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의 사회적지지와 자기주도학습 간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Undergraduate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609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elf-directed learn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in this relationship. A total of 236 university students completed a survey consisting of measures of social support,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flow.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se variables, and social support and learning flow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self-directed learning when controlling for gender. A bootstrap approach was used to assess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The results showed that social support had a direct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and that learning flow mediated this effect. Moreover,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flow mediated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self-directed learn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undergraduates who perceive high social support tend to experience high cognitive and affective flow during learning, and high learning flow may lead to high levels of self-directed learning. Thu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nfluence of learning flow in the social support environment to promote self-directed learning in university student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번역하기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elf-directed learn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in this relationship. A total of 236 university students completed a survey consisting of...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elf-directed learn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in this relationship. A total of 236 university students completed a survey consisting of measures of social support,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flow.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se variables, and social support and learning flow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self-directed learning when controlling for gender. A bootstrap approach was used to assess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The results showed that social support had a direct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and that learning flow mediated this effect. Moreover,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flow mediated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self-directed learn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undergraduates who perceive high social support tend to experience high cognitive and affective flow during learning, and high learning flow may lead to high levels of self-directed learning. Thu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nfluence of learning flow in the social support environment to promote self-directed learning in university student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적지지가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236명을 대상으로 사회적지지 척도, 자기주도학습 척도, 학습몰입 척도를 실시하였다.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 분석을 위해 Preacher와 Hayes(2008)가 개발한 SPSS macro를 사용하여 bootstrap 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 및 회귀분석 결과 사회적지지,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간에 정적 상관이 있었고, 사회적지지와 학습몰입은 자기주도학습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 검증 결과, 사회적지지가 자기주도학습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고, 사회적지지와 자기주도학습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학습몰입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몰입과 정의적 몰입의 다중매개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이 사회적지지를 높게 지각할수록 자기주도학습 역량이 높고 사회적지지는 학습몰입도를 높여 자기주도학습 역량을 높이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사회적지지는 학습과정에서 인지적 몰입과 정의적 몰입을 높여 자기주도학습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증진을 위해서는 사회적지지 환경 내에서 학습몰입의 영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적지지가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236명을 대상으로 사회적지지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적지지가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236명을 대상으로 사회적지지 척도, 자기주도학습 척도, 학습몰입 척도를 실시하였다.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 분석을 위해 Preacher와 Hayes(2008)가 개발한 SPSS macro를 사용하여 bootstrap 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 및 회귀분석 결과 사회적지지,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간에 정적 상관이 있었고, 사회적지지와 학습몰입은 자기주도학습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 검증 결과, 사회적지지가 자기주도학습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고, 사회적지지와 자기주도학습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학습몰입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몰입과 정의적 몰입의 다중매개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이 사회적지지를 높게 지각할수록 자기주도학습 역량이 높고 사회적지지는 학습몰입도를 높여 자기주도학습 역량을 높이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사회적지지는 학습과정에서 인지적 몰입과 정의적 몰입을 높여 자기주도학습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증진을 위해서는 사회적지지 환경 내에서 학습몰입의 영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종운, "학습코칭 프로그램이 방과후아카데미 고학년 아동의 자기효능감 및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4 (24): 146-165, 2012

      2 허남진, "학습자 변인의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예측력 분석"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3 김진아, "학습몰입과정의 이론 개발과 확인: 근거이론과 구조방정식모형의 순차적 혼합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27 (27): 241-262, 2013

      4 신정순, "학습몰입,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와의 관계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5 김태종,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노인의 심리적 행복감, 사회적 지지, 학습몰입도, 자아탄력성의 구조적 관계"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11 (11): 117-132, 2015

      6 홍애순, "초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학교행복감, 긍정적 착각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21 (21): 81-95, 2012

      7 이숙정,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학생 관계와 학급풍토 및 학습몰입의 경로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207-227, 2010

      8 민윤희, "초등학생의 사회적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적응과 학습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아동교육학회 22 (22): 123-137, 2013

      9 유은주, "청소년이 지각한 학급풍토, 가정의 도전과 지원, 학습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습몰입간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707-732, 2010

      10 이미경, "중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학습과의 관계"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 김종운, "학습코칭 프로그램이 방과후아카데미 고학년 아동의 자기효능감 및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4 (24): 146-165, 2012

      2 허남진, "학습자 변인의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예측력 분석"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3 김진아, "학습몰입과정의 이론 개발과 확인: 근거이론과 구조방정식모형의 순차적 혼합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27 (27): 241-262, 2013

      4 신정순, "학습몰입,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와의 관계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5 김태종,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노인의 심리적 행복감, 사회적 지지, 학습몰입도, 자아탄력성의 구조적 관계"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11 (11): 117-132, 2015

      6 홍애순, "초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학교행복감, 긍정적 착각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21 (21): 81-95, 2012

