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문화 냉전과 도착(倒錯)적 젠더-한무숙과 박순녀를 중심으로 = Cultural Cold War and Perverted Gender : Focused on Hahn Moo-sook and Park Soon-nyeo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makes a proposition to understand the Cultural Cold War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gender politics. The idea is based on the fact that it is not easy to visualize an image of a female intellectual when conceiving agents of the Cold War. Thus, this paper looks into the lives and literature of Hahn Moo-sook and Park Soon-nyeo, female writers who lived their lives under the influence of the Cultural Cold War, to reveal what inner worlds were created as the psychological warfare between the US-led western bloc and the Soviet-led eastern bloc and gender systems came into play. Park Soon-nyeo and Hahn Moo-sook are female writers who were born with direct and indirect interactions with the Cultural Cold War and through their own networks. Park Soon-nyeo, as a settler from North Korea, started her literary career based on her personal connections from the literary circle of North Korean refugees centering around Kim Yi-seok or from the Cultural Village, whereas Hahn Moo-sook made her debut as a writer based on the endorsement of her husband who was a financial technocrat under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The keyword that penetrates the inner worlds of these writers is perversion, which is a term that captures the universal mentality of agents of the Cold War. However, when scrutinizing how the Cultural Cold War and gender systems come to a standstill, perversion in Hahn Moo-sook's novels forms a variation and intensifies towards sexual perversion and perverse relationships. In particular, sexual perversion is not only a taboo against sexuality but holds significance as punishment against women who tried to have agency in their actions in the midst of the Cultural Cold War, and perverse relationships reveal that one comes to doubt the role that she had been playing within the Cultural Cold War. On the other hand, in Park Soon-nyeo's case, perversion of gender occurs in the dimension of novel writing, which can be seen as a strategy to deliberately impede women from becoming political agents. Even so, the female characters in Park Soon-nyeo's novels are captivated by the desire to know and understand their indecent female friends and by the desire to explain and narrate in their stead. Park Soon-nyeo had sought to become an ethical agent rather than a political agent as a female writer who had fled from the North. Thus, the task of analyzing the Cultural Cold War from the viewpoint of modern gender politics enables the rediscovery of the countenance of female intellectuals who had reestablished their identities each from their respective circumstances. It is precisely at this point where research on the Cultural Cold War needs to begin.
      번역하기

      This paper makes a proposition to understand the Cultural Cold War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gender politics. The idea is based on the fact that it is not easy to visualize an image of a female intellectual when conceiving agents of the Cold War....

