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횡설수설"
2 김은하, "해방세대 여성의 이동과 탈주 - 박순녀의 소설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소 32 : 149-173, 2019
3 히라바야시 다이코, "한일문화교류에의 기대" 1962
4 한무숙, "한무숙 작품집" 지식을만드는지식 2010
5 장영우, "한무숙 소설의 현실인식" 어문연구학회 40 : 2004
6 한무숙, "한무숙 문학전집(9-여행기․콩트 ‘예술의 향기를 찾아서’)" 을유문화사 1993
7 한무숙, "한무숙 문학전집(8-수필집 ‘내 마음에 뜬 달’)" 을유문화사 1992
8 한무숙, "한무숙 문학전집(2-장편소설 ‘빛의 계단’)" 을유문화사 1992
9 한무숙, "한무숙 문학전집(1-장편소설 ‘역사는 흐른다’)" 을유문화사 1992
10 한무숙, "한무숙 문학전집(10-세계 속의 한국 문학)" 을유문화사 1993
1 "횡설수설"
2 김은하, "해방세대 여성의 이동과 탈주 - 박순녀의 소설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소 32 : 149-173, 2019
3 히라바야시 다이코, "한일문화교류에의 기대" 1962
4 한무숙, "한무숙 작품집" 지식을만드는지식 2010
5 장영우, "한무숙 소설의 현실인식" 어문연구학회 40 : 2004
6 한무숙, "한무숙 문학전집(9-여행기․콩트 ‘예술의 향기를 찾아서’)" 을유문화사 1993
7 한무숙, "한무숙 문학전집(8-수필집 ‘내 마음에 뜬 달’)" 을유문화사 1992
8 한무숙, "한무숙 문학전집(2-장편소설 ‘빛의 계단’)" 을유문화사 1992
9 한무숙, "한무숙 문학전집(1-장편소설 ‘역사는 흐른다’)" 을유문화사 1992
10 한무숙, "한무숙 문학전집(10-세계 속의 한국 문학)" 을유문화사 1993
11 조윤아, "한말숙 구술채록문" 아르코예술기록원
12 이정민, "한독 경제협력과 동백림 사건" 역사문제연구소 (119) : 160-184, 2017
13 김복순, "학술교양의 사상형식과 ‘반공 로컬-냉전지(知)’의 젠더 -1950년대 『사상계』를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29) : 73-125, 2013
14 김은하, "탈식민화의 신성한 사명과 '양공주'의 섹슈얼리티" 한국여성문학학회 (10) : 158-179, 2003
15 한무숙, "축제와 운명의 장소" 1962
16 남은혜, "지속되는 전쟁과 공동체의 문학" 서울대 2020
17 황순원, "제4회 사상계 신인문학상 선후평 소설 매우 기쁜 마음" 1962
18 권명아, "정조 38선, 퇴폐, 그리고 문학사 —풍기문란과 냉전 프레임(frame)을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22 (22): 213-250, 2009
19 이봉범, "전후 문학 장의 재편과 잡지 『문학예술』" 상허학회 20 : 271-309, 2007
20 김은하, "전후 국가 근대화와 “아프레 걸(전후 여성)” 표상의 의미" 한국여성문학학회 (16) : 177-209, 2006
21 박순녀, "잘못 온 청년" 1970
22 이덕화, "자기 해체를 통한 자기 극복?한무숙의 글쓰기?" 한국문학연구학회 (20) : 183-206, 2003
23 양효실, "윤리적 폭력 비판" 인간사랑 2013
24 김주리, "월남 여성 지식인의 내면과 박순녀의 소설 - 상실한 고향 서사를 중심으로 -" 한민족문화학회 66 (66): 105-138, 2019
25 김주리, "월남 여성 작가 박순녀의 소설 속 배회하는 여성의 표상" 한국문학언어학회 (80) : 181-210, 2019
26 김윤선, "월남 여성 작가 박순녀의 ‘체험’과 문학 -「아이 러브 유」 「외인촌 입구」 「어떤 파리」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33) : 235-262, 2010
27 강지윤, "원한과 내면 : 탈식민 주체와 젠더 역학의 불안들" 상허학회 50 : 9-45, 2017
28 한무숙, "우리 사이 모든 것이" 한무숙문학관 2009
29 "여류들의 나의 대표작 (18) 작가 박순녀씨의 「산에서 만난 사람」"
30 박순녀, "어떤 파리" 1970
31 권보드래, "아프레걸 사상계를 읽다" 동국대 출판부 2009
32 김복순, "아프레 걸의 系譜와 反共主義 敍事의 自己構成 方式 -崔貞熙의 「끝없는 낭만」을 중심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7 (37): 285-308, 2009
