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色彩가 衣生活에 미치는 影響에 關한 硏究 : 淸州地域을 中心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60472

      • 저자
      • 발행사항

        청주: 淸州大學校, 1985. -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淸州大學校 産業大學院 , 産業디자인學科 衣裳디자인專攻

      • 발행연도

        1985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746.92

      • 발행국(도시)

        충청북도

      • 형태사항

        iv,42p.(접지): 견본; 27cm

      • 소장기관
        • 경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인천대학교 학산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청주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청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충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충북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교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本 硏究는 色彩가 衣生活에 미치는 影響에 관하여 1970年代와 1980年代를 比較硏究하였으며 또한 色彩嗜好에 對하여 硏究함과 아울러,
      1) 學生層과 一般社會人과의 階層間 色彩嗜好에 對한 차이점에 대하여 調査해 보고
      2) 色彩嗜好에 대해서도 調査하여 이런 階層間 및 個人別 色彩嗜好가 衣服着用時 어떤 影響을 미치는가 硏究해 보았다.
      本 硏究는 設問紙에 依한 調査硏究方法을 擇하였고 앞서 1970年代 調査 硏究된 調査結果를 보면,
      1) 學生層에서는 70年代에 노랑색을 좋아하였던 것에 비하여 80年代에는 검정색과 연녹색을 一般層에서는 70年代 청록색과 주황색을 嗜好했던 것과는 달리 80年代에는 검정색과 붉은 보라색을 가장 좋아하고 있는 것으로 硏究結果 나타났다.
      2) 衣服着用時 個人別 色彩嗜好와는 관계없이 調査對象者의 大部分이 스포티하고 밝은 계열의 色을 좋아하였고 衣服의 上下配色은 同色系統을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0年代에는 色彩嗜好傾向이 個別的이면서도 階層差에 의한 뚜렷한 區分이 있었다. 그러나 現在는 調査對象者의 대부분이 色彩에 對한 知識이 풍부해진데 비해 다분히 共通的인 色彩를 嗜好하는 傾向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設問調査한 시기(겨울)의 影響을 받아서인지 80年代의 共通된 色彩嗜好는 검정색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本 硏究는 色彩가 衣生活에 미치는 影響에 관하여 1970年代와 1980年代를 比較硏究하였으며 또한 色彩嗜好에 對하여 硏究함과 아울러, 1) 學生層과 一般社會人과의 階層間 色彩嗜好에 對한 ...

      本 硏究는 色彩가 衣生活에 미치는 影響에 관하여 1970年代와 1980年代를 比較硏究하였으며 또한 色彩嗜好에 對하여 硏究함과 아울러,
      1) 學生層과 一般社會人과의 階層間 色彩嗜好에 對한 차이점에 대하여 調査해 보고
      2) 色彩嗜好에 대해서도 調査하여 이런 階層間 및 個人別 色彩嗜好가 衣服着用時 어떤 影響을 미치는가 硏究해 보았다.
      本 硏究는 設問紙에 依한 調査硏究方法을 擇하였고 앞서 1970年代 調査 硏究된 調査結果를 보면,
      1) 學生層에서는 70年代에 노랑색을 좋아하였던 것에 비하여 80年代에는 검정색과 연녹색을 一般層에서는 70年代 청록색과 주황색을 嗜好했던 것과는 달리 80年代에는 검정색과 붉은 보라색을 가장 좋아하고 있는 것으로 硏究結果 나타났다.
      2) 衣服着用時 個人別 色彩嗜好와는 관계없이 調査對象者의 大部分이 스포티하고 밝은 계열의 色을 좋아하였고 衣服의 上下配色은 同色系統을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0年代에는 色彩嗜好傾向이 個別的이면서도 階層差에 의한 뚜렷한 區分이 있었다. 그러나 現在는 調査對象者의 대부분이 色彩에 對한 知識이 풍부해진데 비해 다분히 共通的인 色彩를 嗜好하는 傾向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設問調査한 시기(겨울)의 影響을 받아서인지 80年代의 共通된 色彩嗜好는 검정색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eals with the influence of the color to the dress pattern in comparison of 1970's and 80's and the color preferrence of the period. It also deals with
      1) Differences of the color preferrence between students and general public.
      2) Color preferrences of individual and public class and their influence at the actual dressing.
      This study choose public survey as the research method and compared with the statistics from the 1970'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1) Preferrence of yellow in 70's as where in 80's, black and yellow-green by the students and in general public the favored color was blue-green and orange in 70's and black and purple in 80's.
      2) General preferrence of bright and sporty color indifferent from individual color preferrence and the similar color combination.
      70's shows clear distinction of individual and class color preferrence. But current trend shows a great knowledge about color but the tendency of wearing that fad color of the fine.
      Also the season of the survey (winter) has seemed to influence the favored color of the 80's which turned out to be black.
      번역하기

      This study deals with the influence of the color to the dress pattern in comparison of 1970's and 80's and the color preferrence of the period. It also deals with 1) Differences of the color preferrence between students and general public. 2) Color ...

      This study deals with the influence of the color to the dress pattern in comparison of 1970's and 80's and the color preferrence of the period. It also deals with
      1) Differences of the color preferrence between students and general public.
      2) Color preferrences of individual and public class and their influence at the actual dressing.
      This study choose public survey as the research method and compared with the statistics from the 1970'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1) Preferrence of yellow in 70's as where in 80's, black and yellow-green by the students and in general public the favored color was blue-green and orange in 70's and black and purple in 80's.
      2) General preferrence of bright and sporty color indifferent from individual color preferrence and the similar color combination.
      70's shows clear distinction of individual and class color preferrence. But current trend shows a great knowledge about color but the tendency of wearing that fad color of the fine.
      Also the season of the survey (winter) has seemed to influence the favored color of the 80's which turned out to be black.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國文抄錄 = i
      • I. 序論 = 1
      • II. 理論的 背景 = 2
      • 1. 色彩에 대한 美의 槪念 = 2
      • 목차
      • 國文抄錄 = i
      • I. 序論 = 1
      • II. 理論的 背景 = 2
      • 1. 色彩에 대한 美의 槪念 = 2
      • 2. 色彩感覺 = 7
      • 1) 色彩感覺의 要因 = 7
      • 2) 色彩刺戟에 대한 色彩感覺 = 8
      • 3) 心理學的面에서 본 色彩 = 8
      • 3. 服飾과 色彩 = 10
      • 1) 色彩의 象徵性 = 11
      • 2) 色의 流行 = 13
      • 3) 服色의 調和 = 14
      • III. 調査 및 硏究方法 = 17
      • IV. 調査結果 및 考察 = 19
      • V. 結論 = 33
      • 參考文獻 = 35
      • 英文抄錄 = 37
      • 設問紙 = 3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