      This paper makes a proposition to understand the Cultural Cold War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gender politics. The idea is based on the fact that it is not easy to visualize an image of a female intellectual when conceiving agents of the Cold War. Thus, this paper looks into the lives and literature of Hahn Moo-sook and Park Soon-nyeo, female writers who lived their lives under the influence of the Cultural Cold War, to reveal what inner worlds were created as the psychological warfare between the US-led western bloc and the Soviet-led eastern bloc and gender systems came into play. Park Soon-nyeo and Hahn Moo-sook are female writers who were born with direct and indirect interactions with the Cultural Cold War and through their own networks. Park Soon-nyeo, as a settler from North Korea, started her literary career based on her personal connections from the literary circle of North Korean refugees centering around Kim Yi-seok or from the Cultural Village, whereas Hahn Moo-sook made her debut as a writer based on the endorsement of her husband who was a financial technocrat under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The keyword that penetrates the inner worlds of these writers is perversion, which is a term that captures the universal mentality of agents of the Cold War. However, when scrutinizing how the Cultural Cold War and gender systems come to a standstill, perversion in Hahn Moo-sook's novels forms a variation and intensifies towards sexual perversion and perverse relationships. In particular, sexual perversion is not only a taboo against sexuality but holds significance as punishment against women who tried to have agency in their actions in the midst of the Cultural Cold War, and perverse relationships reveal that one comes to doubt the role that she had been playing within the Cultural Cold War. On the other hand, in Park Soon-nyeo's case, perversion of gender occurs in the dimension of novel writing, which can be seen as a strategy to deliberately impede women from becoming political agents. Even so, the female characters in Park Soon-nyeo's novels are captivated by the desire to know and understand their indecent female friends and by the desire to explain and narrate in their stead. Park Soon-nyeo had sought to become an ethical agent rather than a political agent as a female writer who had fled from the North. Thus, the task of analyzing the Cultural Cold War from the viewpoint of modern gender politics enables the rediscovery of the countenance of female intellectuals who had reestablished their identities each from their respective circumstances. It is precisely at this point where research on the Cultural Cold War needs to begi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근대 젠더 정치의 관점에서 문화 냉전을 이해할 것을 제안한다. 이는 냉전 주체를 상상할 때 여성 지식인의 이미지를 쉽게 떠올릴 수 없다는 사실에서 착안한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문화 냉전의 영향 속에서 살아나갔던 여성 작가로서 한무숙과 박순녀의 삶과 문학을 살펴봄으로써 미소 양 진영의 심리전과 젠더 체계가 얽혀들면서 어떤 내면을 탄생시켰는지를 밝혀내고자 한다. 박순녀와 한무숙은 문화 냉전과 직간접적으로 교류하면서 나름의 네트워크를 통해 배태된 여류들이다. 박순녀가 정착민으로서 김이석을 중심으로 한 월남 문인 혹은 문화촌에서의 인맥을 바탕으로 문단에 등장했다면, 한무숙은 박정희 정권하에 금융 테크노크라트였던 남편의 보증으로 재등장한 작가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의 내면을 관통하는 키워드는 바로 도착(倒錯)으로, 이는 냉전 주체의 보편적 심리를 포착하는 용어이다. 그러나 문화 냉전과 젠더 체계가 교착되는 양상을 들여다보면, 한무숙의 소설에서 도착은 성도착과 도착적 관계로 그 의미가 변주․심화된다. 특히 성도착은 섹슈얼리티에 대한 금제일 뿐 아니라, 문화 냉전에서 행위주체성을 지니고자 했던 여성에 대한 징벌의 의미를 지니며, 도착적 관계는 그가 문화 냉전에서 맡고 있었던 배역에 대해 어느 순간 의심하고 있었음을 드러낸다. 한편, 박순녀의 경우 소설 쓰기의 차원에서 젠더의 도착이 발생하는데, 이는 의도적으로 여성을 정치적 주체로서 지연시키는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박순녀의 소설 속 여성 인물들은 불온한 여자 친구들에 대해 알고 이해하려는 욕망, 그리고 그를 대신하여 설명하고 서술하려는 욕망에 사로잡혀 있다. 박순녀는 월남 여성 문인으로서 정치적 주체가 아니라 윤리적 주체가 되기를 지향했던 것이다. 이렇듯 근대 젠더 정치의 시각으로 문화 냉전을 분석하는 작업은 저마다의 위치에서 자기 자신의 정체성을 재정립해나갔던 여성 지식인들의 얼굴을 재발견하게 만든다. 바로 이 지점에서부터 문화 냉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번역하기

      이 글은 근대 젠더 정치의 관점에서 문화 냉전을 이해할 것을 제안한다. 이는 냉전 주체를 상상할 때 여성 지식인의 이미지를 쉽게 떠올릴 수 없다는 사실에서 착안한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