      7 이숙정,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학생 관계와 학급풍토 및 학습몰입의 경로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207-227, 2010

      8 민윤희, "초등학생의 사회적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적응과 학습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아동교육학회 22 (22): 123-137, 2013

      9 유은주, "청소년이 지각한 학급풍토, 가정의 도전과 지원, 학습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습몰입간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707-732, 2010

      10 이미경, "중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학습과의 관계"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1 강승희, "중학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몰입, 자기주도학습, 학급풍토와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759-781, 2015

      12 양수민, "중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유형에 따른 유능감, 또래지지, 학습몰입의 차이" 한국청소년학회 19 (19): 241-264, 2012

      13 최명구, "중학생의 사회적지지,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간의 구조관계" 한국청소년학회 19 (19): 357-373, 2012

      14 원희정,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15 배종찬, "자기주도학습, 학습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6 이지혜,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메타인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습몰입과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충북대학교 대학원 2009

      17 김희삼, "왜 사교육보다 자기주도학습이 중요한가?.KDI 정책포럼, 제 231호"

      18 박성익,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몰입요인, 몰입수준, 학업성취 간의 관련성 탐구" 한국열린교육학회 14 (14): 93-115, 2006

      19 이영재,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성취기대 및 사회적 지지와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2

      20 김아영, "성인용 학습몰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39-59, 2010

      21 신종호, "성공적인 대학생활 : 학습과 시험전략" 시그마프레스 2004

      22 전준현, "사회적 지지와 학교환경이 청소년의 인권태도에 미치는 영향 :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11

      23 박형근, "동기요인과 자기주도학습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분석"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0

      24 최인선, "대학생활적응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셀프리더십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3 (23): 145-173, 2016

      25 이진령, "대학생의 학습몰입과 관련변인들의 구조적 관계"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7

      26 성은모, "대학교육에서 성적 우수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역량 요인 탐색" 한국교육공학회 32 (32): 427-452, 2016

      27 이혜정, "대학교육에서 대학생 중심의 교수설계를 위한 최우수 학습자의 학습특성 및 학습전략 탐색" 한국교육공학회 27 (27): 1-35, 2011

      28 장성화, "대안학교 학생들의 학교적응 관련변인들의 인과적 구조분석" 한국열린교육학회 18 (18): 25-50, 2010

      29 장성화, "기독교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 사회적 지지 및 정신건강 비교"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17 : 179-202, 2009

      30 윤초희, "국제학교 학생의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및 부모의 진로지지가 진로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2 (22): 145-170, 2015

      31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대학의 교육운영체제 개선 방안연구: 대학진학수요 맞춤형 교육운영체제를 중심으로" 2014

      32 김희정, "교사-학생관계 및 학습동기와 학습몰입간의 구조적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33 이재신, "고등학생의 메타인지와 학습몰입과의 관계 :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매개효과"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277-295, 2009

      34 Linden, J, M., "Youth leadership: A guide to understanding leadership development in adolescents" Jossey-Bass Publishers 1998

      35 Jang, H., "What teachers say and do to support students autonomy during a learning activity" 98 (98): 209-218, 2006

      36 Berdne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Graduate Students’ Growth as Self-directed Learners" Queen’s University 2000

      37 Tracy, E., "Student's guide to exam success" The Open University Press 2002

      38 Sobel, M. E., "Sociological Methodology" Jossey-Bass 290-312, 1982

      39 Long, H. B., "Self-directed learning: application and research" Oklahoma Research Center for Continuing Professional and Higher Education, University of Oklahoma 9-24, 1992

      40 Knowles, M.,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s" Cambridge Books 1975

      41 Rynn, R. M., "Representations of relationships to teachers, parents, and friends as predictors of academic motivation and self-esteem" 14 : 226-249, 1994

      42 Howse R. B., "Motivation andself-regulation as predictors of achievement in economically disadvantaged young children" 7 (7): 151-174, 2003

      43 Schwarzer, R., "Health Psychology" Blackwell 158-182, 2004

      44 Csilkszentmihalyi, M., "Flow: The psychology of happiness" Harper & Row 1992

      45 Stage, A. A., "Family context variables and the development of self-regulation in college students" 33 : 17-31, 1998

      46 Reeve, J., "Enhancing Students' Engagement by Increasing Teachers' Autonomy Support" 28 (28): 147-169, 2004

      47 Jang, H., "Engaging students in learning activities : It is not autonomy support or structure but autonomy support and structure" 102 (102): 588-600, 2010

      48 Havighurst, R. J., "Developmental task and education" D. McKay, Co 1972

      49 Csilkszentmihalyi, M., "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Harper-Collins Publishers 1996

      50 Preacher, K. J., "Asymptotic and resampling strategies for assessing and comparing indirect effects in multiple mediator models" 40 : 879-891,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4 2.14 2.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4 2.47 2.766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