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민간기업에 의한 수용 = Taking by Private Corpo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914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많은 공익사업이 민간기업에 의해 시행되고, 이러한 추세는 더욱 확대되고 있다. 여기서 해당 공익사업의 실현을 위해 토지 등 재산권의 수용이 불가피하다면 그 민간기업을 위해서도 재산권수용이 허용될 수 있는지, 허용된다면 어떠한 조건하에서 허용될 수 있는지가 문제된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헌법재판소는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제11조 제1항 등 위헌소원 사건에서 우리 헌법상 수용의 주체를 국가로 한정한바 없으므로 민간기업도 수용의 주체가 될 수 있고, 산업입지의 공급을 통해 산업발전을 촉진하며 국민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하기 때문에 민간기업에게 사업시행에 필요한 토지수용이 허용된다고 결정했다. 헌재의 견해대로 민간기업의 경우에도 공익사업을 시행할 경우 그 사업시행을 위해 재산권수용이 허용될 수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그 경우 민간기업에 의한 공용침해를 통해 실현되는 공익의 구체성과 긴절성이 엄격히 요구되고, 달성되는 공익과 관련하여 비례의 원칙이 준수되어야 하며, 해당 공익의 계속적 실현을 위한 보장책이 마련되어 있어야 하는 등 보다 엄격한 헌법상의 허용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그런데 헌재는 이러한 전제조건의 충족여부에 대한 판단을 그르쳤다. 이 글은 헌재 결정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민간기업에 의한 수용의 헌법상 허용조건을 제시하고 있다.
      번역하기

      오늘날 많은 공익사업이 민간기업에 의해 시행되고, 이러한 추세는 더욱 확대되고 있다. 여기서 해당 공익사업의 실현을 위해 토지 등 재산권의 수용이 불가피하다면 그 민간기업을 위해서...

      오늘날 많은 공익사업이 민간기업에 의해 시행되고, 이러한 추세는 더욱 확대되고 있다. 여기서 해당 공익사업의 실현을 위해 토지 등 재산권의 수용이 불가피하다면 그 민간기업을 위해서도 재산권수용이 허용될 수 있는지, 허용된다면 어떠한 조건하에서 허용될 수 있는지가 문제된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헌법재판소는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제11조 제1항 등 위헌소원 사건에서 우리 헌법상 수용의 주체를 국가로 한정한바 없으므로 민간기업도 수용의 주체가 될 수 있고, 산업입지의 공급을 통해 산업발전을 촉진하며 국민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하기 때문에 민간기업에게 사업시행에 필요한 토지수용이 허용된다고 결정했다. 헌재의 견해대로 민간기업의 경우에도 공익사업을 시행할 경우 그 사업시행을 위해 재산권수용이 허용될 수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그 경우 민간기업에 의한 공용침해를 통해 실현되는 공익의 구체성과 긴절성이 엄격히 요구되고, 달성되는 공익과 관련하여 비례의 원칙이 준수되어야 하며, 해당 공익의 계속적 실현을 위한 보장책이 마련되어 있어야 하는 등 보다 엄격한 헌법상의 허용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그런데 헌재는 이러한 전제조건의 충족여부에 대한 판단을 그르쳤다. 이 글은 헌재 결정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민간기업에 의한 수용의 헌법상 허용조건을 제시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ddresses the theories regarding whether the expropriation by private corporations can be allowed and what constitutional conditions must, if yes, be required. The Case of the Constitutional Court(2009. 9. 24, 2007Hunba114) triggers this debate. In the Case, the petitioners claimed that the pertinent clause of the Act concerning Location of Industry and Development is unconstitutional which permits the expropriation of the land by private corporations when it i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industry complex. The Court held the pertinent clause of the Act is constitutional because the Article 23 Clause 3 of the Constitution does not confine taker of property rights for public use to the state or public institutions, and because the development of industry complex through the expropriation by private corporations belongs to the public necessity of the Article 23 Clause 3 of the Constitution, and so on. However, the Clause of the Act does not satisfy the constitutional conditions for the permission of the expropriation because the public necessity according to the Act is too vague and unclear, because the Clause does not satisfy the principle of balance of interests, and because the Clause violates the principle of durable realization of public interests in the light of the lack of the guarantees for durable realization of public interests. Therefore, the Case cannot be justified. In the article, the above mentioned conditions concerning the expropriation by private corporations are presented in the aspect of the guarantee of the property rights according to the Article 23 of the Constitution.
      번역하기

      This article addresses the theories regarding whether the expropriation by private corporations can be allowed and what constitutional conditions must, if yes, be required. The Case of the Constitutional Court(2009. 9. 24, 2007Hunba114) triggers this ...