      이 글은 근대 젠더 정치의 관점에서 문화 냉전을 이해할 것을 제안한다. 이는 냉전 주체를 상상할 때 여성 지식인의 이미지를 쉽게 떠올릴 수 없다는 사실에서 착안한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문화 냉전의 영향 속에서 살아나갔던 여성 작가로서 한무숙과 박순녀의 삶과 문학을 살펴봄으로써 미소 양 진영의 심리전과 젠더 체계가 얽혀들면서 어떤 내면을 탄생시켰는지를 밝혀내고자 한다. 박순녀와 한무숙은 문화 냉전과 직간접적으로 교류하면서 나름의 네트워크를 통해 배태된 여류들이다. 박순녀가 정착민으로서 김이석을 중심으로 한 월남 문인 혹은 문화촌에서의 인맥을 바탕으로 문단에 등장했다면, 한무숙은 박정희 정권하에 금융 테크노크라트였던 남편의 보증으로 재등장한 작가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의 내면을 관통하는 키워드는 바로 도착(倒錯)으로, 이는 냉전 주체의 보편적 심리를 포착하는 용어이다. 그러나 문화 냉전과 젠더 체계가 교착되는 양상을 들여다보면, 한무숙의 소설에서 도착은 성도착과 도착적 관계로 그 의미가 변주․심화된다. 특히 성도착은 섹슈얼리티에 대한 금제일 뿐 아니라, 문화 냉전에서 행위주체성을 지니고자 했던 여성에 대한 징벌의 의미를 지니며, 도착적 관계는 그가 문화 냉전에서 맡고 있었던 배역에 대해 어느 순간 의심하고 있었음을 드러낸다. 한편, 박순녀의 경우 소설 쓰기의 차원에서 젠더의 도착이 발생하는데, 이는 의도적으로 여성을 정치적 주체로서 지연시키는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박순녀의 소설 속 여성 인물들은 불온한 여자 친구들에 대해 알고 이해하려는 욕망, 그리고 그를 대신하여 설명하고 서술하려는 욕망에 사로잡혀 있다. 박순녀는 월남 여성 문인으로서 정치적 주체가 아니라 윤리적 주체가 되기를 지향했던 것이다. 이렇듯 근대 젠더 정치의 시각으로 문화 냉전을 분석하는 작업은 저마다의 위치에서 자기 자신의 정체성을 재정립해나갔던 여성 지식인들의 얼굴을 재발견하게 만든다. 바로 이 지점에서부터 문화 냉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횡설수설"

      2 김은하, "해방세대 여성의 이동과 탈주 - 박순녀의 소설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소 32 : 149-173, 2019

      3 히라바야시 다이코, "한일문화교류에의 기대" 1962

      4 한무숙, "한무숙 작품집" 지식을만드는지식 2010

      5 장영우, "한무숙 소설의 현실인식" 어문연구학회 40 : 2004

      6 한무숙, "한무숙 문학전집(9-여행기․콩트 ‘예술의 향기를 찾아서’)" 을유문화사 1993

      7 한무숙, "한무숙 문학전집(8-수필집 ‘내 마음에 뜬 달’)" 을유문화사 1992

      8 한무숙, "한무숙 문학전집(2-장편소설 ‘빛의 계단’)" 을유문화사 1992

      9 한무숙, "한무숙 문학전집(1-장편소설 ‘역사는 흐른다’)" 을유문화사 1992

      10 한무숙, "한무숙 문학전집(10-세계 속의 한국 문학)" 을유문화사 1993

      1 "횡설수설"

      2 김은하, "해방세대 여성의 이동과 탈주 - 박순녀의 소설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소 32 : 149-173, 2019

      3 히라바야시 다이코, "한일문화교류에의 기대" 1962

      4 한무숙, "한무숙 작품집" 지식을만드는지식 2010

      5 장영우, "한무숙 소설의 현실인식" 어문연구학회 40 : 2004

      6 한무숙, "한무숙 문학전집(9-여행기․콩트 ‘예술의 향기를 찾아서’)" 을유문화사 1993

      7 한무숙, "한무숙 문학전집(8-수필집 ‘내 마음에 뜬 달’)" 을유문화사 1992

      8 한무숙, "한무숙 문학전집(2-장편소설 ‘빛의 계단’)" 을유문화사 1992

      9 한무숙, "한무숙 문학전집(1-장편소설 ‘역사는 흐른다’)" 을유문화사 1992

      10 한무숙, "한무숙 문학전집(10-세계 속의 한국 문학)" 을유문화사 1993

      11 조윤아, "한말숙 구술채록문" 아르코예술기록원

      12 이정민, "한독 경제협력과 동백림 사건" 역사문제연구소 (119) : 160-184, 2017

      13 김복순, "학술교양의 사상형식과 ‘반공 로컬-냉전지(知)’의 젠더 -1950년대 『사상계』를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29) : 73-125, 2013

