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의 부부관계 변화과정 = The Transformation of Marital Relationships of North Korean Defect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068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북한이탈주민의 부부관계 변화과정을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북한이탈주민 부부인 여성 10명을 대상으 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질적 연구방법 가운데 근거이론 방법(Corbin & Strauss, 2008; Strauss & Corbin, 1998)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100개의 개념과 33개의 하위범주, 15개의 범주가 나타났으며, 북한이탈주민의 부부관계 변화과정에 대한 패러다임의 모형이 도출되었다. 본 연 구결과 북한이탈주민의 부부관계 변화과정에서 북한이탈주민 부부는 ‘적응의 시간차로 인한 불협화 음’이라는 중심현상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과적 조건은 ‘이주 전 분리경험’과 ‘북한에서 당 위적인 부부관계’로 나타났으며 맥락적 조건은 ‘가부장적인 북한문화’와 ‘매체 속 남한의 부부문화’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에 대한 참여자의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불안정한 남한의 삶에 직면하기’, ‘관계균 형을 위해 인식 전환하기’, ‘안정적 정착을 위해 수용하기’, ‘적응 갈등의 대안 모색하기’, ‘정착을 위 한 동지애 나누기’, ‘우리됨(we-ness)의 의미 찾기’로 나타났다. 중재적 조건은 ‘자녀와의 관계’, ‘남편의 성격특성’으로 나타났으며, ‘부부로 살아감의 의미공유’, ‘안정된 정착을 위한 유연한 관계 재정립’의 결과를 경험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부부관계 변화과정을 심도 있게 탐색하여 북한이 탈주민 부부의 관계경험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제시함으로써 북한이탈주민 부부의 문화적응과 정을 적절히 조력하기 위한 학문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북한이탈주민의 부부관계 변화과정을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북한이탈주민 부부인 여성 10...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북한이탈주민의 부부관계 변화과정을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북한이탈주민 부부인 여성 10명을 대상으 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질적 연구방법 가운데 근거이론 방법(Corbin & Strauss, 2008; Strauss & Corbin, 1998)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100개의 개념과 33개의 하위범주, 15개의 범주가 나타났으며, 북한이탈주민의 부부관계 변화과정에 대한 패러다임의 모형이 도출되었다. 본 연 구결과 북한이탈주민의 부부관계 변화과정에서 북한이탈주민 부부는 ‘적응의 시간차로 인한 불협화 음’이라는 중심현상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과적 조건은 ‘이주 전 분리경험’과 ‘북한에서 당 위적인 부부관계’로 나타났으며 맥락적 조건은 ‘가부장적인 북한문화’와 ‘매체 속 남한의 부부문화’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에 대한 참여자의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불안정한 남한의 삶에 직면하기’, ‘관계균 형을 위해 인식 전환하기’, ‘안정적 정착을 위해 수용하기’, ‘적응 갈등의 대안 모색하기’, ‘정착을 위 한 동지애 나누기’, ‘우리됨(we-ness)의 의미 찾기’로 나타났다. 중재적 조건은 ‘자녀와의 관계’, ‘남편의 성격특성’으로 나타났으며, ‘부부로 살아감의 의미공유’, ‘안정된 정착을 위한 유연한 관계 재정립’의 결과를 경험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부부관계 변화과정을 심도 있게 탐색하여 북한이 탈주민 부부의 관계경험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제시함으로써 북한이탈주민 부부의 문화적응과 정을 적절히 조력하기 위한 학문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understand the transformation in the marital relationships of North Korean Defectors. Methods: The researcher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pouses of ten North Korean defectors.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Grounded Theory methodology (Corbin & Strauss, 2008; Strauss & Corbin, 1998). Results: The causal conditions for the observed changes in these ten marital relationships included separation anxiety prior to relocation and marital influences while in North Korea. The central phenomenon these spouses experienced was the patriarchal culture of North Korea and the marriage culture of South Korea. Participant responses relating to the central phenomenon included “facing an uncertain life in South Korea,” “changing the perception for a balanced relationship,” “the acceptance of a more stable settlement in South Korea,” “seeking alternative ways for adaptive conflict,” “camaraderie within the shared relationship,” and “finding the meaning of ‘we-ness’.” The intermediary conditions included “child relationships,” “the patriarchal character of the husband,” “the participant’s experience in sharing a meaningful life within a marriage,” and “the reordering of flexible relationships for a more stable relational adaptation.” Conclusions: The focus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in depth, the relational changes within these ten couples and to propose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m.
      번역하기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understand the transformation in the marital relationships of North Korean Defectors. Methods: The researcher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pouses of ten North Korean defectors. The interviews...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understand the transformation in the marital relationships of North Korean Defectors. Methods: The researcher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pouses of ten North Korean defectors.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Grounded Theory methodology (Corbin & Strauss, 2008; Strauss & Corbin, 1998). Results: The causal conditions for the observed changes in these ten marital relationships included separation anxiety prior to relocation and marital influences while in North Korea. The central phenomenon these spouses experienced was the patriarchal culture of North Korea and the marriage culture of South Korea. Participant responses relating to the central phenomenon included “facing an uncertain life in South Korea,” “changing the perception for a balanced relationship,” “the acceptance of a more stable settlement in South Korea,” “seeking alternative ways for adaptive conflict,” “camaraderie within the shared relationship,” and “finding the meaning of ‘we-ness’.” The intermediary conditions included “child relationships,” “the patriarchal character of the husband,” “the participant’s experience in sharing a meaningful life within a marriage,” and “the reordering of flexible relationships for a more stable relational adaptation.” Conclusions: The focus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in depth, the relational changes within these ten couples and to propose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 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및 논의
      • Ⅰ. 서 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 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현선, "현대 북한사회와 가족" 한울 아카데미 2003