33 장세진, "숨겨진 미래-탈냉전 상상의 계보(1945~1972)" 푸른역사 2018
34 클레어 파야츠코브스카, "성도착" 이제이북스 2003
35 김은석, "서사의 이중 구조와 남성 서술자의 문제 -한무숙의 단편 소설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54) : 471-498, 2017
36 서은주, "비판적 지성과 젠더, 그 재현의 문제- 박순녀의 1960-7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42) : 65-99, 2017
37 임유경, "불온의 시대 : 1960년대 한국의 문학과 정치" 소명출판 2017
38 임유경, "불고지죄와 증언―동백림 사건을 통해 본 권력의 히스테리와 문학" 역사문제연구소 (119) : 185-222, 2017
39 김두식, "법률가들 : 선출되지 않은 권력의 탄생" 창비 2018
40 한무숙, "배역" 1962
41 이명희, "반공주의와 작가정신: 월남 작가 박순녀의 경우" 아시아여성연구원 47 (47): 7-38, 2008
42 김주리, "박순녀 소설의 이방인의식과 탈주-월남여성지식인 작가의 소설 속 거주의 표상-" 한국현대소설학회 (74) : 35-69, 2019
43 정미지, "박순녀 문학의 젠더 주체와 ‘불온’의 재현 논리" 한국여성문학학회 (38) : 227-255, 2016
44 박선애, "박순녀 구술채록문" 아르코예술기록원
45 권인숙, "바나나, 해변, 그리고 군사기지" 청년사 2011
46 프랜시스 스토너 손더스, "문화적 냉전 CIA와 지식인들" 그린비 2016
47 최진석, "문화냉전기구의 형성과 변동 연구, 1954~1968-한국 지식인의 문화적 자율성모색을 중심으로" 성균관대 2019
48 김려실, "문화냉전과 아시아: 냉전 연구를 탈중심화하기" 소명출판 2012
49 김미란, "문화 냉전기 한국 펜과 국제 문화 교류" 상허학회 41 : 329-370, 2014
50 권보드래, "문학을 부수는 문학들" 민음사 2018
51 박순녀, "모든 사랑은 첫사랑이다" 작가 2018
52 오제연, "동백림 사건의 쟁점과 역사적 위치" 역사문제연구소 (119) : 116-159, 2017
53 "독재자의 칼, ‘원로’ 되시다"
54 이선이, "냉전기 동아시아의 '성'관리 정책: 중국과 한국의 '폐창정책'비교 분석" 한국여성연구원 24 (24): 193-232, 2007
55 이봉범, "냉전과 월남지식인, 냉전문화기획자 오영진 - 한국전쟁 전후 오영진의 문화 활동" 민족문학사연구소 (61) : 195-240, 2016
56 이봉범, "냉전과 원조, 원조시대 냉전문화 구축의 역동성 -1950~60년대 미국 민간재단의 원조와 한국문화-" 한국학연구소 (39) : 221-276, 2015
57 허윤, "냉전 아시아적 질서와 1950년대 한국의 여성혐오" 역사문제연구소 20 (20): 79-115, 2016
58 김복순, "냉전 미학의 서사욕망과 대중감성의 젠더 - 해방 후~1950년대까지의 신문소설을 중심으로 -" 한국여성문학학회 (27) : 107-145, 2012
59 최하림, "김수영 평전" 실천문학 2001
60 박순녀, "기다리는 여자" 1985
61 김영찬, "근대성의 젠더" 자음과모음 2010
62 김엘리, "군사주의는 어떻게 패션이 되었을까 : 지구화, 군사주의, 젠더" 바다출판사 2015
63 오영진, "구라파기행"
64 한무숙, "감정이 있는 심연" 1957
65 "韓一銀行長에 金時鍾氏互選"
66 "韓一銀行長에 金振興씨被選"
67 "韓一銀行人事"
68 "審判·檢察官任命"
69 "商議員10名委囑 證券去來所諮問"
70 "变貌하는 市中銀行(4) 第一銀行"
71 김연숙, "‘양공주’가 재현하는 여성의 몸과 섹슈얼리티" 한국여성연구소 3 : 2003
72 이하나, "1970년대 간첩/첩보 서사와 과잉 냉전의 문화적 감수성" 역사문제연구소 (112) : 372-411, 2015
73 송인화, "1960년대 여성소설과 '낭만적 사랑'의 의미 - 강신재와 한무숙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11) : 221-250, 2004
74 최미진, "1950년대 신문소설에 나타난 아프레 걸" 대중서사학회 (18) : 119-153, 2007
75 박정애, "'동원'되는 여성작가: 한국전과 베트남전의 경우" 한국여성문학학회 (10) : 69-87,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