      14 김은하, "탈식민화의 신성한 사명과 '양공주'의 섹슈얼리티" 한국여성문학학회 (10) : 158-179, 2003

      15 한무숙, "축제와 운명의 장소" 1962

      16 남은혜, "지속되는 전쟁과 공동체의 문학" 서울대 2020

      17 황순원, "제4회 사상계 신인문학상 선후평 소설 매우 기쁜 마음" 1962

      18 권명아, "정조 38선, 퇴폐, 그리고 문학사 —풍기문란과 냉전 프레임(frame)을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22 (22): 213-250, 2009

      19 이봉범, "전후 문학 장의 재편과 잡지 『문학예술』" 상허학회 20 : 271-309, 2007

      20 김은하, "전후 국가 근대화와 “아프레 걸(전후 여성)” 표상의 의미" 한국여성문학학회 (16) : 177-209, 2006

      21 박순녀, "잘못 온 청년" 1970

      22 이덕화, "자기 해체를 통한 자기 극복?한무숙의 글쓰기?" 한국문학연구학회 (20) : 183-206, 2003

      23 양효실, "윤리적 폭력 비판" 인간사랑 2013

      24 김주리, "월남 여성 지식인의 내면과 박순녀의 소설 - 상실한 고향 서사를 중심으로 -" 한민족문화학회 66 (66): 105-138, 2019

      25 김주리, "월남 여성 작가 박순녀의 소설 속 배회하는 여성의 표상" 한국문학언어학회 (80) : 181-210, 2019

      26 김윤선, "월남 여성 작가 박순녀의 ‘체험’과 문학 -「아이 러브 유」 「외인촌 입구」 「어떤 파리」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33) : 235-262, 2010

      27 강지윤, "원한과 내면 : 탈식민 주체와 젠더 역학의 불안들" 상허학회 50 : 9-45, 2017

      28 한무숙, "우리 사이 모든 것이" 한무숙문학관 2009

      29 "여류들의 나의 대표작 (18) 작가 박순녀씨의 「산에서 만난 사람」"

      30 박순녀, "어떤 파리" 1970

      31 권보드래, "아프레걸 사상계를 읽다" 동국대 출판부 2009

      32 김복순, "아프레 걸의 系譜와 反共主義 敍事의 自己構成 方式 -崔貞熙의 「끝없는 낭만」을 중심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7 (37): 285-308, 2009

      33 장세진, "숨겨진 미래-탈냉전 상상의 계보(1945~1972)" 푸른역사 2018

      34 클레어 파야츠코브스카, "성도착" 이제이북스 2003

      35 김은석, "서사의 이중 구조와 남성 서술자의 문제 -한무숙의 단편 소설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54) : 471-498, 2017

      36 서은주, "비판적 지성과 젠더, 그 재현의 문제- 박순녀의 1960-7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42) : 65-99, 2017