      2 여성가족부, "폭력피해 탈북여성 맞춤형 자립지원방안연구" 여성가족부 2012

      3 "통일부"

      4 조용관, "탈북자의 효과적인 교회정착 지원매뉴얼"

      5 조용관, "탈북자와 함께 하는 통일" 한울 2009

      6 김영만, "탈북자들의 소외감과 삶의 질에 영양을 미치는 요인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3

      7 전우택, "탈북자들의 남한사회 적응과 심리 갈등에 대한 이해" 2000 (2000): 67-91, 2000

      8 이기영, "탈북자 가족구성원의 갈등에 관한 문헌적 고찰" 6 (6): 389-404, 1999

      9 김희진, "탈북여성의 정신건강과 부부적응을 위한 TSL 가족프로그램 개입 효과 : 의생명사회과학적 관점(Bio-Medico-Social(BMS) Perspective)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3

      10 이화진, "탈북여성의 이성 관계를 통해본 인권침해 구조와 대응: 탈북 및 정착과정을 중심으로"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19 (19): 367-404, 2011

      1 박현선, "현대 북한사회와 가족" 한울 아카데미 2003

      2 여성가족부, "폭력피해 탈북여성 맞춤형 자립지원방안연구" 여성가족부 2012

      3 "통일부"

      4 조용관, "탈북자의 효과적인 교회정착 지원매뉴얼"

      5 조용관, "탈북자와 함께 하는 통일" 한울 2009

      6 김영만, "탈북자들의 소외감과 삶의 질에 영양을 미치는 요인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3

      7 전우택, "탈북자들의 남한사회 적응과 심리 갈등에 대한 이해" 2000 (2000): 67-91, 2000

      8 이기영, "탈북자 가족구성원의 갈등에 관한 문헌적 고찰" 6 (6): 389-404, 1999

      9 김희진, "탈북여성의 정신건강과 부부적응을 위한 TSL 가족프로그램 개입 효과 : 의생명사회과학적 관점(Bio-Medico-Social(BMS) Perspective)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3

      10 이화진, "탈북여성의 이성 관계를 통해본 인권침해 구조와 대응: 탈북 및 정착과정을 중심으로"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19 (19): 367-404, 2011

      11 박신순, "탈북여성의 가족관계 변화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4

      12 이미경, "탈북여성과의 심층면접을 통해서본 인권침해 구조와 대응" 19 (19): 367-404, 2006

      13 이미경, "탈북여성과의 심층면접을 통해서 본 경제난 이후 북한여성의 지위변화 전망" 한국가족학회 18 (18): 33-55, 2006

      14 정영애, "탈북여성 일·가정 양립 실태 연구"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2013

      15 박현선, "탈북여성 문제"

      16 이순형, "탈북민의 가족해체와 재구성" 서울대학교출판문원 2009

      17 이순형, "탈북가족의 적응과 심리적 통합"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18 조영아, "탈북 여성들의 남한 사회 적응 문제: 결혼 경험자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심리학회 10 (10): 17-36, 2005

      19 남보영, "탈북 남성의 폭력 허용도가 가정폭력에 미치는 영향-남한사회적응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18 (18): 71-91, 2013

      20 김현경, "탄력성(resilience) 관점에서 조명한 북한이탈여성의 생애 연구: 북한과 중국에서의 생활을 중심으로" 여성학연구소 4 (4): 7-36, 2011

      21 이민지, "차별지각, 문화적응,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북한이탈주민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매개된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심리학회 21 (21): 459-481, 2016

      22 황부자, "지역사회자원을 활용한 북한이탈주민가족의 가족기능 강화"

      23 전혜림,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남한사회적응"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24 이금순, "여성이주자의 사회적응과정 연구: 북한이탈주민 사례를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원 45 (45): 191-234, 2006

      25 김기화, "쉼터 거주 경험이 있는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에 대한 연구" 교육연구소 22 (22): 381-403, 2016

