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2011에 발표된 성격차지수(GGI)에 초점을 맞춰 타당도 및 신뢰도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향후 GGI의 타당도 및 신뢰도 제고를 위한 고려사항을 검토하고자 한다. 2011 GG...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2011에 발표된 성격차지수(GGI)에 초점을 맞춰 타당도 및 신뢰도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향후 GGI의 타당도 및 신뢰도 제고를 위한 고려사항을 검토하고자 한다. 2011 GG...
본 연구의 목적은 2011에 발표된 성격차지수(GGI)에 초점을 맞춰 타당도 및 신뢰도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향후 GGI의 타당도 및 신뢰도 제고를 위한 고려사항을 검토하고자 한다. 2011 GGI 분석결과, 각 구성개념의 단일차원에서의 타당도 분석결과에서 GGI 구성개념 중 경제참여 및 기회, 교육성취, 건강 및 생 존은 구성개념타당성이 낮게 나타나고 있고 교육성취와 건강 및 생존, 교육성취와 정치권한, 건강 및 생존 과 정치권한 간의 기준타당성이 낮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신뢰도 분석결과에서 경제참여 및 기회, 교육성 취, 건강과 생존, 정치권한은 신뢰도가 낮게 나타나고 있어 내적일관성에 문제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2011 GGI 모형검증을 위한 고차요인분석결과에서 GGI모형 적합도가 낮게 나타나고 있고 측정모형에서 경 제참여 및 기회의 측정지표인 임금평등, 전문가 및 기술노동자, 교육성취의 측정지표인 문해율, 초등교육 등 록률, 중등교육 등록률, 서비스부분 교육 등록률, 건강 및 생존의 측정지표인 출생 성비율, 정치권한의 측정 지표인 장관급여성, 여성 정부수장 등의 측정오차가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어 GGI모형과 자료가 잘 부합되 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초로 본 연구는 보다 개선된 GGI 개발을 위한 고려사항을 검토한다.
가중 중심점 분석과 AHP를 이용한 유치경쟁 유발시설의 입지선정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