      This article addresses the theories regarding whether the expropriation by private corporations can be allowed and what constitutional conditions must, if yes, be required. The Case of the Constitutional Court(2009. 9. 24, 2007Hunba114) triggers this debate. In the Case, the petitioners claimed that the pertinent clause of the Act concerning Location of Industry and Development is unconstitutional which permits the expropriation of the land by private corporations when it i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industry complex. The Court held the pertinent clause of the Act is constitutional because the Article 23 Clause 3 of the Constitution does not confine taker of property rights for public use to the state or public institutions, and because the development of industry complex through the expropriation by private corporations belongs to the public necessity of the Article 23 Clause 3 of the Constitution, and so on. However, the Clause of the Act does not satisfy the constitutional conditions for the permission of the expropriation because the public necessity according to the Act is too vague and unclear, because the Clause does not satisfy the principle of balance of interests, and because the Clause violates the principle of durable realization of public interests in the light of the lack of the guarantees for durable realization of public interests. Therefore, the Case cannot be justified. In the article, the above mentioned conditions concerning the expropriation by private corporations are presented in the aspect of the guarantee of the property rights according to the Article 23 of the Constitu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머리말
      • II. 헌재 결정의 요지
      • 1. 사건의 개요 및 심판의 대상
      • 2. 결정이유의 요지
      • 3. 반대의견의 요지
      • I. 머리말
      • II. 헌재 결정의 요지
      • 1. 사건의 개요 및 심판의 대상
      • 2. 결정이유의 요지
      • 3. 반대의견의 요지
      • III. 공용침해의 전제조건
      • 1. 공공필요의 원칙
      • 2. 비례의 원칙
      • 3. 계속적 공익실현을 위한 보장책
      • IV. 산업입지법의 위헌 여부
      • 1. 공공필요의 원칙과 관련하여
      • 2. 비례의 원칙과 관련하여
      • 3. 계속적 공익실현을 위한 보장책과 관련하여
      • V. 맺는 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연주, "환매권, 헌법판례연구(4)" 박영사 163-184, 2002

      2 정연주, "공용침해의 헌법상 허용조건" 3 : 455-516, 1995

      3 Lerche, "Übermaß und Verfassungsrecht"

      4 Hillermeier, "Stärkere Sozialbindung des Eigentums?" 449-, 1985

      5 Gramlich, "Privatbegünstigende Enteignung als Verfassungsprobleme" 269-, 1986

      6 Papier, "Grundgesetz Kommentar, Art. 14"

      7 Bryde, "Grundgesetz Kommentar, Art. 14"

      8 Schnur, "Gemeinwohl und öffentliche Interessen in den Verfassungen und den Gesetzen des sozialen Rechtsstaates. in: Wohl der Allgemeinheit und öffentliche Interessen, Schriftreihe der Hochschule Speyer, Bd. 39" 57-, 1968

      9 Zimmer, "Flurbereinigung aus städtebaulichen Gründen und privatnützige Enteignung" 1001-, 1986

      10 Schmidbauer, "Enteignung zugunsten Privater"

      1 정연주, "환매권, 헌법판례연구(4)" 박영사 163-184, 2002

      2 정연주, "공용침해의 헌법상 허용조건" 3 : 455-516, 1995

      3 Lerche, "Übermaß und Verfassungsrecht"

      4 Hillermeier, "Stärkere Sozialbindung des Eigentums?" 449-, 1985

      5 Gramlich, "Privatbegünstigende Enteignung als Verfassungsprobleme" 269-, 1986

      6 Papier, "Grundgesetz Kommentar, Art. 14"

      7 Bryde, "Grundgesetz Kommentar, Art. 14"

      8 Schnur, "Gemeinwohl und öffentliche Interessen in den Verfassungen und den Gesetzen des sozialen Rechtsstaates. in: Wohl der Allgemeinheit und öffentliche Interessen, Schriftreihe der Hochschule Speyer, Bd. 39" 57-, 1968

      9 Zimmer, "Flurbereinigung aus städtebaulichen Gründen und privatnützige Enteignung" 1001-, 1986

      10 Schmidbauer, "Enteignung zugunsten Privater"

      11 Korbmacher, "Eigentums- und entschädigungsrechtlich bedeutsame Enteignung in der fachplanerischen Abwägung" 517-, 1982

      12 Kimminich, "Eigentum-Enteignung-Entschädigung"

      13 Schulte, "Eigentum und öffentliches Interesse"

      14 Weber, "Eigentum und Enteignung" 2 : 331-, 1954

      15 Stummer, "Die öffentliche Zweckbindung der enteignten Sache"

      16 Sellmann, "Die gemeinnützige Planfeststellung zugunsten Privater" 223-, 1987

      17 Schwerdtfeger, "Die dogmatische Struktur der Eigentumsgarantie"

      18 Stengel, "Die Grundstücksenteignung zugunsten privater Wirtschftsunternehmen"

      19 Bullinger, "Die Enteignung zugunsten Privater" 1 : 449-, 1962

      20 Frenzel, "Das öffentliche Interesse als Voraussetzung der Enteignung"

      21 v. Brünnek, "Das Wohl der Allgemeinheit als Voraussetzung der Enteignung" 425-, 1986

      22 Papier, "Anmerkung zum Urteil v. 24.3.1987 des BVerfGE" 619-, 1987

      23 Breuer, "Anmerkung zum Urteil des BVerfGE vom 10.3.1981" 971-, 198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0-2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hongik law review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59 0.693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