      37 임유경, "불온의 시대 : 1960년대 한국의 문학과 정치" 소명출판 2017

      38 임유경, "불고지죄와 증언―동백림 사건을 통해 본 권력의 히스테리와 문학" 역사문제연구소 (119) : 185-222, 2017

      39 김두식, "법률가들 : 선출되지 않은 권력의 탄생" 창비 2018

      40 한무숙, "배역" 1962

      41 이명희, "반공주의와 작가정신: 월남 작가 박순녀의 경우" 아시아여성연구원 47 (47): 7-38, 2008

      42 김주리, "박순녀 소설의 이방인의식과 탈주-월남여성지식인 작가의 소설 속 거주의 표상-" 한국현대소설학회 (74) : 35-69, 2019

      43 정미지, "박순녀 문학의 젠더 주체와 ‘불온’의 재현 논리" 한국여성문학학회 (38) : 227-255, 2016

      44 박선애, "박순녀 구술채록문" 아르코예술기록원

      45 권인숙, "바나나, 해변, 그리고 군사기지" 청년사 2011

      46 프랜시스 스토너 손더스, "문화적 냉전 CIA와 지식인들" 그린비 2016

      47 최진석, "문화냉전기구의 형성과 변동 연구, 1954~1968-한국 지식인의 문화적 자율성모색을 중심으로" 성균관대 2019

      48 김려실, "문화냉전과 아시아: 냉전 연구를 탈중심화하기" 소명출판 2012

      49 김미란, "문화 냉전기 한국 펜과 국제 문화 교류" 상허학회 41 : 329-370, 2014

      50 권보드래, "문학을 부수는 문학들" 민음사 2018

      51 박순녀, "모든 사랑은 첫사랑이다" 작가 2018

      52 오제연, "동백림 사건의 쟁점과 역사적 위치" 역사문제연구소 (119) : 116-159, 2017

      53 "독재자의 칼, ‘원로’ 되시다"

      54 이선이, "냉전기 동아시아의 '성'관리 정책: 중국과 한국의 '폐창정책'비교 분석" 한국여성연구원 24 (24): 193-232, 2007

      55 이봉범, "냉전과 월남지식인, 냉전문화기획자 오영진 - 한국전쟁 전후 오영진의 문화 활동" 민족문학사연구소 (61) : 195-240, 2016

      56 이봉범, "냉전과 원조, 원조시대 냉전문화 구축의 역동성 -1950~60년대 미국 민간재단의 원조와 한국문화-" 한국학연구소 (39) : 221-276, 2015

      57 허윤, "냉전 아시아적 질서와 1950년대 한국의 여성혐오" 역사문제연구소 20 (20): 79-115, 2016

      58 김복순, "냉전 미학의 서사욕망과 대중감성의 젠더 - 해방 후~1950년대까지의 신문소설을 중심으로 -" 한국여성문학학회 (27) : 107-145, 2012

      59 최하림, "김수영 평전" 실천문학 2001

      60 박순녀, "기다리는 여자" 1985

      61 김영찬, "근대성의 젠더" 자음과모음 2010

      62 김엘리, "군사주의는 어떻게 패션이 되었을까 : 지구화, 군사주의, 젠더" 바다출판사 2015

      63 오영진, "구라파기행"

      64 한무숙, "감정이 있는 심연" 1957

      65 "韓一銀行長에 金時鍾氏互選"

      66 "韓一銀行長에 金振興씨被選"

      67 "韓一銀行人事"

      68 "審判·檢察官任命"

      69 "商議員10名委囑 證券去來所諮問"

      70 "变貌하는 市中銀行(4) 第一銀行"

      71 김연숙, "‘양공주’가 재현하는 여성의 몸과 섹슈얼리티" 한국여성연구소 3 : 2003

      72 이하나, "1970년대 간첩/첩보 서사와 과잉 냉전의 문화적 감수성" 역사문제연구소 (112) : 372-411, 2015

      73 송인화, "1960년대 여성소설과 '낭만적 사랑'의 의미 - 강신재와 한무숙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11) : 221-250, 2004

      74 최미진, "1950년대 신문소설에 나타난 아프레 걸" 대중서사학회 (18) : 119-153, 2007

      75 박정애, "'동원'되는 여성작가: 한국전과 베트남전의 경우" 한국여성문학학회 (10) : 69-87,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3-12 학회명변경 영문명 : Sanghur Hakbo-The Jou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The Learned Society of Sanghur’s Literature KCI등재
      2020-03-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Leaned Society of sanghur`s Literature -> Sanghur Hakbo: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4 1.14 1.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5 1.21 2.23 0.9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