      26 이옥자, "새터민 가족의 재통합을 위한 분투노력-새터민 가족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 15 (15): 365-388, 2007

      27 "북한인권정보센터"

      28 김영수, "북한이탈주민의 현황과 재사회화 문제" 사회과학연구소 12 (12): 118-148, 2004

      29 정정애, "북한이탈주민의 탈북동기와 남한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22 (22): 215-248, 2013

      30 김기창, "북한이탈주민의 지역사회적응 경험에 관한 연구: 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9 (9): 201-225, 2015

      31 김희경,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유형에 따른 복합 PTSD와 PTSD 증상의 차이" 한국심리학회 31 (31): 1003-1022, 2012

      32 김희진, "북한이탈주민의 부부관계와 사회적응의 관계에서 자활효능감과 우울의 이중매개효과"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51) : 251-280, 2016

      33 이경석,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 방안 연구" 대진대학교 통일대학원 2013

      34 이덕남, "북한이탈주민의 가족재구성 경험과정연구-정책적시사점 도출을 중심으로-"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8 (18): 201-212, 2013

      35 장혜경, "북한이탈주민의 가족안정성 및 사회적응과 여성의 역할" 한국여성개발원 2000

      36 김영수, "북한이탈주민의 가족문제" 9 : 102-117, 2000

      37 전영선, "북한이탈주민과 한국인의 집단적 경계 만들기 또는 은밀한 적대감" 인문학연구원 58 : 99-126, 2014

      38 윤여상, "북한이탈주민 현황과 민간 협력방안" 24 : 65-100, 2002

      39 김여주, "북한이탈주민 여성과 중국조선족 배우자의 한국 생활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15

      40 김현아, "북한이탈주민 부부의 적응과정 분석: CQR과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다문화평화연구소 10 (10): 21-53, 2016

      41 김여주, "북한이탈여성의 가족 이산 및 재구성 경험에 관한 연구"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18

      42 김태현, "북한이탈여성들의 삶 이야기: 해석학적 현상학을 통한 중국생활체험 분석" 대한가정학회 41 (41): 1-17, 2003

      43 이지선, "북한이탈 어머니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 문화적응 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 한국아동권리학회 17 (17): 589-623, 2013

      44 윤인진, "북한이주민 가족의 사회적응과 가족관계의 변화"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12 (12): 89-108, 2007

      45 양정훈, "북한(사회)의 폭력성이 새터민의 남한사회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책과학학회 9 (9): 607-630, 2005

      46 조용관, "북한 정치교육의 내면화가 탈북자 남한사회적응에 미친 영향"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5 (25): 155-184, 2004

      47 임인숙, "북한 이주민의 성 역할 태도와 부부권력의 변화와 지속" 한국가족학회 20 (20): 99-126, 2008

      48 Bologne, J. C., "독신의 수난사" 이마고 2006

      49 조영아, "남한에서 자녀와 재결합한 북한이탈여성의 경험" 한국상담심리학회 24 (24): 197-222, 2012

      50 한순옥, "남한남성과 결혼한 북한이탈여성의 결혼의 의미와 경험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4

      51 정선애, "남한 남성과 결혼한 북한이탈여성들의 남한사회 적응 요인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2015

      52 김진순, "기독인 탈북자의 가정생활 : 부부관계를 중심으로"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1

      53 박승민, "근거이론 접근을 활용한 상담연구과정" 학지사 2012

      54 진미정, "가족특성에 따른 새터민의 사회문화적 적응" 대한가정학회 45 (45): 63-74, 2007

      55 이민영, "“북한이탈주민 부부관계와 사회복지 실천전략”에 대한 토론" 75-78, 2015

      56 Kitamura, T., "Sex differences in marital and social adjustment" 138 (138): 26-32, 1998

      57 Williams, C. L., "Primary prevention of acculturation stress among refugees" 40 : 501-510, 1991

      58 Singer, J. A., "Positive couple therapy" Routledge 2014

      59 Kessler, R. C., "Patterns and mental health predictors of domestic violence in the United States: Results from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24 (24): 487-508, 2001

      60 Guba, E. G., "Effective evaluation: Improving the usefulness of evaluation results through responsive and naturalistic approaches" Jossey-Bass 1981

      61 Gall, M. D., "Educational Research: An Introduction" Longman Publishing 1996

      62 Strauss, A.,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Sage Publications 1998

      63 Corbin, J.,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 theory" Sage 2008

      64 박현선, "1990년대 북한의 가족제도 연구" 31-35, 1998

      65 김연희, "(A)Study on North Korean defector's mental health : an application of a stress process model"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2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가족치료학회지 -> 가족과 가족치료
      외국어명 : 미등록 -> Family and Family Therap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9-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Family Therap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8 1.12 1.275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