prominent feature of his poems rests on the beauty of grandeur. This is a kind of poetical style which is energetic and open hearted and this is an important element of his poems that has been praised highly by the critics in the next generation. Next, the beauty of refreshment which is a little lighter than the beauty of grandeur is shown in his poems. The estimation that 'bright moon plows through clouds and lotus flowers appear on the water(明月撥雲 芙蓉出水)' is so applicable to his poems. These two kinds of poetical styles are thought to be originated from his innate nature which consists of the outward activity and inward pleasant.
      The third poetical style to be counted will be the beauty of comfort. Comparing with the two poetical styles stated above, this style has an atmosphere much more calm and quiet than those two styles. But this also contains a bright tone basically. This may be thought to be resulted from his Confucian feature seeking the aim of his principle throughout his life and his posterior characteristic acquired from his outward cause of his smooth official life without disturbance and trials.
      By synthesizing, and analyzing the above stated poetical styles, we would rather say that he was a pure literary man who sought pure literature rather than a literary man of Confucianism. Unlike the opinion that so many scholars have maintained so far, Kim, Jong Jik had not an opposite position against the traditional powerful government officials and subjects in those days but hi? maintained wide friendship with them, which are left in many poems of his.
      As he had a strong affection for his home town, he used to express it in his poems. His affection of home town was extended to the interest of Shilla Dynasty which was based on the area of his home town and so many historical relics and remains are expressed in his poems. The correct knowledge of the contents of the Korean history was based on the poems. Many scholars insisted that as Kim, Jong Jik was a Confucian literary man, he disliked the official life and had a consciousness to a retired life. But this is thought to be different from the real fact and he had a strong intention to advance into a government official, which was shown in his poems. And this also shows that he had a strong intention to revive his family.
      He rejected Buddhism ideologically but he paradoxically maintained friendly relationship with monks, He left so many poems which show his friendship with them. As a Confucian scholar, he felt suffering and expressed it in his poems whenever he saw the difficulties of the peopl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chieve the correct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the life and literary works of Kim, Jong Jik(金宗直) whose pen name is Jumpiljae(점필제). Kim, Jong Jik has been known as a metaphysical Confucian and he wa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chieve the correct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the life and literary works of Kim, Jong Jik(金宗直) whose pen name is Jumpiljae(점필제).
      Kim, Jong Jik has been known as a metaphysical Confucian and he was held in respect as the leader of so called 'Confucian School(士林波) who succeeded to the orthodox genealogy of Confucians. But it has been shown that this estimation of him was originated from the superficial estimation by his disciples in the next generation. That is, he was also a government official and literary man like Seo, Geo Jeong(徐居正)and Sung Hyun(成俔).
      Kim, Jong Jik was held in respect as a man of fidelity due to the writing of 'Jowoijemoon(弔義帝文)' which is known to be written to judge the King Sejo(世祖). But considering the trace of his life and the literary works that he left, we may know that he did not think of King Sejo as a man of immorality at all and that he fulfilled his faithful duty to King Sejo as a subject of his. Therefore, it is natural that the 'Jowoijemoon' should be considered a literary work which was written on the ground of general Confucian view of fidelity.
      His view point of literature is based on the principle that morality is the basic and literature is the end. And he insisted that Confucianism and literature have the same principle. This was the common view point on literature of the literary men in the period of Chosun Dynasty. Therefore, the result of the study that Seo, Geo Jeong and Sung Hyun were classified into the school which emphasizes literature and Kim, Jong Jik into the school which emphasizes Confucianism is thought to be incorrect.
      The reason his poems are praised highly is based on the feature of his personality and the most prominent feature of his poems rests on the beauty of grandeur. This is a kind of poetical style which is energetic and open hearted and this is an important element of his poems that has been praised highly by the critics in the next generation. Next, the beauty of refreshment which is a little lighter than the beauty of grandeur is shown in his poems. The estimation that 'bright moon plows through clouds and lotus flowers appear on the water(明月撥雲 芙蓉出水)' is so applicable to his poems. These two kinds of poetical styles are thought to be originated from his innate nature which consists of the outward activity and inward pleasant.
      The third poetical style to be counted will be the beauty of comfort. Comparing with the two poetical styles stated above, this style has an atmosphere much more calm and quiet than those two styles. But this also contains a bright tone basically. This may be thought to be resulted from his Confucian feature seeking the aim of his principle throughout his life and his posterior characteristic acquired from his outward cause of his smooth official life without disturbance and trials.
      By synthesizing, and analyzing the above stated poetical styles, we would rather say that he was a pure literary man who sought pure literature rather than a literary man of Confucianism. Unlike the opinion that so many scholars have maintained so far, Kim, Jong Jik had not an opposite position against the traditional powerful government officials and subjects in those days but hi? maintained wide friendship with them, which are left in many poems of his.
      As he had a strong affection for his home town, he used to express it in his poems. His affection of home town was extended to the interest of Shilla Dynasty which was based on the area of his home town and so many historical relics and remains are expressed in his poems. The correct knowledge of the contents of the Korean history was based on the poems. Many scholars insisted that as Kim, Jong Jik was a Confucian literary man, he disliked the official life and had a consciousness to a retired life. But this is thought to be different from the real fact and he had a strong intention to advance into a government official, which was shown in his poems. And this also shows that he had a strong intention to revive his family.
      He rejected Buddhism ideologically but he paradoxically maintained friendly relationship with monks, He left so many poems which show his friendship with them. As a Confucian scholar, he felt suffering and expressed it in his poems whenever he saw the difficulties of the peopl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 국문요약 = ⅲ
      • Ⅰ. 서론 = 1
      • 1. 연구 목적 = 1
      • 2. 선행 연구의 검토 = 4
      • 목차 = ⅰ
      • 국문요약 = ⅲ
      • Ⅰ. 서론 = 1
      • 1. 연구 목적 = 1
      • 2. 선행 연구의 검토 = 4
      • 3. 연구 방법 및 범위 = 8
      • Ⅱ. 생애와 인물 = 12
      • 1. 기존 평가의 분석 = 12
      • 2. 현실 순응의 삶 = 18
      • 3. 當代人의 김종직 평 = 27
      • Ⅲ. 문학관의 검토 = 32
      • 1. 道主文從·經文一致의 문학관 = 32
      • 2. 天稟論的 문학관 = 38
      • 3.『靑丘風雅』에 나타난 詩觀 = 43
      • Ⅳ. 시 세계의 실상 = 58
      • 1. 風格美의 성격 = 58
      • (1) 放遠·洪亮嚴重의 雄渾美 = 64
      • (2) 爽朗·淸亮의 爽快美 = 75
      • (3) 閑適·閑淡의 安穩美 = 86
      • 2. 題材에 나타난 시 의식 = 95
      • (1) 폭넓은 親交 활동과 처세관 = 97
      • (2) 鄕里에 대한 自負와 愛着 = 109
      • (3) 史蹟에 대한 관심 = 117
      • (4) 官人으로서의 自覺 = 126
      • (5) 二重的인 佛敎 인식 = 137
      • (6) 愛民 의식 = 145
      • (7) 儒家 德目의 실천 의지 = 151
      • 3. 표현상의 특질 = 160
      • Ⅴ. 詩史的 위치 = 174
      • Ⅵ. 결론 = 181
      • 參考文獻 = 186
      • Abstract = 19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